과학적 방법론과 이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

2. 연구방법론과 과학적 방법론

3. 연구방법론의 일반성

본문내용

히 흥미를 불러일으키게 하는 수사로 사용한 것이 아님을 말해 준다. 그는 어떤 미디어는 정보량이 많으나 특정 단일 감각기관을 고도로 확장시켜 커뮤니케이션을 왜곡시키는 반면 또 다른 미디어는 정보량은 적지만 모든 감각기관들이 동시에 작용하게 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란 수사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맥루한은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행위가 책을 읽는 행위보다 수동적인 것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통념과는 반대되는 주장을 한다. 왜냐하면 책은 논리적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읽기만 하여도 다 소화할 수 있지만 움직이고 명멸하는 텔레비전은 가만히 있으면 이해할 수가 없으며, 그 과정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 이처럼 텔레비전은 시청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미디어로서, 피동적인 태도에 머무는 것을 허용치 않는다. 이런 점에서 맥루한은 텔레비전을 현대의 전자미디어 시대를 대표하는 \'쿨\' 미디어로 생각하고 있으며, 현대를 좌우하는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미디어라고 주장한다.
결국 맥루한의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의 구분은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인식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장 이상적인 구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미디어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와 함께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쿨\' 한 미디어가 지금까지 활자 문자로 대표되어 왔던 \'핫\' 미디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가 줄 것인가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5. \'쿨\' 미디어로서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란 무엇인가.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핫\'과 \'쿨\'의 관점에서 미디어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인쇄문화 이후 전파미디어 중에서 제일 먼저 등장한 축음기는 시각 표현미디어인 문자로 이루어지던 인쇄문자 대신에 청각미디어인 음성 메시지를 사용하지만 복합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물론 기억 및 사용자의 조작 능력과 쌍방향성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전파미디어인 라디오는 최초의 대중 전자미디어로서 커다란 위력을 발휘하였으며 아직도 그 가능성이 큰 미디어이나 축음기와 마찬가지로 청각 하나만을 이용하는 단수 감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면서 또한 기억 및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실현되지 않는다.
카세트는 축음기와 라디오와 마찬가지로 표현 미디어에서 청각만을 이용하는 단수 감각미디어이지만 기억기능이 저장되어 있고, 시간과 표현미디어를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줌으로서 이란과 같은 \'핫\' 한 사회에서 호메이니옹의 회교도 혁명을 가능케 했다. 신문과 잡지는 \'시각\'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합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쌍방향 및 기억 축적 커뮤니케이션도 이루어지지 않지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 전달능력은 띄어난 미디어이다.
텔레비전은 지금까지 하나의 감각만을 이용하던 단일 감각 위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최초로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므로 지금까지 \'핫\'한 미디어 중심의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만 쌍방향 및 기억 축적 커뮤니케이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전화는 청각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복합적 커뮤니케이션은 불가능하지만 개별적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이루어진다.
새로운 미디어로서 컴퓨터는 기존의 미디어가 지니고 있지 못하는 기억 및 축적 능력이 매우 띄어나며 전화선에 연결되어 쌍방향성 커뮤니케이션도 어느 정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문자위주의 \'시각\' 단일의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쌍방향성을 지니고 있는 전화, 복합적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 텔레비전과 기억 및 축적 능력이 띄어난 컴퓨터가 서로간의 부족한 특성을 보충하는 멀티미디어 컴퓨터가 탄생한다.
결국 인간커뮤니케이션이 복합적 커뮤니케이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억 및 축적 커뮤니케이션을 모두 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멀티 미디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은 바로 인간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굳이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차이가 있다면 멀티미디어는 시간과 공간이 확대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미디어가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는 지는 다음 표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림 1: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와의 관계
기기명
취급메시지
기억기능 유무
사용자 조작관리
쌍방
향성
문자
음성
정지화
동화
미디어
시간
통신
축음기
비디오
카세트
무선전화
호출기
신문.잡지
텔레비젼
VTR
캠코더
게임기
종래형 PC
멀티 미디어 PC
인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미디어 각각이 결국에는 인간을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와 같은 점을 맥루한은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 이론으로 예견한 것이다. 영화는 \'핫\' 미디어지만 텔레비전은 \'쿨\' 미디어이고, 라디오는 \'핫\' 미디어지만 전화는 \'쿨\' 미디어이고, 사진은 \'핫\' 미디어지만 만화는 \'쿨\' 미디어이다.
맥루한에 의하면 텔레비전은 인간의 오관(五官) 중에서 대표적인 감각기관인 시각과 청각을 모두 사용한다는 점에서 시각 또는 청각 하나에만 의존하는 다른 미디어에 비해 훨씬 \'쿨\'하다고 보았다. 또 영화는 극장에 들어서면 관객이 선택의 여지가 없지만 텔레비전은 채널을 돌려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이지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영화에 비해 \'쿨\'하다고 보았다.
말하자면 텔레비젼은 맥루한에게 있어서 인간 본래의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가까운 미디어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복합적 커뮤니케이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억 및 축적 커뮤니케이션을 멀티 미디어가 가능케 한다고 할 때 맥루한의 관점에 따른다면 멀티 미디어가 바로 \'쿨\'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5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3.01.21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9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