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의 개념
2. 전자상거래시장(electronic commerce marketplace)
3. 전자상거래의 영향
4. 전통적인 상거래방식과의 비교
5. 전자상거래와 소비자구매특성별 현황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Ⅱ. 이론적 배경
1.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의 개념
2. 전자상거래시장(electronic commerce marketplace)
3. 전자상거래의 영향
4. 전통적인 상거래방식과의 비교
5. 전자상거래와 소비자구매특성별 현황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00.0)
547(100.0)
992(100.0)
χ2 =21.386** df =6
* p<.05, ** p<.01, *** p<.001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적 및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품정보매체,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배너광고로 인한 상품구매, 선호경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구매경험 쇼핑몰, 쇼핑몰을 알게 된 경로,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선호경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력에 따른 분석결과,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선호경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소득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심상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결혼상태에 따른 분석 결과, 구매경험 쇼핑몰, 상품정보매체, 쇼핑몰을 알게 된 경로,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배너광고로 인한 상품구매, 선호경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충동구매의 경우,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우가 전자상거래를 통한 충동구매 성향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10대에서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의 충동구매 상품을 살펴볼 때, 특히 남성의 경우 컴퓨터 관련 용품을, 여성과 10대의 경우 패션 및 잡화를 충동구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이 낮은 고졸이하의 경우 패션 및 잡화에서 충동구매 하는 성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전자상거래를 통한 충동구매 성향이 높은 집단은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며, 학력이 낮은 10대의 청소년집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하여 전자상거래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비자 능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합리적 구매를 위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자들의 주요 관심상품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 컴퓨터 관련상품에, 여성은 패션 및 잡화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연령별로는 10대에서 20대 후반의 젊은 연령층의 경우 패션잡화 및 선물에 관심이 높았다. 또한 결혼 상태별로는 미혼의 경우 컴퓨터와 문화·서비스용품에 관심이 높은 반면 기혼의 경우 식료품 및 가정용품과 자동차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구통계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전자상거래를 통한 관심상품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인구통계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시장세분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별로 소비자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별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히 정보제공의 경우, 성별, 결혼상태별로 선호하는 상품정보 매체를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다. 즉, 남성의 경우 PC 인터넷을 통한 외적 탐색을 많이 하는 반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과거 자신의 상품구매 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적 탐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의 경우 미혼 보다 인쇄매체를 통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쇼핑몰을 알게 되므로 이러한 정보탐색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배너광고가 상품의 구매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5%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컴퓨터 관련용품을, 미혼과 여성의 경우는 문화·서비스용품이나 패션잡화 및 선물을 배너광고를 통해서 구매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배너광고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인 충동구매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소비자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소비자교육 및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들을 통해서 볼 때,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자구매만족을 위해서는 충동구매 유도와 배너광고로 인한 소비자 과소비문제, 전자지불시스템과 전자상거래 보안문제 등 꾸준한 전자상거래 시장형성을 위한 체계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참 고 문 헌
김기옥(1999),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문제",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34-42.
김상용·박성용(1999), "전자상거래에서 혜택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실제 및 잠재 소비자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79-114.
박복재(1997),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법적 고찰",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11(1) 205-237.
안중호(1998), "전자상거래 활용에 대한 소비자만족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논집, 34(4) 194-208.
이기주(1999), "전자상거래 관련 법적 환경",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23-33.
이금주(1997),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쇼핑구매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두희(1999), "한국소비자대상 전자상거래의 현황과 전망",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2-22.
조윤성(1988),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조선일보(1998), 10월 22일 기사 "인터넷이용 전자상거래 급증".
한국경제신문(1998), 8월 12일 기사 "인터넷 쇼핑몰 상품 시중가보다 비싸".
황병종(1999), "전자상거래 실무현황 및 소비자보호대책",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43-52.
http://www.dongduck.ac.kr(동덕여자대학교 경영학과 유극렬교수)
http://www.dongduck.ac.kr(동덕여자대학교 정보상업학과 주재훈교수)
http://user.chollian.net(한성대학교 무역학과 권순범교수)
http://ecrc.smipc.or.kr(중소기업진흥공단 EC지원센터)
http://www.ktnet.co.kr((주)한국무역정보통신)
http://www.ecgate.co.kr(전자상거래 토탈솔루션 ECGAIE)
http://galaxy.channeli.net(ON-eCommerce )
http://myhome.netsgo.com(마이홈)
547(100.0)
992(100.0)
χ2 =21.386** df =6
* p<.05, ** p<.01, *** p<.001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적 및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품정보매체,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배너광고로 인한 상품구매, 선호경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구매경험 쇼핑몰, 쇼핑몰을 알게 된 경로,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선호경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력에 따른 분석결과,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선호경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소득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구매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심상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결혼상태에 따른 분석 결과, 구매경험 쇼핑몰, 상품정보매체, 쇼핑몰을 알게 된 경로, 충동구매상품, 관심상품, 배너광고로 인한 상품구매, 선호경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충동구매의 경우,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우가 전자상거래를 통한 충동구매 성향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10대에서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의 충동구매 상품을 살펴볼 때, 특히 남성의 경우 컴퓨터 관련 용품을, 여성과 10대의 경우 패션 및 잡화를 충동구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이 낮은 고졸이하의 경우 패션 및 잡화에서 충동구매 하는 성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전자상거래를 통한 충동구매 성향이 높은 집단은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며, 학력이 낮은 10대의 청소년집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하여 전자상거래시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비자 능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합리적 구매를 위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자들의 주요 관심상품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 컴퓨터 관련상품에, 여성은 패션 및 잡화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연령별로는 10대에서 20대 후반의 젊은 연령층의 경우 패션잡화 및 선물에 관심이 높았다. 또한 결혼 상태별로는 미혼의 경우 컴퓨터와 문화·서비스용품에 관심이 높은 반면 기혼의 경우 식료품 및 가정용품과 자동차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구통계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전자상거래를 통한 관심상품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인구통계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시장세분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별로 소비자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별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히 정보제공의 경우, 성별, 결혼상태별로 선호하는 상품정보 매체를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다. 즉, 남성의 경우 PC 인터넷을 통한 외적 탐색을 많이 하는 반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과거 자신의 상품구매 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적 탐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의 경우 미혼 보다 인쇄매체를 통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쇼핑몰을 알게 되므로 이러한 정보탐색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배너광고가 상품의 구매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5%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컴퓨터 관련용품을, 미혼과 여성의 경우는 문화·서비스용품이나 패션잡화 및 선물을 배너광고를 통해서 구매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배너광고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인 충동구매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소비자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소비자교육 및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들을 통해서 볼 때,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자구매만족을 위해서는 충동구매 유도와 배너광고로 인한 소비자 과소비문제, 전자지불시스템과 전자상거래 보안문제 등 꾸준한 전자상거래 시장형성을 위한 체계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참 고 문 헌
김기옥(1999),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문제",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34-42.
김상용·박성용(1999), "전자상거래에서 혜택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실제 및 잠재 소비자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79-114.
박복재(1997),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법적 고찰",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11(1) 205-237.
안중호(1998), "전자상거래 활용에 대한 소비자만족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논집, 34(4) 194-208.
이기주(1999), "전자상거래 관련 법적 환경",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23-33.
이금주(1997),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쇼핑구매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두희(1999), "한국소비자대상 전자상거래의 현황과 전망",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2-22.
조윤성(1988),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조선일보(1998), 10월 22일 기사 "인터넷이용 전자상거래 급증".
한국경제신문(1998), 8월 12일 기사 "인터넷 쇼핑몰 상품 시중가보다 비싸".
황병종(1999), "전자상거래 실무현황 및 소비자보호대책", 한국소비자학회 99년 학술발표논문집, 43-52.
http://www.dongduck.ac.kr(동덕여자대학교 경영학과 유극렬교수)
http://www.dongduck.ac.kr(동덕여자대학교 정보상업학과 주재훈교수)
http://user.chollian.net(한성대학교 무역학과 권순범교수)
http://ecrc.smipc.or.kr(중소기업진흥공단 EC지원센터)
http://www.ktnet.co.kr((주)한국무역정보통신)
http://www.ecgate.co.kr(전자상거래 토탈솔루션 ECGAIE)
http://galaxy.channeli.net(ON-eCommerce )
http://myhome.netsgo.com(마이홈)
추천자료
외식업체 이용실태조사
[사회복지]노인들을 위한 이동목욕서비스 욕구조사 [질문지 및 SPSS분석]
중소도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사회복지조사론] 노인 일자리프로그램사업의 필요성과 문제점 및 개선 확대 방안 (2012년 추...
양적 조사에서 질문지를 작성할 때 유의사항에 대해 논하시오
질적조사의 이해
조사에 있어 윤리적인 문제(쟁점)이 될 만한 것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 조사연구
[지역사회조사] 송파구 잠실본동
[지역사회조사] 송파구 잠실본동
‘에일스톤’의 소비자 반응 조사 및 마케팅 전략
봉사활동 경험여부에 따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장애인식 및 태도조사
가설의 정의에 대하여 서술하고 특성과 기능에 대하여 정리하시오.
사회복지에서 조사연구가 합리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경험적으로 입증된 더 나은 서비스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