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터와 코메니우스를 중심으로 -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ꋯ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종교개혁과 체육
1. 중세 기독교와 체육
2. 성경에서의 신체관

Ⅲ. 마틴․루터의 신체 사상
1. 신체관
2. 금욕주의관

Ⅵ. 코메니우스의 신체 사상
1. 신체관
2. 금욕주의관

Ⅴ. 체육학에 주는 의의

Ⅵ. 결 론

ꋯ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마 인정받게 된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이것은 근대 및 현대체육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는데 더더욱 의의 있다고 하겠다.
지금까지 우리는 기독교의 신체관은 이원론적이며, 금욕주의적이라고만 생각하여 연구에 등한시해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종교개혁기에 이미 중세 기독교의 사상을 거부하여 성경대로 돌아가자는 뜻에서 시작된 종교개혁자들 중에서 처음이자 나중인 루터와 코메니우스의 신체사상을 고찰하여 종교개혁기의 신체사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루터의 신체관은 인간을 심신이 분리된 존재라기보다는 하나의 통합된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심신의 뜻은 이들의 분리가 아닌 인간 활동으로써의 상황에 따른 기능의 차이로 설명한다. 즉, 루터는 인간의 존재를 이원론적 존재가 아니라 심신 통일체적 인간으로 보았다. 그리고 놀이활동의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기 위한 건강한 신체로서의 가치를 인정했다.
한편, 신체의 가치가 정신보다 하위의 개념이 아닌 정신과 동등한 입장에서 신체를 평가하여 신체를 죄악시하는 중세의 금욕주의적 신체관도 부정하였다.
코메니우스의 신체관은 신체멸시의 이원론적 견해를 경계하여, 신체는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인격체, 즉 전인적 인간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신체를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신체적 훈련, 알맞은 영양공급, 충분한 수면(휴식), 좋은 인간관계가 적절하게 취해져야할 것을 강조하였다.
한편, 코메니우스는 금욕이 때때로 체육훈련이나 학습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인생을 좁게 만들고, 기쁨의 샘을 비우게 만들고, 젊음의 소망을 파괴하고, 신체적 품위를 저하시키고, 물질을 악한 것으로 여기기 때문에 인간의 욕망을 부정하거나, 혹은 억제함으로써 덕스럽게 된다는 금욕주의 이론에도 반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루터와 코메니우스의 신체관에서 인간을 유기적 통일체로 파악했다는 것은 체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 대안으로서 체육 목적에서의 이원론적 개념을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즉 체육의 근본적인 방향의 제공으로써 전인적인 인간을 위한 단일체적인 입장을 보다 확고히 하고 체육이 추구하는 인간 움직임을 일면적으로 보지 않고 통일적 전체로 보는 것으로 체육교육의 단서를 제공해 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강일구(1976). D. Erasmus와 M. Luther의 논쟁,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원.
기독교백과사전 편찬위원회(1982). 기독교백과사전 제6권, 서울 : 기독교문사.
김은권이경영 편역(1998). 세계도회. 서울 : 교학연구사.
김성국(1992). 체육의 학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나영일(1983). Martin Luther의 기독교교육 이념에 따른 신체관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노희덕(1999). 세계체육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마스터성경 편찬위원회(1989). 간추린 기독교 교리사전. 마스터성경. 성서교재간행사, 38-53.
모창배(1999). 체육문화사. 청주대학교출판부.
라현성(1977). 체육사, 서울 : 형설출판사.
유상건(1993). 체육학 패러다임과 그 전환의 의미,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보민(1985). 종교개혁의 사상적 조명. 월간 고신. 10, 49-55.
이성진(1999). 체육사. 서울 : 교학연구사.
이숙종 역(1992). 분석 교수학.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이숙종(1996).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서울 : 교육과학사.
이원호 역(1998). 세계도회 : 세계 최초의 삽화본 범지 교과서, 서울 : 아름다운 세상.
이한혁(1998). 체육사. 서울 : 도서출판 태근.
이희윤 역(1988). 당신의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란 의미는 무엇인가? -거룩한 생활을 위한 일곱 가지 연구-, 서울 : 나침반사.
장상(1996). 바울의 역사의식과 복음.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정일웅 역(1996).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 기독교적 전인 교육과 평생교육론. 서울 : 여수룬.
조쟁규(1984). 바울의 신체관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조쟁규백영호이의철(1997). 코메니우스 존재론에 대한 체육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225-251.
지원용(1977). 루터의 사상, 서울 : 컨톨디아서.
허긴 역(1979). 조직신학개론. 서울 : 요단출판사.
허혁 역(1983). 신약성서신학. 서울 : 성광출판사.
풀빛성경주석번역위원회 역(1985). 디모데전서, 풀빛성경주석, 대구 : 보문출판사.
水野忠文(1971). 體育史槪論. 東京 : 體育の 科學社.
Comenius, J. Amos (1659). The Orbic Pictus. intro. by John E. Sadler(1968).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Comenius, J. Amos (1632). The Great Didactic, trans. by M. W. Keatinge (1967). New York : Russell & Russell.
Comenius, J. Amos. Comenius's Pampaedia or Universal Education. trans. by A. M. O. Dobbie, M. A., M. Litt.(Glasgow), F. E. I.. (1986), Buckland Publications Ltd.
Dalen V. & Bruce L. B. (1971). A World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Gerber, E. W. (1971). Innovators and Institutions in Physical Education. Lea & Febiger, Philadelphia.
Luther, M. Letter to the Mayors and Aldermen. Classics in Education. Edited by Wade Baskin(1966), New York : Philsophical Library.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3.12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