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들은 웃는가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간의 심신에 관한 문제

2. 인간의 정서에 관하여

3. 인간의 자유의지와 결정론에 관하여

3. 결론

4. 참고서적

본문내용

현상간의 필연성을 주장하는 因果律은 물질의 세계에는 적용되나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내적 의식의 영역에서는 결코 적용될 수 없으므로,필연적인 결정을 통해 삶을 설명하려는 인과율의 모든 시도는 잘못된 것이다.
이와같은 견지에서 베르그송은 인과율의 필연성을 거부하고 자기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 가는데 그것이 바로 自由이다.그리하여 그는 자유를 일어난 행위와 일어나지 않은 행위와의 관계에서 찾아서는 안되며 행위 자체가 지니고 있는 어떤 뉘앙스나 質 속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즉 베르그송에 있어서 자유는 구체적 자아와 그 구체적 자아가 행하는 행위와의 관계'에서 찾아져야 하며 자유로운 행위는 全人格에서 우러나는 행위라고 정의한다.그리고 자유스럽지 못한 행위는 우리의 전인격에서 유래하지 않은 행위이며,이것을 그는 표층자아에 근거한 행위라고 한다.표층자아는 타인과 관계 맺을 때 사회적 필요성을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다.그러므로 Bergson의 입장에서는 웃음은 표층자아의 표현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하지만 Spinoza의 모든 사물은 우연에 의하여 기쁨이나 슬픔 또는 욕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말에는 웃음에 대한 냉소성을 포함하는 어떤 뉘앙스를 풍기고 있다.
III.결론
사실 우리가 왜 웃는가 ?' 라는 문제는 우리가 왜 사는가 라는 문제만큼이나 어려운 문제이다. 그 이유는 때때로 우리들의 감정의 표출이 우리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일어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의지력의 한계를 넘어서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 까지 이르기도 하기 때문이다.그러므로 웃음의 원인이나 이유를 알려고 한다면 그 근본 문제에까지 접근하지
않고서는 단지 枝葉的인 문제들만 언급하는데 그치고 말 것이다.
역시 베르그송이 말한 다음과 같은 생명은 지극히 단순하고 그러면서도 어색하지 않게 자연스런 것인데,인위적인 기계성이 생명을 가장하게 될 때 웃음이 터지고 코메디가 시작한다.그러므로 희극적인 것은 정신적인 의식의 질서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희극은 행동처럼 무의식적인 것이어야 한다.웃음은 생명의 자연스런 흐름이 중단된 상태가 주는 파격성에서 온다.자연스런 것에는 웃음을 느끼지 않는다.'등 등의 말들도 웃음의 근본적인 원인을 말한다고 볼 수 없다.인간이 근본적으로 웃는 것은 인간은 살기 싫어도 살아야 하고 죽기 싫어도 죽어야 하는 비극적인 존재인 한에서 웃기 싫어도 웃을 수 밖에 없는 우스운 존재이기 때문이다.결국 인간만이 자신들이 우스운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기 때문에 우리는 웃는 것이다.
<참고서적>
사유와 운동 - 앙리 베르그송 지음/이광래 옮김 - 종로서적 -
베르그송의 철학 - 김형효 - 民音社 -
웃음 - 앙리 베르그송 지음/김 진성 옮김 - 종로서적 -
에티카 - B.Spinoza 지음/강영계 옮김 - 서광사 -
<참고논문>
하 양 협, H.Bergson 의 자유론 ,慶尙大學校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0.
김 성 태, Spinoza의 [윤리학]에 있어서 心身關係 ,경북대학교
철학대학원,석사학위 논문,1988

키워드

웃음,   정서,   감정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