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투기도의 정의
[2] 투시도의 원리
[3]투시도의 용어
[4] 투시도의 종류
[5] 투시도법의 기본사항
[6] 투시도의 원근법
[2] 투시도의 원리
[3]투시도의 용어
[4] 투시도의 종류
[5] 투시도법의 기본사항
[6] 투시도의 원근법
본문내용
화면에 투영한 점. 평행 투시도에서는
이 점이 소점이 된다.
● D.P(Distance Point)거리점-수평선상에 시중심에서 시점거리와 같은
길이를 잰점
● F.L(Foot Line)족점-입점과 대상물이 주어져 있는 기면상의 각점을
이어준 선.
- 투시도의 용어 -
[4] 투시도의 종류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평행 투시도
- 물체의 1면이 화면에 평행한 경우로 1소점 투시라고 한다.
② 유각 투시
- 화면에 대하여 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2소점 투시라 한다.
③ 사각 투시
- 화면과 시점에 대하여 물체가 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3소점
투시라고 한다.
- 투시도의 종류 -
[5] 투시도법의 기본사항
① 투시도법으로는 직각인 물체만 그릴 수 있다.
도법에 의하여 투시도를 그릴 때 대상물체는 입방체나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다시말해서 물체의 각부분 각은 직각이어야 한다. 삼각기둥, 원이나 원기둥은 사각형이나 사각기둥을 도법상 추출한 다음에 형태화 시킨다.
② 화각 (Angle of View)
안정적인 투시도를 그리려면 화각이 60°이내여야 하며, 30°∼45°의 범위가 가장 적당하고 45°∼60°범위는 주위 배경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각이 60°를 벗어나면 대상물이 왜곡되게 나타난다. 높이가 높은 건축물은 입면상의 화각도 고려해야 한다.
③ S.P(입점)의 위치는 화각에 의해 결정되며 투시도 형태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투시도의 기본사항 -
[6] 투시도의 원근법
① 선 원근법 : 도학적인 방법으로 선만으로 거리감을 나타낸다.
사선에 각도를 갖는 평행선은 무한원이며 1점에서 교차하고, 1점에 교차하는 점위치는 눈높이 선상에 있다. 또, 같은 크기의 물체도 멀어질수록 작게 보인다.
② 명암 원근법
가까운 것은 명암의 대비가 강하고, 멀어질수록 명암의 대비가 약하다. 이것은 공기중의 먼지, 수증기, 스모그 등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외관투시도나 조감도 등에 많이 사용된다.
③ 색체 원근법
가까운 것은 채도가 강하고 멀어질수록 채도가 약해진다. 같은 채도의 색에서도 가까운 것보다 먼 것이 약하게 보인다.
④ 겹침 원근법
물체와 물체를 겹치게 하므로써 거리감을 갖도록 한다. 물체가 겹쳤을 때 뒤의 물체는 앞의 물체에 가려 일부분만 보이도록 표현한다.
⑤ 음영 원근법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기법으로 생활속의 감각을 이용한 특수 기법이다.
- 투시도의 원근법 -
이 점이 소점이 된다.
● D.P(Distance Point)거리점-수평선상에 시중심에서 시점거리와 같은
길이를 잰점
● F.L(Foot Line)족점-입점과 대상물이 주어져 있는 기면상의 각점을
이어준 선.
- 투시도의 용어 -
[4] 투시도의 종류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평행 투시도
- 물체의 1면이 화면에 평행한 경우로 1소점 투시라고 한다.
② 유각 투시
- 화면에 대하여 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2소점 투시라 한다.
③ 사각 투시
- 화면과 시점에 대하여 물체가 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3소점
투시라고 한다.
- 투시도의 종류 -
[5] 투시도법의 기본사항
① 투시도법으로는 직각인 물체만 그릴 수 있다.
도법에 의하여 투시도를 그릴 때 대상물체는 입방체나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다시말해서 물체의 각부분 각은 직각이어야 한다. 삼각기둥, 원이나 원기둥은 사각형이나 사각기둥을 도법상 추출한 다음에 형태화 시킨다.
② 화각 (Angle of View)
안정적인 투시도를 그리려면 화각이 60°이내여야 하며, 30°∼45°의 범위가 가장 적당하고 45°∼60°범위는 주위 배경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각이 60°를 벗어나면 대상물이 왜곡되게 나타난다. 높이가 높은 건축물은 입면상의 화각도 고려해야 한다.
③ S.P(입점)의 위치는 화각에 의해 결정되며 투시도 형태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투시도의 기본사항 -
[6] 투시도의 원근법
① 선 원근법 : 도학적인 방법으로 선만으로 거리감을 나타낸다.
사선에 각도를 갖는 평행선은 무한원이며 1점에서 교차하고, 1점에 교차하는 점위치는 눈높이 선상에 있다. 또, 같은 크기의 물체도 멀어질수록 작게 보인다.
② 명암 원근법
가까운 것은 명암의 대비가 강하고, 멀어질수록 명암의 대비가 약하다. 이것은 공기중의 먼지, 수증기, 스모그 등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외관투시도나 조감도 등에 많이 사용된다.
③ 색체 원근법
가까운 것은 채도가 강하고 멀어질수록 채도가 약해진다. 같은 채도의 색에서도 가까운 것보다 먼 것이 약하게 보인다.
④ 겹침 원근법
물체와 물체를 겹치게 하므로써 거리감을 갖도록 한다. 물체가 겹쳤을 때 뒤의 물체는 앞의 물체에 가려 일부분만 보이도록 표현한다.
⑤ 음영 원근법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기법으로 생활속의 감각을 이용한 특수 기법이다.
- 투시도의 원근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