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앙과 계몽의 대립
2) 계몽의 진리
1. 이신론과 유물론
2. 양자의 통일--유용성의 원리
3) 계몽의 실현
1. 프랑스혁명과 절대적 자유의 원리
2. 절대적 자유 원리 비판
4) 정 리
5) 참고문헌
2) 계몽의 진리
1. 이신론과 유물론
2. 양자의 통일--유용성의 원리
3) 계몽의 실현
1. 프랑스혁명과 절대적 자유의 원리
2. 절대적 자유 원리 비판
4) 정 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式으로 定立한 결과라고 본다. 이것은 自己意識--계몽주의자의 용어로는 人間 (l\'homme)-- 에 기반을 둔 프랑스 계몽주의의 두 흐름이다.
헤겔은 <<哲學史講義>>에서 프랑스 계몽주의가 기존의 종교, 권력, 권위 전반에 대해 그것들을 자기의식에 낯선 것들로 비판하고 해체시키는데, 그것의 悟性的 原理 때문에 \'추상적 사상의 狂信\'(GP.S.297)이 되어 자기의식--개체-- 바깥의 모든 것을 파괴함으로써 자기의식 자체도 추상적인 것으로 되면서 파괴된다고 비판한다. 그는 프랑스의 무신론, 유물론, 자연주의가 ① 기계론적 관점에서 자연의 목적개념을 부인하고, 自然的인 것 뿐만 아니라 生, 精神的인 것에서의 精神과 自由의 개념을 무규정적인 자연, 감각적인 것, 기계론, 유용성, 利己(Eigensucht)의 추상으로 환원시키며,
{GP.S.291f. Hegel은 이들이 자연을 법칙의 체계로 보며, 사물들의 운동체계, 원인과 결과 간의 연쇄가 사물의 상이한 속성, 물질(Materie), 사물들의 결합을 산출한다고 보았다고 지적한다.( 같은 책. S.299)
}}
② 종교의 몰개념적이고 긍정적인 전제들과 법적, 도덕적 규정, 사회적 기구를 거부하며, ③절대자를 현재적인 것, 자기의식의 사유의 산물로 파악한다고 정리한다.(GP.291)
헤겔은 이들이 도덕적 가치들을 인간의 자연적 충동, 성향에로 환원시키며, 이 자연적인 것을 인간의 自己愛, 私的 利益(Eigennutz), 사회적 성향(soziale Neigung) 으로 이해한다고 본다. 그는 그들이 인간이 본성적으로 善하며, 인간애, 권리감(Gef hl des Rechts), 재능, 덕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의 규정(Bestimmung)인 정신의 본성을 지각,관찰, 경험으로 환원시키며, 나아가 사회의 필요에 대해서도 그것을 인간에 내재하는 사회적 충동(Trieb zur Geselligkeit)에서 찾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것들이 피상적이며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고 비판한다. (GP.III. 299)
헤겔은 이러한 계몽주의적 원리를 理神論과 唯物論으로 大別한다. 헤겔은 理神論의 至高存在( tre supr me)나 唯物論의 物質(Materie)이란 본질이 모두 순수사유에 기초한 순수한 추상이라고 본다.(PhdG.S.408)즉 이때 對立하는 양 극단은 同一한 것을 一面的으로 區別하고 고정시킨 것으로 모두가 抽象的이다.
계몽의 순수통찰은 초월적이고 사변적인 내용을 모두 부정하고 有限한 사물들과 自己만을 남겨 놓았다. 여기에서 계몽은 이러한 有限한 세계를 질서지우는 보편성, 법칙을 찾는데, 理神論은 그것을 유한한 세계의 합리적 원인을 신이라고 불리는 最高存在로 보고, 唯物論은 有限한 세계의 존재와 運動의 근거가 되는 物質을 그 보편적 본질로 이해한다.
먼저 理神論은 有限한 個別性의 世界를 설명할 원인으로 至高存在( tre supr me)를 상정하는데, 이것은 신앙의 대상이었던 神과는 다른 것이다. 이 至高存在는 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합리적 근거일 뿐이다.
볼테르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신학의 논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결론적으로 신의 존재는 입증할 수는 없으나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처럼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인간이 신의 본질이나 속성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알 수 없다고 본다. 즉 그는 神을 우주의 \'作用原理\'로 이해한다. 그는 神이 자연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운동시키는 \'최초의 動因\'이며, 운동의 이성적 근거로 본다. 이런 의미에서 신은 \'위대한 기하학자\'이다. 그리고 이러한 神의 질서, 神的 調和를 나타내는 세계는 \'필연적인 인과관계의 연쇄\'로 이루어져 있고 (인간들도 포함하여)사물들은 이 필연성에 따라서 운동한다.
{ S.클라크(Clarke)는 당시의 이신론을 다음의 4유형으로 나눈다. ① 영원한 존재인 神을 인정하지만 섭리는 부정하는 입장. ② 신과 그 섭리는 인정하지만 신이 인간(행위)의 행복이나 추함과는 무관하다고 보는 입장. ③ 신, 섭리,도덕적 의무는 인정하지만 영혼불멸과 來世를 믿지 않는 입장. ④ 유일하고 영원하고 무한한 존재, 창조자가 遍在하며 全能하다고 믿지만 계시를 거부하는 입장. 그런데 그는 이 입장 모두가 공통적으로 神의 존재와 自然法則을 인정한다고 지적한다. (S. Goyard-Fabre,1972.S.119)
}}
이러한 理神論에 반대하는 唯物論은 神을 완전히 부정하고 物質(Materie)을 절대적 실재라고 주장한다. 즉 有限한 現實世界에서 自己바깥에 자기로부터 독립된 것으로 있는 객관적 존재를 본질로 본다. 自己는 감각적 지각에 의해 이것과 관계하는데, 唯物論이 주장하는 物質은 이러한 관계 배후에 있는 순수한 基體이다. 즉 우리의 감각적 지각을 사상하고 남아 있는 것, 감각적 지각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 헤겔은 이것을 (理神論의 至高存在와 마찬가지로) 사유의 순수한 본질, \'순수한 추상\'이라고 설명한다. 헤겔의 이러한 지적은 우리가 보통 物質이라고 부르는 것이 우리의 감각에 의해 알게 되는 대상, 즉 경험적으로 지각가능한 특정한 대상--나무, 돌, 집 등--이나 그것의 감각적 성질을 말하는데, 유물론이 제시하는 物質은 이러한 감각적 다양성을 사상하고 사고의 추상작용에 의해 파악된 대상의 초감각적 內面임을 지적한다. 이러한 초감각적 내면은 사고의 창조물이다. 그런데 唯物論者는 이것의 客觀性- - 헤겔이 볼 때는 사고에 의해서만 인식되고 만들어지는 것이지만--을 강조하고 이것이 감각적 사물의 본질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몇몇 唯物論者들의 견해를 살펴보자. 라 메뜨리 La Mettrie는 그의 <人間機械論>, <人間植物論>등에서 延長과 運動을 지닌 物質的 實體를 意識現象을 포함한 모든 自然現象의 기초로 보았다. 그는 데까르뜨와 달리 物質이 延長만을 지닌 것이 아니라 , 運動力과 感覺能力까지 지녔다고 본다. 그는 延長이 物質의 屬性이며, 물질에 고유한 내적 힘을 제2의 屬性이라고 본다. 그는 자연의 세가지 상태인 무기물, 식물, 동물이 모두 단일한 물질적 실체의 서로 다른 형태라고 보고 유기적 자연을 무기적 자연으로부터, 동물을 식물로부터, 인간을 동물로부터 도출해낸다.
헤겔은 <<哲學史講義>>에서 프랑스 계몽주의가 기존의 종교, 권력, 권위 전반에 대해 그것들을 자기의식에 낯선 것들로 비판하고 해체시키는데, 그것의 悟性的 原理 때문에 \'추상적 사상의 狂信\'(GP.S.297)이 되어 자기의식--개체-- 바깥의 모든 것을 파괴함으로써 자기의식 자체도 추상적인 것으로 되면서 파괴된다고 비판한다. 그는 프랑스의 무신론, 유물론, 자연주의가 ① 기계론적 관점에서 자연의 목적개념을 부인하고, 自然的인 것 뿐만 아니라 生, 精神的인 것에서의 精神과 自由의 개념을 무규정적인 자연, 감각적인 것, 기계론, 유용성, 利己(Eigensucht)의 추상으로 환원시키며,
{GP.S.291f. Hegel은 이들이 자연을 법칙의 체계로 보며, 사물들의 운동체계, 원인과 결과 간의 연쇄가 사물의 상이한 속성, 물질(Materie), 사물들의 결합을 산출한다고 보았다고 지적한다.( 같은 책. S.299)
}}
② 종교의 몰개념적이고 긍정적인 전제들과 법적, 도덕적 규정, 사회적 기구를 거부하며, ③절대자를 현재적인 것, 자기의식의 사유의 산물로 파악한다고 정리한다.(GP.291)
헤겔은 이들이 도덕적 가치들을 인간의 자연적 충동, 성향에로 환원시키며, 이 자연적인 것을 인간의 自己愛, 私的 利益(Eigennutz), 사회적 성향(soziale Neigung) 으로 이해한다고 본다. 그는 그들이 인간이 본성적으로 善하며, 인간애, 권리감(Gef hl des Rechts), 재능, 덕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의 규정(Bestimmung)인 정신의 본성을 지각,관찰, 경험으로 환원시키며, 나아가 사회의 필요에 대해서도 그것을 인간에 내재하는 사회적 충동(Trieb zur Geselligkeit)에서 찾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것들이 피상적이며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고 비판한다. (GP.III. 299)
헤겔은 이러한 계몽주의적 원리를 理神論과 唯物論으로 大別한다. 헤겔은 理神論의 至高存在( tre supr me)나 唯物論의 物質(Materie)이란 본질이 모두 순수사유에 기초한 순수한 추상이라고 본다.(PhdG.S.408)즉 이때 對立하는 양 극단은 同一한 것을 一面的으로 區別하고 고정시킨 것으로 모두가 抽象的이다.
계몽의 순수통찰은 초월적이고 사변적인 내용을 모두 부정하고 有限한 사물들과 自己만을 남겨 놓았다. 여기에서 계몽은 이러한 有限한 세계를 질서지우는 보편성, 법칙을 찾는데, 理神論은 그것을 유한한 세계의 합리적 원인을 신이라고 불리는 最高存在로 보고, 唯物論은 有限한 세계의 존재와 運動의 근거가 되는 物質을 그 보편적 본질로 이해한다.
먼저 理神論은 有限한 個別性의 世界를 설명할 원인으로 至高存在( tre supr me)를 상정하는데, 이것은 신앙의 대상이었던 神과는 다른 것이다. 이 至高存在는 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합리적 근거일 뿐이다.
볼테르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신학의 논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결론적으로 신의 존재는 입증할 수는 없으나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처럼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인간이 신의 본질이나 속성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알 수 없다고 본다. 즉 그는 神을 우주의 \'作用原理\'로 이해한다. 그는 神이 자연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운동시키는 \'최초의 動因\'이며, 운동의 이성적 근거로 본다. 이런 의미에서 신은 \'위대한 기하학자\'이다. 그리고 이러한 神의 질서, 神的 調和를 나타내는 세계는 \'필연적인 인과관계의 연쇄\'로 이루어져 있고 (인간들도 포함하여)사물들은 이 필연성에 따라서 운동한다.
{ S.클라크(Clarke)는 당시의 이신론을 다음의 4유형으로 나눈다. ① 영원한 존재인 神을 인정하지만 섭리는 부정하는 입장. ② 신과 그 섭리는 인정하지만 신이 인간(행위)의 행복이나 추함과는 무관하다고 보는 입장. ③ 신, 섭리,도덕적 의무는 인정하지만 영혼불멸과 來世를 믿지 않는 입장. ④ 유일하고 영원하고 무한한 존재, 창조자가 遍在하며 全能하다고 믿지만 계시를 거부하는 입장. 그런데 그는 이 입장 모두가 공통적으로 神의 존재와 自然法則을 인정한다고 지적한다. (S. Goyard-Fabre,1972.S.119)
}}
이러한 理神論에 반대하는 唯物論은 神을 완전히 부정하고 物質(Materie)을 절대적 실재라고 주장한다. 즉 有限한 現實世界에서 自己바깥에 자기로부터 독립된 것으로 있는 객관적 존재를 본질로 본다. 自己는 감각적 지각에 의해 이것과 관계하는데, 唯物論이 주장하는 物質은 이러한 관계 배후에 있는 순수한 基體이다. 즉 우리의 감각적 지각을 사상하고 남아 있는 것, 감각적 지각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 헤겔은 이것을 (理神論의 至高存在와 마찬가지로) 사유의 순수한 본질, \'순수한 추상\'이라고 설명한다. 헤겔의 이러한 지적은 우리가 보통 物質이라고 부르는 것이 우리의 감각에 의해 알게 되는 대상, 즉 경험적으로 지각가능한 특정한 대상--나무, 돌, 집 등--이나 그것의 감각적 성질을 말하는데, 유물론이 제시하는 物質은 이러한 감각적 다양성을 사상하고 사고의 추상작용에 의해 파악된 대상의 초감각적 內面임을 지적한다. 이러한 초감각적 내면은 사고의 창조물이다. 그런데 唯物論者는 이것의 客觀性- - 헤겔이 볼 때는 사고에 의해서만 인식되고 만들어지는 것이지만--을 강조하고 이것이 감각적 사물의 본질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몇몇 唯物論者들의 견해를 살펴보자. 라 메뜨리 La Mettrie는 그의 <人間機械論>, <人間植物論>등에서 延長과 運動을 지닌 物質的 實體를 意識現象을 포함한 모든 自然現象의 기초로 보았다. 그는 데까르뜨와 달리 物質이 延長만을 지닌 것이 아니라 , 運動力과 感覺能力까지 지녔다고 본다. 그는 延長이 物質의 屬性이며, 물질에 고유한 내적 힘을 제2의 屬性이라고 본다. 그는 자연의 세가지 상태인 무기물, 식물, 동물이 모두 단일한 물질적 실체의 서로 다른 형태라고 보고 유기적 자연을 무기적 자연으로부터, 동물을 식물로부터, 인간을 동물로부터 도출해낸다.
추천자료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아시아적 가치
혁명과 자유를 노래한 시인 김수영
정치적 자유주의의 비판과 이해
영국 산업혁명 발생원인에 대한 전통적 견해 비판
[교육철학및 교육사] 20세기 후반의 교육 (실존주의, 분석철학, 비판주의, 신자유주의, 포스...
[도덕][형이상학][예술][자유][도덕공동체][도덕론적 논증][체게바라혁명]도덕의 개념, 도덕...
프랑스 혁명 이후 19세기 유렵의 변화상
급진자유주의의 원리
정치사상 - Q1. 전통적 보수사상에 입각하여, 현재 한국의 보수주의를 비판하시오. & Q2....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에 대한 해외의 반응 - 일제의 야만성을 규탄한 중국, 거족적 행동...
[예술][예술교육][예술교육 필요성][예술교육 운영현황][극장예술교육][프랑스 예술교육 사례...
[세상읽기와논술E형]최근 프랑스에서 발생한 샤를리 에브도 테러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 비판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