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rsini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Yersinia


1. 역학(疫學)

2. 생태(生態)

3. 임상증상

4. 치료(治療)

5. 식중독사례

6. 예방법

본문내용

혈중으로 흘러가서 패혈증을 일으킨다. 예르시니아감염증은 감수성이 높은 젖먹이 어린이를 중심으로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서 감수성은 떨어지고, 발생률도 떨어지나, 증상은 달라지게 된다.
Y. pseudotuberculosis에 의한 감염은 주로 급성패혈증형과 장간막 림프절염형의 2형으로 나누어지나, 후자의 발생이 많다. 젖먹이 어린이가 감염되면 증상은 중독으로 회복까지 1개월 이상을 요한다. 감염하면 대부분의 사례에 있어서 고열이 보이고, 비교적 가벼운 설사와 복통(우하복부), 구토 등의 복부증상도 볼 수 있으나, 볼 수 없는 사례도 있다. 균은 빨리 회장말단부의 림프절로 이행하여 장간막 림프절염을 일으켜, 충수염으로 오진되는 일이 있다. 발진, 홍반, 인두염도 자주 관찰된다. 1929년에 처음으로 기재되고, 최근까지 원인이 불명이었던 발열과 발진을 주증상으로 하는 천열(泉熱)의 원인균은 Y. pseudotuberculosis였던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 입술의 홍조, 매설(每舌), 사지말단의 낙설(落屑), 결막충혈, 경부림프절의 종대, 간기능 저하, 간·비의 종대, 소수 사례에는 심관동맥의 확장성 변화 등이 관찰되고, 가와사키병의 임상증상과 흡사하고 있는 것에서, 가와사키병과의 관계가 주목되고 있다. 그 위에 2차적 자기면역증상으로서 관절통, 신부전, 폐렴 및 결절성 홍반이 보인다.
Y. enterocolitica에 의한 감염의 임상증상은 혈청형에 의하여 다르며, O:3균에 의한 감염은 설사를 주체로 한 증상을 나타내고, O:8균에 의한 감염에서는 패혈증을 일으키는 일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감염은 O:3균에 의하는 것으로, 증상은 설사, 복통을 주증상으로 한 위장염으로 Y. pseudotuberculosis감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고열은 그다지 관찰되지 않는다. 젖먹이 어린이에서는 설사증이 많고, 어린이에서는 회장말단염, 장간막 림프절염을 일으켜, 때때로 충수염으로 오진되는 일이 있다. 설사는 주로 수양변이나, 연변으로 끝나는 것도 있어, 그 정도는 각기 다르다. 이들의 증상 외에 두통, 기침, 인두통 등의 감기와 같은 증상을 수반하는 일도 있다. 북유럽에서는 연령이 높게 되면 관절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 보고된 예는 적다.
1.1.4. 치료(治療)
Y. pseudotuberculosis 및 Y. enterocolitica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에 대하여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르시니아 감염증은 대부분의 경우 자연히 치유되어 항생제의 투여는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다. 항생제의 투여는 전신감염이나 질병이 장기화하였을 때에 필요하다.
1.1.5. 식중독사례
1.1.5.1. Y. pseudotuberculosis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Y. pseudotuberculosis에 의한 집단사례는 없었으며, 단지 산발적인 발생만 있었다. 일본에서는 Y. psedotuberculosis에 의한 집단발생이 지금까지 15례가 있었다. 집단발생의 대부분은 서부 일본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에 이르러 관동이나 동북지방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집단발생례에 있어서의 혈청형은 4b와 5a가 많다. 감염원은 대부분의 경우 살균되지 않은 음료수이나, 야채주스, 샌드위치, 불고기를 원인으로 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는 세계적으로도 예를 볼 수 없을 정도의 집단발생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러시아에서는 본 균 감염증을 극동성 홍열증후군이라고 하며, 러시아극동지방에 있어서 수많은 발생이 있다고 한다.
1.1.5.2. Y. enterocolitica
우리 나라에서는 집단발생보고가 없으며, 일본에서는 1972년에 최초의 집단발생이 보고된 이래, 지금까지 13례의 집단식중독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원인균은 10례가 생물형4, 혈청형 O:3균으로, 2례가 생물형2, 혈청형O:5,27균이었다. 대부분의 사례가 학교 등의 집단급식이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고, 대규모의 것이 많다. 환자 중에는 우하복부통을 호소하는 것도 보여, 불행히도 많은 환자가 충수 적출수술을 받은 사례도 있다. 본 균의 잠복기간은 2∼5일로 다른 식중독원인균에 비해 길며, 검식 등의 검사가 충분히 행할 수 없는 점으로 원인식품을 확정짓기 어렵다.
1976년 미국 뉴욕주 오네이다군에서 초등학교 학생을 포함하여 초콜레이트 우유를 먹고 식중독이 발생하였다. FDA에서 즉각 조사를 실시하여 환자와 식품에서 Y. enterocolitica와 Y. pseudotuberculosis가 검출되었다.
1981년 12월부터 1982년 워싱톤주 킹군에서 2월 두부를 먹고 Y. enterocolitica가 발생하였다. FDA조사자들은 염소소독을 하지 않은 공급수가 전염원임을 확인하였다. 공장은 오염되지 않은 생산품이 나올 때까지 정지되었다.
1982년 6월 11일부터 7월 21일까지, 아칸사스주, 테네시주 및 미주리주에서 살균우유를 먹고 Y. enterocolitica가 발생하였다. FDA가 관여하여 심하게 오염된 우유 용기가 감염원으로 추정되었다.
1.1.6. 예방법
Y. pseudotuberculosis 및 Y. enterocolitica는 돼지에게 보균되어 있어 사람으로의 감염은 주로 돈육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식품위생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도축장 정비가 행해져 도축과정에서 돈지육의 식중독 원인균에 의한 오염은 감소경향에 있으나 돈육의 예르시니아 오염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고, 도축장의 관리 및 공정의 새로운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식육을 오염한 병원성 예르시니아의 증식은 냉장온도에서는 억제된다고는 하나, 장기간 생존하므로, 냉장을 과신하는 일없이 충분한 가열과 조리기구에 의한 2차 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수계감염에 의한 Y. pseudotuberculosis감염은 상수도의 보급에 의하여 감소의 경향에 있으나, 지리적으로 상수도를 부설할 수 없는 지역에 있어서는 우물물이나 약수를 생으로 마시지 않도록 유의하고 특히 감수성이 높은 유아에의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5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