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대 기독교교육 사상
코메니우스
1.들어가는말
2.생애와 저술
3.범지혜
4.코메니우스의 인간 이해
5.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
코메니우스
1.들어가는말
2.생애와 저술
3.범지혜
4.코메니우스의 인간 이해
5.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
본문내용
정신’은 이 삼중적 관계를 위하여 인간에게 하나님이 주신 책이고, 이 세 가지의 책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인간은 ‘신앙’과 ‘감각’과 ‘이성’을 키워야 하며 이를 위하여 ‘종교’와 ‘학문’과 ‘도덕’이 중요한 교육내용이 되는 것이다.
-교육의 포괄성
그의 교육학은 세계관과 인간과, 신관과 창조이해 그리고 역사와 종말론을 포괄하면서 그와의 내적인 연계성 안에 있다. 그에게서는 범지학이 교육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 하지만 동시에 범교육이 범지학적 세계관을 완성시키면서, 서로간에 통찰을 주고받는 관계가 형성된다. 그의 교육학이 갖는 ‘포괄성’은 그의 기독교교육의 대상영역에서도 나타난다. 기독교교육은 단순히 신앙적인 문제에만 국한될 수 없고, 하나님의 창조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형태로 드러난다. 그래서 그의 기독교교육은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이다. 그의 기독교교육이 갖는 포괄성은 오늘날과 같이 교호와 세상, 그리고 신앙과 삶의 괴리 현상이 심각한 현실에 시사해 주는 의미가 크다.
-비판점 - 인간과 세계와 교육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
코메니우스의 교육학이 포괄성을 갖고 세계 전체의 회복에 대한 희망과 열정을 갖는 만큼 우리는 상대적으로 인간과 세계와 교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보게된다. 우리는 먼저 코메니우스의 세계 안에서 ‘죄’와 ‘은혜’와 ‘예수 그리스도’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묻게 된다. 먼저 그에게서 죄의 개념은 그의 세계회복과 교육에 대한 희망이 큰 만큼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그의 사고 안에 나타난 세계는 또한 조화로 가득찬 세계이다. 코메니우스의 사고 안애는 인간의 탐욕과 전쟁, 불의와 세속문화의 무신성(無新性)이 설자리가 없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소박한 낙관주의적 세계관을 본다. 그는 교육이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라서 이에 대한 희망을 가진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하여 하나님이 역사하실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코메니우스의 근대성에 관련된 평가
근데의 특성을 준거로 해서 볼 때 코메니우스는 양면성을 가지는 학자라고 볼 수 있다. 그의 교육적 사고 안에는 근대성과 전근대성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가 인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세계가 완성을 향하여 발전할 것이라는 낙관적 이해를 갖고 있었던 것은 근대적 특성이다. 그에게서 인간과 자연 세상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내적인 통일성을 유지한다. 대표적 근대사상가 데카르트의 주·객제 분리의 사고는 그의 사고 안에서는 찾을 수 없다.
-코메니우스이 교육학이 21C에 시사하는 함의
근대주의 문제를 어느 때 보다도 심각한 극복의 과제로 안고 있는 21C에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학이 주는 메시지의 의미는 자못 크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적 세계관은 인간을 자연과 인간 그리고 하나님과 관계 안에 서 있는 존재로 보고, 인간이 각 영역에서 바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는 또한 교육이 매개하는 지식이 단순히 인간의 지적 소유물이 되고, 인간의 필요에 의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그에게 있어서 교육은 단순한 앎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개선하고 회복시키는데 기여하는 실천을 동시에 추구한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 개념은 또한 21C 사회가 갖는 ‘세계화’경향에 놀랍도록 부합한다. 교육은 바로 세계 안에 예수그리스도가 시작하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이고 이것에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동참해야 하는 것이 그의 기독교교육의 목적이다. 교육의 “고전가”는 단순히 옛날에 활동한 교육학자란 뜻이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날까지 계속 영향을 미치며 재해석되는 교육학자를 말한다는 진리를 우리는 코메니우스에게서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교육의 포괄성
그의 교육학은 세계관과 인간과, 신관과 창조이해 그리고 역사와 종말론을 포괄하면서 그와의 내적인 연계성 안에 있다. 그에게서는 범지학이 교육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 하지만 동시에 범교육이 범지학적 세계관을 완성시키면서, 서로간에 통찰을 주고받는 관계가 형성된다. 그의 교육학이 갖는 ‘포괄성’은 그의 기독교교육의 대상영역에서도 나타난다. 기독교교육은 단순히 신앙적인 문제에만 국한될 수 없고, 하나님의 창조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형태로 드러난다. 그래서 그의 기독교교육은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이다. 그의 기독교교육이 갖는 포괄성은 오늘날과 같이 교호와 세상, 그리고 신앙과 삶의 괴리 현상이 심각한 현실에 시사해 주는 의미가 크다.
-비판점 - 인간과 세계와 교육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
코메니우스의 교육학이 포괄성을 갖고 세계 전체의 회복에 대한 희망과 열정을 갖는 만큼 우리는 상대적으로 인간과 세계와 교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보게된다. 우리는 먼저 코메니우스의 세계 안에서 ‘죄’와 ‘은혜’와 ‘예수 그리스도’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묻게 된다. 먼저 그에게서 죄의 개념은 그의 세계회복과 교육에 대한 희망이 큰 만큼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그의 사고 안에 나타난 세계는 또한 조화로 가득찬 세계이다. 코메니우스의 사고 안애는 인간의 탐욕과 전쟁, 불의와 세속문화의 무신성(無新性)이 설자리가 없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소박한 낙관주의적 세계관을 본다. 그는 교육이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라서 이에 대한 희망을 가진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하여 하나님이 역사하실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코메니우스의 근대성에 관련된 평가
근데의 특성을 준거로 해서 볼 때 코메니우스는 양면성을 가지는 학자라고 볼 수 있다. 그의 교육적 사고 안에는 근대성과 전근대성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가 인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세계가 완성을 향하여 발전할 것이라는 낙관적 이해를 갖고 있었던 것은 근대적 특성이다. 그에게서 인간과 자연 세상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내적인 통일성을 유지한다. 대표적 근대사상가 데카르트의 주·객제 분리의 사고는 그의 사고 안에서는 찾을 수 없다.
-코메니우스이 교육학이 21C에 시사하는 함의
근대주의 문제를 어느 때 보다도 심각한 극복의 과제로 안고 있는 21C에 코메니우스의 기독교교육학이 주는 메시지의 의미는 자못 크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적 세계관은 인간을 자연과 인간 그리고 하나님과 관계 안에 서 있는 존재로 보고, 인간이 각 영역에서 바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는 또한 교육이 매개하는 지식이 단순히 인간의 지적 소유물이 되고, 인간의 필요에 의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그에게 있어서 교육은 단순한 앎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개선하고 회복시키는데 기여하는 실천을 동시에 추구한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 개념은 또한 21C 사회가 갖는 ‘세계화’경향에 놀랍도록 부합한다. 교육은 바로 세계 안에 예수그리스도가 시작하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이고 이것에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동참해야 하는 것이 그의 기독교교육의 목적이다. 교육의 “고전가”는 단순히 옛날에 활동한 교육학자란 뜻이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날까지 계속 영향을 미치며 재해석되는 교육학자를 말한다는 진리를 우리는 코메니우스에게서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추천자료
코메니우스
코메니우스
교육방법의 변천과정(코메니우스~듀이와 길패트릭)
코메니우스 대교수학
- 루터와 코메니우스를 중심으로 -
페스탈로치와 코메니우스
대교수학(코메니우스)
[프뢰벨][프뢰벨교육사상][교육사상][프뢰벨의 교육원리][프뢰벨의 교육방법][프뢰벨의 교육...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코메니우스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프뢰벨과 몬테소리 유아교육이론(유치원교육이론), 로크와 페스탈로찌 유아교육이론(유치원교...
요한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의 교육 철학
교육고전의 이해 코메니우스 ‘대교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