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변동과 그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제유가에 대한 기본적 지식
Ⅲ. 1970년부터 2002년까지의 국제유가변동원인과 영향
Ⅳ. 2003년 국제유가변동과 영향
Ⅴ. 요약 및 향후 유가변동 예상과 영향

본문내용

비 증가율, %)
구분
IMF
JP Morgan
Lehman
Brothers
Merrill
Lynch
Goldman
Sachs
OECD
DRI-
WEFA
2002
2.8
1.5
1.2
1.8
2.4
1.5
1.9
2003
3.7
2.7
2.2
3.3
3.3
2.2
3.2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미국의 이라크 공격이 아랍권 반발로 확산되거나, 상반기까지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전쟁으로 인한 이라크 석유 수출 차질 등에도 불구하고 아랍권의 반대로 OPEC은 대체 증산에 소극적으로 나올 것이고 이에따라 국제유가 또한 쉽게 안정세를 찾긴 힘들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세계 경제 및 국내 경제 성장률은 크게 둔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요약 및 향후 유가변동 예상과 영향
국제유가는 제1,2차 석유위기와 함께 급등을 했고 세계경제 및 국내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걸프전과 현 이라크전은 1,2차 위기때와는 석유 수급에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라크전이 장기전(3개월 이상)으로 치닫지 않는 한 국제 유가는 현 수준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지난 91년 걸프전 때도 개전과 함께 유가가 속락, 안정세를 되찾은 전례가 있고 이번 이라크전에서 나타나고 있는 유전 및 유정 피해 상황이 당시보다 훨씬 미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난 걸프전과 달리 이번 전쟁이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주요 산유국으로 확전될 가능성도 매우 낮다. 이처럼 향후 국제유가를 낙관하는 이유는 장기전 조짐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석유수급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며 중동 최대 석유 수출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물론 이라크와 접경국가인 쿠웨이트에서조차 석유 수출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전쟁 전 우려했던 이라크 유정파괴도 현재까지 7곳에 불과, 지난 1991년 걸프전 당시의 700곳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처의 국제유가 전망
)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처(2002.12) 2003년 국제유가 전망
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이라크의 무차별적 보복응전으로 석유시설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에 한해 유가가 초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며, 걸프전의 경우 전쟁 불안감으로 국제유가가 40%가량 치솟은 뒤 개전 후 33%가 급락, 평시보다 약 10% 오른 선에서 안정세를 유지했고 이번 이라크전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장기전(3개월 이상)으로 치닫지 않는 한 30달러 미만대에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과거 걸프전 이후에 그랬듯이 이번 이라크전 이후에도 현재의 전쟁이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며, 종전후 경제에 드리워진 불투명성이 해소됨으로 해서 경제성장률 및 경상수지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참 고 문 헌 ]
한국은행 통계DB 주요국의 경제지표
한국일보(2003.3.5) 경제면
한국경제신문(2003.3.28)
한국석유공사 석유홍보처(2002.12) 2003년 국제유가 전망
(추천영화)
오아시스
취화선
뷰티플마인드
기꾸지로의 여름
물랑루즈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5.10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