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창제와 보급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훈민정음 창제

2. 훈민정음 반포

3.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4.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

본문내용

를 모르겠다.
동궁(東宮)은 덕성이 성취(成就)하였다 할지라도 계속 성학(成學)에 온 마음을 쏟아야 하는데 문사(文士)의 육례(六禮)에 불과한 언문을 배워서는 안 된다. 이러한 언문은 만가지 치도에 하나도 이익됨이 없다.
▶ 세종실록에 나타난 세종의 대응(1444. 2 /세종실록 26권)
임금이 상소를 보고 최만리 등에게 이르기를, 그대들이 '음(音)을 사용하고 자(字)를 합한 것이, 모두 옛 글에 어긋난다' 하였는데, 설총의 이두도 역시 (한자와는) 다르지 않느냐? 또 이두를 만든 본뜻이 곧 백성을 편리하게 함이 아니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라면 지금의 언문도 역시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 아니냐? 그대들이 설총은 옳다 하고, 임금이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 것은 무엇이냐? (하략)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3.05.0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