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전용과 한자혼용 혹은 한자병용에 대해 논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글이란 무엇인가

3. 한글전용의 개념

1. 첫째의 쟁점으로는 의미혼란문제를 들수 있습니다.

2. 두번째로 교류 및 관광증대

4. 한문교육 강화문제

5. 정보화 추진문제

6. 한글을 위한 한자의 필요성

본문내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어휘의 75% 이상이 한자어휘로 돼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있어 한자교육은 영어나 프랑스어와 같은 차원에서의 외국어 교육이 아니라 바로 모국어로서의 국어교육임을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이들은 마치 한자를 남의 나라 문자처럼 착각하고 배척하고 있는데, 한자를 배우자는 것은 곧 국어생활을 더욱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도모함이다. 한자는 단순히 한자의 구실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성교육에 바탕이 되기 때문에 반세기 동안의 한자교육의 단절은 곧 인성의 추락을 초래했다. 한자병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한글은 우리나라 고유의 글이자 우리의 정체성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한자표기를 병행한다고 해서 정체성이 허물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한글 표기만으로 뜻을 알 수 없는 단어들이 수없이 많은 상황에서 한자를 병행해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인 의미 전달을 제대로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한글단체들도 중·고등학교에서의 한문교육 강화 필요성은 대체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글단체들은 이 논리가 초등학교 한자교육론이나 한자겸용 등으로 확산될 폐단이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5.정보화 추진문제
문화부는 한자병기가 정보화 추진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태도다. 한자가 정보화에 문제가 된다는 것은 타자기로 문서를 만들 때 이야기이며, 현재는 각종 컴퓨터 워드프로세서가 1만자 이상의 한자를 지원해 한자를 문서화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사용이 일상화 된 정보화 사회에서도 한자의 중요성은 줄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한글단체들은 "컴퓨터로 한글을 한자로 바꾸려면 한자 한자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쳐야한다"며 "이는 앞으로도 문서의 빠른 처리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6.한글을 위한 한자의 필요성
혼용론자들은 한글전용화란 것도 한자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얼마나 공염불에 그치는 지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자와 한글 모두 나름대로 우리 언어생활에서 가치를 지니는 것이며 이들 둘을 모두 살려 우리어휘를 풍부히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자어 '생명'에 흔히 대비되는 우리말 '목숨'의 경우 문장이나 문맥에 따라 바꿔 쓸 수 있는 경우도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것은 한자와 한글이 모두 우리 언어생활에서 나름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다. 우수한 한글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한자를 혼용하면 어느 나라보다도 문자 활용의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용론자들은 한글전용은「突入」을「돌입」이라 쓰고「憂慮」를「우려」로 쓰는 것이 아니다. 「시작, 들어감」「걱정」등의 순우리말로 쓰는 것이 제대로 된 한글전용이기에 동음이의어를 문제 삼을 수 없다. 남용되는 외래어들로 우리언어 문화가 이미 정체성을 잃은지 오래다. 오히려 사라져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말을 찾아내 오늘날에 맞게 고쳐 쓰는 것이 올바른 일일 것입니다.
저희는 이번 발표준비를 하면서 조금이나마 한글전용과 한자병용에 대해 알 수가 있었습니다. 저희가 한글전용에 대해 준비하기도 하였지만 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우리의 나아갈 길은 한글전용이라는 것입니다. 솔직히 현재의 우리말과 글은 한글전용이라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여러 외래어의 범람에 휩싸여 있습니다. 예전부터 내려온 한자혼용과 더불어 요즘에는 영어, 일본어, 인터넷 신조어 등에 둘러싸여 한글의 아름다움이 훼손되고 있습니다.
앞에서 나온 조사에서 예전보다 고유어의 쓰임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볼 때 그것을 단순히 어휘가 바뀐 것만으로 보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 말과 글은 개개인이 순화해서 쓴다고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문자정책이 뒷받침을 해줘야 우리말에 대한 관심과 발달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글전용은 우리 말과 글을 조금이나마 순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한글전용이 고유어만을 쓰자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미 깊이 들어와 거의 고유어와 구분이 안 가는 말은 그대로 쓰되 앞으로 새로 만들어지고 사용할 말들은 고유어 위주로 쓰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거기에 국민 모두의 단합이 이루어져 순한글을 애용하여 우리말과 글이 외래어에 밀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한글전용과 더불어 옛 우리말과 우리말 조어법 살려 쓰기, 우리말 이름 짓기, 우리말에 대한 인식 바꾸기 등이 행해져야 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한글전용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3.2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