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칭 테크닉을 위한 신체학습법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II . 신체학습과 알렉산더 테크닉
1. 신체학습의 개념
2. 알렉산더 테크닉

III. 스트레칭 테크닉을 위한 신체학습법
1. 지향성과 관념운동
2. 신체학습법의 준비과정과 적용
1)준비과정
2)관념운동 촉진

I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 그리고 신체학습법의 준비과정과 적용방법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체학습은 신체적/정신적 측면을 활용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며, Alexander의 스트레칭은 자아에 대한 관찰과 지각, 전신의 활용, 억제와 목적 달성, 그리고 방향 등 4단계로 구성된 운동 감각반응의 훈련을 통해 무용수의 신체적 유연성을 달성하는데 있다.
둘째, 한 감각과 다른 감각을 구분케 하는 요소인 Alexander의 지향성은 전체론, 전방향성과 무한한 힘을 육체적으로 경험케 만드는 생각을 운동 감각적으로 합성한 것이며, Sweigard의 관념운동은 골격의 해부학적/역학적 실체에서 발견된 힘의 균형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이미지 자극(심상)을 이용하여 신체 내에서 일어난 변화를 느끼는 것이다.
셋째, 신체학습법을 스트레칭 훈련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근육조직과 신체 인식을 통해 운동 감각적인 인식을 하고, 신경 근육의 조합에 특이성을 가져오는 관념운동 촉진을 훈련하며, 그리고 근육행위와 연결 조직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기초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칭 원리를 통합해서 실시하는 것이다.
이처럼 신체학습법을 이용한 스트레칭 훈련은 무용수들에게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스트레칭을 위한 지적 토대를 제공하는 동시에, 무용수의 인지적, 운동 감각적 민첩성을 개선하고 신체에서 일어난 다양한 변화들을 의식적으로 인지하도록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스트레칭 테크닉으로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4가지 형태의 훈련방법(탄도, 정적, 수동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등이 있으며, 특히 생리학적 측면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신경근 스트레칭의 경우는 관절의 동작범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힘을 배양하는데도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스트레칭 훈련의 근본적인 목적이 무용수의 유연성, 동작의 효과와 동작의 질을 개선 및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할 때, 신체학습법을 이용한 스트레칭은 유연성 외에도 집중력과 의지력을 훈련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테크닉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Alexander의 테크닉과 Sweigard의 관념운동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통해서 신체학습법을 활용한 스트레칭 훈련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슬와근을 포함한 타 근육군에 대한 실험연구를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참고문헌
김계숙(1997), "무용에 있어서 스트레칭의 원리와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exander, F.M.(1932). The use of the self. Long Beach, CA: Centerline Press.
Andrews, M. & Batson, G.(1984). Head balance in action. New York: Raw Data.
Batson, G.(1993). "Stretching technique." Impulse, 2(1), 126-140.
Dilley, B.(1990). "Creative process & meditation." Contact Quarterly, 15(3), 40-44.
Dowd, I.(1985). Maintaining healthy bones and muscles. New York: Raw Data.
Feldenkrais, T.(1972). Awareness through movement. New York: Harper & Row.
Gold, L.(1992). "Gaining grace: A somatic perspective." Somatics, 9(1), 34-41.
Goldfarb, L.W.(1989). Articulating changes. Berkeley: Feldenkrais Resources.
Granit, R.(1975). The purposive brain. Cambridge, MA: The MIT Press.
Hanna, T.(1979). The body of life. New York: Knopf.
Hawkins, E.(1992). The body is a clear place. Princeton, NJ: Princeton Book Co.
Hayles, N.K.(1984). The cosmic web.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Jones, F.P.(1976). Body awareness in action. New York: Schocken Books.
Joyce, M.(1981). "The physiological learning process." Somatica, 3(2), 40-44.
Juhan, D.(1987). Job's body. Barrytown, NY: Station Hill Press.
Moore, M.A. & Huton, R.S.(1980). "Electromyographic investigation of muscle
stretching techniqu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2,
322-329.
Mutch, P.A.(1991). "Remembered passion." Semiotica, 87(1), 59-81.
Pribram, K.(1977). Holonomy and structure. Boston: D. Reidel.
Rasch, P.J. & Burke, R.K.(1977). Kinesiology and applied anatomy: The science
of human movement. Philadelphia: Lea & Febiger.
Reid, C.(1992). Sports injury assessment & rehabilitation. New York: Churchill.
Sarfan, R., Seeber, V. & Garrett, E.(1989). "Warm-up and muscular injury
prevention." Sports Medicine, 8, 239-249.
Sweigard, L.(1974). Human movement potential. NewYork: Dodd, Mead & Co.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4.12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