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서양의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배경
제1절. 리더십의 정의
제2절. 리더십이론의 전개과정
제3장.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
제1절.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의 성격
제2절. 손자와 태공망이 제시하는 장수와 지도자의 자질
제3절.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과 리더십 효과성과의 관계
제4장. 결 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서양의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배경
제1절. 리더십의 정의
제2절. 리더십이론의 전개과정
제3장.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
제1절.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의 성격
제2절. 손자와 태공망이 제시하는 장수와 지도자의 자질
제3절. 동양적 리더십 자질론과 리더십 효과성과의 관계
제4장. 결 론
본문내용
그리고 重要度가 가장 낮은 資質인 권위적인 태도, 즉 嚴은 모든 經營者의 계층에서 상대적인 중요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重要度 차이를 살펴보면 經營者에게는 신뢰감과 더불어 추진력과 部下職員 각자에 대한 따뜻한 配慮가 강조되고 있다. 반대로 業務 遂行能力과 權威的인 態度 그리고 조직에 대한 충성은 상대적인 중요성이 덜 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中間管理者에게는 經營者와 마찬가지로 信賴感과 部下職員 각자에 대한 따뜻한 配慮 그리고 業務遂行 能力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推進力, 權威的인 態度 그리고 조직에 대한 沒入과 忠誠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一線管理者에게는 信賴感과 組織에 대한 沒入과 忠誠 그리고 業務遂行 能力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部下를 통솔할 기회가 적기 때문인지 權威的인 態度라든지 部下職員에 대한 따뜻한 配慮 그리고 推進力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經營者의 계층에 따라 가장 강조되는 資質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經營者에게는 部下들을 격려하며 조직을 이끌어 가는 資質이, 中間管理者에게는 部下들을 감싸주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마지막으로 一線管理者에게는 조직의 요구에 부흥하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遂行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資質의 經營者 계층간 重要度를 보면 대체로 상위 경영계층일수록 각 資質의 重要度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信과 勇은 經營者가 갖추어야 할 資質로서의 重要度가 中間管理者와 일선 관리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智와 仁은 經營者와 中間管理者의 資質로서의 重要度가 一線管理者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嚴은 經營者, 中間管理者, 一線管理者의 순으로 重要度가 평가되었고 忠은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重要度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直屬上士의 리더십 資質과 리더십 效果性과의 相關關係 分析結果를 보면 嚴을 제외한 다른 資質들은 대체로 리더십 效果性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집단의 성과보다는 上士에 대한 만족이 리더십 資質과 보다 높은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이를 直屬上士의 계층에 따라 살펴보면 直屬上士의 계층이 經營者(이사급이상)인 경우와 一線管理者(사원 대리)인 경우는 몇 가지 資質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資質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고 있다. 直屬上士가 經營者인 경우 집단의 성과에 대해서는 勇만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고, 直屬上士가 一線管理者인 경우 집단의 성과에 대해서 모든 資質들이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直屬上士가 中間管理者(課, 部長)인 경우 대부분의 資質들이 집단의 성과와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고, 전반적인 集團成果에 대해 智와 嚴을 제외한 모든 資質이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上士에 대한 만족과 일곱 가지 資質과의 相關關係는 집단의 성과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直屬上士가 經營者인 경우 勇, 嚴, 智, 上士의 公正性이 통계적을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나타내고 있고, 中間管理者인 경우는 嚴을 제외한 모든 資質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直屬上士가 一線管理者인 경우 智, 信, 勇, 上士의 공정성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리더십 資質과 리더십 效果性과의 관계에서 上士의 嚴을 제외한 다른 資質들은 리더십 效果性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이 資質들은 집단 성과보다는 上士에 대한 만족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直屬上士의 계층에 따라 이러한 영향관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直屬上士가 經營者와 一線管理者인 경우 이러한 영향관계는 매우 약하다.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리더십 效果性 變數와의 相關關係에서 中間管理者는 조직의 각 부서를 맡고 있고, 部下를 통솔하여 자기 부서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責任完遂의 결과로 나타나는 구체적인 集團成果나 전반적인 集團成果가 리더십 效果性을 나타내는 指標로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經營者의 경우 조직의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있고 部下를 통솔하는 범위가 넓어 집단의 성과가 여러 資質에 대한 效果性 指標로서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一線管理者의 경우 經營者와는 반대로 관리의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있고, 經營者나 中間管理者의 지휘를 받는 위치이기 때문에 집단의 성과가 여러 資質에 대한 效果性의 指標로서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孫子와 姜太公이 제시하는 동양적 리더십 資質의 重要度를 측정해 봄으로써, 여러 資質들의 규범적 성격을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 석해 보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러 資質의 重要度에 따라 현대의 경영에서 經營者의 계층별 선발이나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資質이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고, 동양적 리더십 資質들의 리더십 效果性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經營者의 계층별로 다른 效果性 指標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 參 考 文 獻>
박은영. "변형적 리더십과 리더십 유효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 논문, 서울, 1995.
신유근.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서울, 1990.
임창희. 『조직행동』, 학현사, 서울, 1995.
守屋洋. 김봉국 역, 『삼국지 영웅론』, 도서출판 시민, 서울, 1992.
Gary A.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 Prentice-Hall, INC, 1981.
Shally A. Kirkpatrick and Edward A. Locke, "Leadership : do trait matter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991, Vol. 5, No. 2.
J.R Gordon, Organizational Behavior, 4th, ed, Allyn and Bacon, 1993.
Bernard M, Bass, Bass &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3td, ed, Free Press, 1990.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重要度 차이를 살펴보면 經營者에게는 신뢰감과 더불어 추진력과 部下職員 각자에 대한 따뜻한 配慮가 강조되고 있다. 반대로 業務 遂行能力과 權威的인 態度 그리고 조직에 대한 충성은 상대적인 중요성이 덜 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中間管理者에게는 經營者와 마찬가지로 信賴感과 部下職員 각자에 대한 따뜻한 配慮 그리고 業務遂行 能力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推進力, 權威的인 態度 그리고 조직에 대한 沒入과 忠誠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一線管理者에게는 信賴感과 組織에 대한 沒入과 忠誠 그리고 業務遂行 能力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部下를 통솔할 기회가 적기 때문인지 權威的인 態度라든지 部下職員에 대한 따뜻한 配慮 그리고 推進力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經營者의 계층에 따라 가장 강조되는 資質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經營者에게는 部下들을 격려하며 조직을 이끌어 가는 資質이, 中間管理者에게는 部下들을 감싸주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마지막으로 一線管理者에게는 조직의 요구에 부흥하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遂行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資質의 經營者 계층간 重要度를 보면 대체로 상위 경영계층일수록 각 資質의 重要度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信과 勇은 經營者가 갖추어야 할 資質로서의 重要度가 中間管理者와 일선 관리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智와 仁은 經營者와 中間管理者의 資質로서의 重要度가 一線管理者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嚴은 經營者, 中間管理者, 一線管理者의 순으로 重要度가 평가되었고 忠은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重要度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直屬上士의 리더십 資質과 리더십 效果性과의 相關關係 分析結果를 보면 嚴을 제외한 다른 資質들은 대체로 리더십 效果性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집단의 성과보다는 上士에 대한 만족이 리더십 資質과 보다 높은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이를 直屬上士의 계층에 따라 살펴보면 直屬上士의 계층이 經營者(이사급이상)인 경우와 一線管理者(사원 대리)인 경우는 몇 가지 資質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資質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고 있다. 直屬上士가 經營者인 경우 집단의 성과에 대해서는 勇만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고, 直屬上士가 一線管理者인 경우 집단의 성과에 대해서 모든 資質들이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直屬上士가 中間管理者(課, 部長)인 경우 대부분의 資質들이 집단의 성과와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고, 전반적인 集團成果에 대해 智와 嚴을 제외한 모든 資質이 유의한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上士에 대한 만족과 일곱 가지 資質과의 相關關係는 집단의 성과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直屬上士가 經營者인 경우 勇, 嚴, 智, 上士의 公正性이 통계적을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나타내고 있고, 中間管理者인 경우는 嚴을 제외한 모든 資質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直屬上士가 一線管理者인 경우 智, 信, 勇, 上士의 공정성이 유의한 正의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리더십 資質과 리더십 效果性과의 관계에서 上士의 嚴을 제외한 다른 資質들은 리더십 效果性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이 資質들은 집단 성과보다는 上士에 대한 만족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直屬上士의 계층에 따라 이러한 영향관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直屬上士가 經營者와 一線管理者인 경우 이러한 영향관계는 매우 약하다.
經營者의 계층에 따른 리더십 效果性 變數와의 相關關係에서 中間管理者는 조직의 각 부서를 맡고 있고, 部下를 통솔하여 자기 부서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責任完遂의 결과로 나타나는 구체적인 集團成果나 전반적인 集團成果가 리더십 效果性을 나타내는 指標로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經營者의 경우 조직의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있고 部下를 통솔하는 범위가 넓어 집단의 성과가 여러 資質에 대한 效果性 指標로서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一線管理者의 경우 經營者와는 반대로 관리의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있고, 經營者나 中間管理者의 지휘를 받는 위치이기 때문에 집단의 성과가 여러 資質에 대한 效果性의 指標로서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孫子와 姜太公이 제시하는 동양적 리더십 資質의 重要度를 측정해 봄으로써, 여러 資質들의 규범적 성격을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 석해 보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러 資質의 重要度에 따라 현대의 경영에서 經營者의 계층별 선발이나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資質이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고, 동양적 리더십 資質들의 리더십 效果性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經營者의 계층별로 다른 效果性 指標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 參 考 文 獻>
박은영. "변형적 리더십과 리더십 유효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 논문, 서울, 1995.
신유근.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서울, 1990.
임창희. 『조직행동』, 학현사, 서울, 1995.
守屋洋. 김봉국 역, 『삼국지 영웅론』, 도서출판 시민, 서울, 1992.
Gary A.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 Prentice-Hall, INC, 1981.
Shally A. Kirkpatrick and Edward A. Locke, "Leadership : do trait matter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991, Vol. 5, No. 2.
J.R Gordon, Organizational Behavior, 4th, ed, Allyn and Bacon, 1993.
Bernard M, Bass, Bass &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3td, ed, Free Press, 1990.
추천자료
한국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리더십 유형분석 및 요인분석 (리더쉽)
[조직행위론]리더의 자질과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리더십 리더쉽
[리더십] 리더쉽 분석
[기업 리더십]e-비즈니스 리더쉽(안철수)
[기업가][경영자][기업경영][최고경영자][CEO][리더십][리더쉽]기업가(경영자)의 정의와 기업...
[리더쉽] 리더십에서의 상호영향력 과정
[리더십] 리더의 권력과 리더쉽 이론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쉽에 대하여 설명-
내가 사회복지조직에서 근무를 한다고 가정하고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쉽 유형에 대한 개념과 ...
오늘날을 만든 위대한 그들의 리더십(leadership) - 이병철과 정주영의 리더쉽.ppt
고차원 리더십의 요소:겸손함과 강력한 의지(레벨5리더쉽)
[E비즈니스 성공전략][E비즈니스]E비즈니스(E-biz) 성공전략의 유형, E비즈니스(E-biz) 성공...
세종대왕의 행동 리더십,백성을 섬김,토론과 경청,솔선수범,혁신적 행동의 리더,리더쉽사례 p...
[조직관리와 리더쉽] 나이팅게일, 나이팅게일의 리더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