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과학혁명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과학혁명의 배경

2. 과학혁명의 의의

3. 과학혁명의 선구자 다빈치

4. 근대 우주관의 확립

5. 갈릴레이와 과학혁명

6.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7. 사실주의 생물학의 등장

8. 17세기 과학의 제도화

9. 뉴톤과 고전물리학의 완성

본문내용

그 연구의 중심이 주로 실험에 있었던 고로 오늘날 물리 실험실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고 연구결과의 상호 교환을 위해 과학잡지를 간행하였다.
3) 왕립학회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는 과학공동체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1662년에 설립된 왕립학회이다. 영국에서 두개의 자주적인 단체가 모체가 되어 R. 후크에 의해 왕의 허가를 얻어 설립된다. 이 학회는 순수한 이론보다 경험을 더욱 중요시하고 연구의 중점도 강연이 아닌 실험이었다. 회원들은 국가로부터 어떤 류의 연금이나 보수를 받거나 신분상의 특권도 인정받지 못하였다. 반면 위원회, 총회의 방식을 통한 자유스런 분위기가 이루어졌다.
4) 왕립 과학아카데미
1666년 과학자들이 프랑스 재상 콜베르의 협력을 얻어 설립한 국립연구소. 재정은 왕실이 담담하였기 때문에 이 조직은 국가의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9. 뉴톤과 고전물리학의 완성
근대의 과학혁명을 마무리하고, 고전물리학을 완성시킨 뉴톤은 1642년 12월 25일 영국의 조그만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 해는 갈릴레이가 죽은 해이고, 코페르니쿠스가 죽은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그는 19세에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대학에 입학하여 과학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그의 연구는 반사망원경의 제작, 광학, 만유인력, 미적분학 등 광범위하였다. 그리고 그의 연구 생활은 그의 저서의 출판을 고비로 일단 마쳤다.
1) 운동의 3법칙
뉴톤의 운동법칙은 3가지로 기술된다.
a.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 물체는 정지 또는 등속상태를 계속한다. <관성의 법칙>
b. 물체에 힘이 작용하여 운동상태가 변할 때 가속도의 크기는 작용한 임의 크기에 비례하고 질량에 반비례한다. <가속도의 법칙>
c. 두 물체가 서로 작용할 때 두 번째 물체가 첫 번째 물체로부터 받는 힘은 첫 번째 물체가 두 번째 물체로부터 받는 힘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
2) 과학의 성서 『프린키피아』
1687년 뉴톤은 방대한 저서를 출판하였다.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인데, 보통 『프린키피아』라고 부른다. 이 책에서 뉴톤은 코페르니쿠스 이후 150년만에 근대 과학 발전의 주요한 역사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그 내용은 주로 케플러의 천문학과 갈릴레이의 역학을 종합 통일하였고, 거기에다 자신의 견해를 보충하여 더욱 차원 높은 단계에까지 올려놓았다.
<참고문헌>
1. 과학사신론 김영식 외 / 다산출판사
2. 신과학사 박상준 외 / 북스힐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5.27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