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문화축제 평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문화문화축제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지역문화축제와 거버넌스
1. 지역축제의 관변화와 축제평가의 왜곡
2. 문화행정의 최근 경향과 지역문화거버넌스

Ⅲ. 사례 분석
1.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 추진위원회의 구성
2. 지방정부의 역할
3. 민간단체·시민의 참여 및 역할
4. 기업의 참여 및 역할
5. 평 가

Ⅳ. 맺 음 말

본문내용

축제추진위원회가 민간주도형 축제로 만들어 가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실 축제라는 것 자체에 정부 혹은 정책이 개입되는 것이 그 자체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은 것이 부족한 우리의 지역문화축제의 환경에서는 바람직한 축제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까지 만이라도, 일정한 정책상의 방향전환이나, 제도적 개입, 운영의 기술 등을 연구할 필요성(이동연, 2001: 33)이 있으며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지역문화 거번너스가 있다. 지역문화 거버넌스가 지향하는 방향성이라는 것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대등한 관계성, 참여를 통한 상호협력과 타협, 협상 및 대화, 그리고 공동책임이다. 지금까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형식적으로 각 행위주체들의 역할을 현실적 여건 하에서 적절히 조합하여 합리적 방향으로 이끌어가려고 노력은 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과거부터 존재한 행정적 관행, 민간부문의 인식부족, 그리고 기업들의 인식들이 어느 한 순간에 바뀌어 질 수 없으며, 변화에 대한 욕구가 있다할지라도 현실적인 여건이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경우 형식적 변화만이 엿보였을 뿐이다. 아직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 이러한 현실적 제약을 뛰어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실질적 집행구도의 확립과 재정독립이 이루어지고 대등한 관계로서 공식적 추진단체와 정부, 민간단체, 지역주민들의 협력과 이해가 이루어 질 때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언급이 없었지만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가지고 축제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지역축제 평가의 기준에 대해서 진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문화축제는 지역민이 참여하여 지역 정체성을 확인하고, 발전시키며, 창조하는 장이다. 이러한 조건만이 성취된다 할지라도 이 축제는 성공한 축제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지 축제로 인해 지역경제의 활성화, 수익의 증대가 축제의 성패를 가름하는 유일한 잣대가 될 수는 없다. 평가는 바로 평가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명자. 1995. 지역축제의 방향을 위한 시론, 「비교민속학」, 12.
김문환. 2000. 창조적 자립을 통한 지방문화 발전정책 활성화.「지방포럼」2000.
김석준 외. 2002. 「거버넌스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김춘식. 1999. 지역개발전략으로서 전통문화와 관광상품화-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1(1).
문태현. 2002. 「안동의 문화관광정책」, 안동: 영남사.
문화개혁을위한시민연대. 2002. 「2002 문화관광부 지정 우수지역축제 상반기 평가보고서」.
______________________. 2002. 「2002 문화관광부 지정 우수지역축제 하반기 평가보고서」.
박광국·채원호 외. 2002. 「문화행정조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신창호. 1999. 상생적 관계로서의 지역문화와 지역경제. 「지방행정」.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추진위원회. 2001. 「1등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안동: 영남사.
이장섭. 1995. 독일의 지역축제. 「민족과 문화」, 3집.
임재해. 2001. 지역축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역할. 「비교민속학」, 20.
임학순. 1996. 지방문화행정의 발전방안. 「지방행정연구」, 11(3).
정근식 외. 1999. 「축제, 민주주의, 지역활성화」, 서울: 새길.
정홍익. 1992. 문화행정연구: 개념틀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25(4).
채원호. 2002. 일본의 문화거버넌스 연구. 「2002년도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최삼창. 1995. 마츠리의 상징적 세계. 「비교민속학」, 12.
Agnew, John, Mercer, John & Sopher Davide. 1984. The City in Cultural Context. Boston: Allen & Unwin, 1984.
Gets, D. 1991. Festival,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 : Van Nostrand Roinhold.
Kooiman, J. (ed.). 1993. Modern Governance: New Government Society Interactions. London : Sage.
Kouwenhoven, V. 1993. Public-private Partnership: A Model for the Management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J. Kooiman (ed.). Modern Governance: New Government Society Interactions. London : Sage.
Lindblom, C. 1977. Politics and markets : The world's political-economic system. New York : Basic Books
Pick, John. 1980. Art Administration, E, & F.N. Spon: London.
Rhodes, R.A.W. 1996.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Political Studies. 44(4): 652-667.
UNESCO. 1982. Mexico City Declaration on Culture Policies, Paris: UNESCO.
Williamson, O.E. 1978. Markets and Hierarchies. New York : Tree Press.
Wolf, C. Jr. 1988. Markets or Governments: Choosing between Imperfect Alternatives. Cambridge. Mass. : The MIT Press.
Ⅰ. 문제의 제기
Ⅱ. 지역문화축제와 거버넌스
1. 지역축제의 관변화와 축제평가의 왜곡
2. 문화행정의 최근 경향과 지역문화거버넌스
Ⅲ. 사례 분석
1.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 추진위원회의 구성
2. 지방정부의 역할
3. 민간단체·시민의 참여 및 역할
4. 기업의 참여 및 역할
5. 평 가
Ⅳ. 맺 음 말
참 고 문 헌
  • 가격1,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3.04.02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