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군비통제적 측면에서의 평화체제구축 : 남북문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남북한 군비현황

Ⅲ. 남북한 군비통제 내용

Ⅳ. 결 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보에 저해가 되는 전력의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차원에서 기습공격 및 대규모 공세작전 능력의 제한 및 제거에 중점이 두어져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남북한 쌍방은 보다 낮은 수준의 재래식 전력을 유지하고서도 안보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감축 과정은 상호 현장사찰을 원칙으로 하는 철저한 검증체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추진하여야 하는 것은 부연할 필요가 없다.
남북한간에는 남북정상회담과 국방장관회담을 통해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의 협의를 위한 기반은 일단 조성된 셈이다. 경의선 철도·도로 연결을 위한 남북 군사당국자간 접촉과정을 통하여 남과 북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쟁점들을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남북 군사당국자간 신뢰를 구축하고 긴장이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고 남북국방장관회담이 정례화 되어 보다 진지하고 실질적인 문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된다면 철도·도로공사와 관련된 군사적 지원문제 뿐만 아니라 군사적 신뢰구축 및 긴장완화를 위한 제반 의제들이 본격 협의·추진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군비통제 문제도 보다 진일보된 논의가 될 것이고 나아가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체제가 구축되리라고 전망된다.
그러나 남북한간의 군비통제문제의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한간의 입장차이의 문제점들은 시각을 좁혀나가고 공통점들은 제도화하여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많은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며 지혜가 한곳에 모아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구영록, 『국가 흥망론』, 서울: 어문각, 1998.
국방부, 『국방백서 1997∼1998』, 서울: 국방부, 1997.
국방부, 『국방백서 2000∼2001』, 서울: 국방부, 2000.
金江寧, "북한의 전략무기 개발과 우리의 대응", 『國際問題』7월호, 서울: 국제문제연구소, 1996.
金 燮, "북한 미사일 개발의 수준", 『민주평통』, 제182호, 1995.
김학준, "북한의 대량파괴무기 개발과 한·미 공동대처의 방향",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9.
신성택, "대량살상무기체계의 확산동향," 권태영 외, 『21세기 군사혁신과 한국의 국방비전』,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8.
양성철, "북한 핵과 대북정책", 『북한 핵문제와 남북한 관계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4.
양영식, 『통일정책론』, 서울: 박영사, 1997.
李相禹, 『國際關係理論』, 서울: 박영사, 1999.
李瑞恒, "南北韓 軍備統制 方案의 比較,"『統一問題硏究』제2권4호, 서울: 국토통일원, 1990.
李春根, 『북한 핵의 문제』, 서울: 세종연구소, 1995.
李昊宰, "韓半島 軍縮, 정치적 결단으로 가능하다", 『新東亞』, 서울: 동아일보사. 1990.10.
전정환, "미·북관계의 추이와 한반도 평화" 『국제문제』제30권 10호,
서울: 국제문제연구소, 1999.
함택영, 『국가안보의 정치경제학 : 남북한의 경제력·국가역량·군사력』, 서울: 법문사, 1998.
황진환, "포괄적 대북정책과 군비통제: 남북한 군비통제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국방정책연구』, 제45호, 1999.
황진환, "남북한 군비통제: 문제점과 정책적 고려사항," 『대한정치학회보』, 대구: 중문출판사, 2001.
통일부, 『남북교역 실무안내』, 서울: 통일부 남북대화사무국. 1998.
통일원, (1994),『남북한 군축제의 관련 자료집』, 서울: 통일원 남북대화사무국, 1994.
『문화일보』, 1999년 2월 3일.
『월간조선』, 2000년 8월호
『조선일보』,1995년 3월 22일
『중앙일보』, 1988년 6월 10일.
『중앙일보』, 1988년 10월 18일.
『중앙일보』, 1990년 9월 5일.
『중앙일보』1999년 3월 13일.
『중앙일보』, 2000년 6월 15일
『중앙일보』, 2000년 9월 27일
『한국일보』 1999년 3월 4일.
『중앙일보』, 2001년 11월 24일
Bennett, Bruce Wm., "The Dynamics of the North Korean Threat: The Erosion of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ies, Real or Imagined?" A Paper Prepared fo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hanging Dynamics of Korean Security held at Seoul, (November 4-7). 1998.
Gray, Colin S., "Arms Control: Problems," in R. James Woolsey, ed., Nuclear Arms: Ethics, Strategy, Politics, San Francisco: ICS Press. 1984.
Goldman, Emily O., "Arms Control in the Information Age," in Nancy W. Gallagher ed., Arms Control: New Approaches to Theory and Policy, Portland, Oreg.: Frank Cass. 1998.
Kruzel, Joseph, "Arms Control: What's Wrong with the Traditional Approach," in Paul R. Viotti, ed., Conflict and Arms Control: An Uncertain Agenda, Boulder, Colo.: Westview Press. 1986.
Mack, Andrew, "The Nuclear Crisis on the Korean Peninusla", Asian Survery, Vol. 33, No. 4. 1993.
Niksch, Larry A.,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CRS) Issue Brief, Washington, D.C.: The Library of Congress. 1991.
htt:/www.nis.g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3.06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