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다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茶의 발생과 성장

2. 일본에의 전파와 발전

3. 다회의 진행 순서

4. 다도의 예(禮)

5. 다도의 와비정신

6. 차의 종류와 다회를 여는 일곱 가지 방식

본문내용

차'라고 하지만 단지 형태만을 한정하여 정취 있게 갖추어도 마음에 '와비'가 없으면 '차'가 되지 못한다.
6. 차의 종류와 다회를 여는 일곱 가지 방식
일본 다도에서 쓰이는 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찻잎을 작게 썰어서 말려 열탕에 우려 마시는 차를 전차라 하고, 찻잎을 곱게 갈아 열탕에 풀어 마시는 차를 말차라 한다. 이러한 차를 주인이 다실에 손님을 불러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일을 다회라고 한다.
다회는 개최 시기와 목적에 따라서 일곱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를 다사칠식이라고 한다.
① 정오에 모여 간단하게 식사를 곁들여 여는 다회는 '낮다회'라 한다.
② 밤에 모여 여는 '밤다회'는 주로 겨울밤에 열며, 이때는 긴 겨울의 정취를 이야기한다.
③ 아침에 여는 '아침다회'는 여름날 아침에만 열며, 이른 아침의 청량감을 이야기한다.
④ '새벽다회'는 새벽 4시경부터 동이 트는 풍경을 보면서 그 정취를 이야기한다.
⑤ 신분이 높은 귀한 손님이 다실을 다녀간 직후에 그 손님과 같은 자리에 앉아, 그 손님이 쓰던 다도구로 차를 마시며, 그 분의 정취를 느껴 보기 위해 여는 다회를 '자취다회'라 한다.
⑥ 미리 알리지 않고 불쑥 찾아온 손님을 위해 여는 다회를 '불시다회'라고 한다.
⑦ 그 해에 새로 딴 찻잎을 차단지에 봉해 두었다가 11월에 손님을 모신 자리에서 개봉하고, 찻잎을 갈아 차를 달여 대접하는 다회를 '개봉다회'라 한다. 정성의 표시가 된다.
<참고문헌>
김명배. 「茶道學」. 학문사. 1993
석용운. 「韓國茶藝」. 초의. 1993
정상구. 「韓國茶文化學」. 세종출판사. 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5.13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