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훈민정음 창제
2. 훈민정음 반포
3.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4.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
2. 훈민정음 반포
3.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4.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
본문내용
를 모르겠다.
동궁(東宮)은 덕성이 성취(成就)하였다 할지라도 계속 성학(成學)에 온 마음을 쏟아야 하는데 문사(文士)의 육례(六禮)에 불과한 언문을 배워서는 안 된다. 이러한 언문은 만가지 치도에 하나도 이익됨이 없다.
▶ 세종실록에 나타난 세종의 대응(1444. 2 /세종실록 26권)
임금이 상소를 보고 최만리 등에게 이르기를, 그대들이 '음(音)을 사용하고 자(字)를 합한 것이, 모두 옛 글에 어긋난다' 하였는데, 설총의 이두도 역시 (한자와는) 다르지 않느냐? 또 이두를 만든 본뜻이 곧 백성을 편리하게 함이 아니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라면 지금의 언문도 역시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 아니냐? 그대들이 설총은 옳다 하고, 임금이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 것은 무엇이냐? (하략)
동궁(東宮)은 덕성이 성취(成就)하였다 할지라도 계속 성학(成學)에 온 마음을 쏟아야 하는데 문사(文士)의 육례(六禮)에 불과한 언문을 배워서는 안 된다. 이러한 언문은 만가지 치도에 하나도 이익됨이 없다.
▶ 세종실록에 나타난 세종의 대응(1444. 2 /세종실록 26권)
임금이 상소를 보고 최만리 등에게 이르기를, 그대들이 '음(音)을 사용하고 자(字)를 합한 것이, 모두 옛 글에 어긋난다' 하였는데, 설총의 이두도 역시 (한자와는) 다르지 않느냐? 또 이두를 만든 본뜻이 곧 백성을 편리하게 함이 아니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라면 지금의 언문도 역시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 아니냐? 그대들이 설총은 옳다 하고, 임금이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 것은 무엇이냐? (하략)
추천자료
한글전용과 한자혼용 혹은 한자병용에 대해 논쟁
한글서체에 대한 고찰
한글의 기원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사용에 있어서 한자사용의 의의에 대해 논술하시오.
한글 역사
한글날(갑안 지도안
한글의 경제성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장점
한글의 모아쓰기 방식과 풀어쓰기 방식
우리말(우리글, 한글, 국어) 특징과 어원, 우리말(우리글, 한글, 국어) 문제점, 우리말(우리...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우수성,유래,맞춤법,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인도문자기...
한글의 변천과정에 대해서 초기한글의 형태와 요즘 한글의 형태를 시대별로 나열해주시고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