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근(현)대문학사의 기점에 대한 논의
서론
본론
1. 19세기 중·후반 - 1860년대
2. 갑오경장 이후
3. 18세기 영·정조
4. 애국계몽기
5. 1919년 3·1운동
결론
***참고자료***
서론
본론
1. 19세기 중·후반 - 1860년대
2. 갑오경장 이후
3. 18세기 영·정조
4. 애국계몽기
5. 1919년 3·1운동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문학"
) 이재선, 「한국 문학사에 있어서의 '고대'와 '현대'」, (김열규 외, 『한국 문학사의 현실과 이상』, 새문사, 1996), 110쪽.
이라고 하여 근대성을 복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견해는 서구의 문학 이론이나 양식 개념의 실험이 곧 근대 문학이라는 관점으로, 서구의 소설 개념이나 개인적인 서정시와 자유시의 실천이 그 구체적인 양상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이전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신소설이나 개화기 시가 양식은 본격적인 근대 문학의 전사(前史)에 놓이는 과도기의 문학 양식이라는 것이다.
결론
우리 문학사 연구에서 근대의 기점에 대한 견해 차이는 근대 문학과 근대 이전의 문학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주로 근대 사회의 특성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다.
근대란 무엇인가? '근대'라는 용어는 서구의 3분법의 한 시대 개념이기 때문에 근대성을 규명하고 근대기점을 설정하는 것 자체가 서구적 잣대로 우리 문학을 재단할 우려를 처음부터 안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 서술에 있어서 '근대'라는 용어를 서구적 개념으로서 우리 문학의 전통성에 연속성이나 불연속성의 문제에서가 아닌 역사 서술에 있어서 보편적인 본질 개념으로 인식해야 한다.
) http://hallamt.hihome.com/ImportedFiles/
'근대'라는 개념은 역사의 시대 구분 문제를 생산 양식적 지평에 두고 생각할 때, 자본주의 생산 양식의 지평에 대응하는 것으로 대체로 "중세적 주종관계가 무너지고 신분제가 철폐된 점, 시민의식의 성장, 자본주의적 경제질서의 확립, 새로운 문물제도에 의한 세계관의 변환이라는 특징적 국면들을 통해 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윤병로,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역사적 시대구분과 근본적으로 조응하면서도 상대적인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대문학은 중세문학의 낡은 탯줄을 끊고 새로이 태어난 획기적인 작가들 또는 작품들로서 뚜렷이 증거되어야 한다.
) 최원식, 「민족문학의 근대적 전환」『민족문학사 강좌』하,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5.
여기서 문학 작품의 근대성은 우선 작품에 나타난 여러 현상, 예컨대 작자 및 등장인물의 가치관·습관·언어·생활 태도 등이 자본주의 생산 양식에 대응하는 변화·진보의 의미를 지닌 것들과 연결되는 것들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각주에 모든 참고자료 포함
) 이재선, 「한국 문학사에 있어서의 '고대'와 '현대'」, (김열규 외, 『한국 문학사의 현실과 이상』, 새문사, 1996), 110쪽.
이라고 하여 근대성을 복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견해는 서구의 문학 이론이나 양식 개념의 실험이 곧 근대 문학이라는 관점으로, 서구의 소설 개념이나 개인적인 서정시와 자유시의 실천이 그 구체적인 양상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이전에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신소설이나 개화기 시가 양식은 본격적인 근대 문학의 전사(前史)에 놓이는 과도기의 문학 양식이라는 것이다.
결론
우리 문학사 연구에서 근대의 기점에 대한 견해 차이는 근대 문학과 근대 이전의 문학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주로 근대 사회의 특성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다.
근대란 무엇인가? '근대'라는 용어는 서구의 3분법의 한 시대 개념이기 때문에 근대성을 규명하고 근대기점을 설정하는 것 자체가 서구적 잣대로 우리 문학을 재단할 우려를 처음부터 안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 서술에 있어서 '근대'라는 용어를 서구적 개념으로서 우리 문학의 전통성에 연속성이나 불연속성의 문제에서가 아닌 역사 서술에 있어서 보편적인 본질 개념으로 인식해야 한다.
) http://hallamt.hihome.com/ImportedFiles/
'근대'라는 개념은 역사의 시대 구분 문제를 생산 양식적 지평에 두고 생각할 때, 자본주의 생산 양식의 지평에 대응하는 것으로 대체로 "중세적 주종관계가 무너지고 신분제가 철폐된 점, 시민의식의 성장, 자본주의적 경제질서의 확립, 새로운 문물제도에 의한 세계관의 변환이라는 특징적 국면들을 통해 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윤병로,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역사적 시대구분과 근본적으로 조응하면서도 상대적인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대문학은 중세문학의 낡은 탯줄을 끊고 새로이 태어난 획기적인 작가들 또는 작품들로서 뚜렷이 증거되어야 한다.
) 최원식, 「민족문학의 근대적 전환」『민족문학사 강좌』하,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5.
여기서 문학 작품의 근대성은 우선 작품에 나타난 여러 현상, 예컨대 작자 및 등장인물의 가치관·습관·언어·생활 태도 등이 자본주의 생산 양식에 대응하는 변화·진보의 의미를 지닌 것들과 연결되는 것들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각주에 모든 참고자료 포함
추천자료
한국현대여성문학의 현황과 그 특성(페미니즘,문학)
[현대문학사] 윤흥길 - <장마>의 문학사적 해석
[현대문학사] 1960,1970년대의 문학
[현대문학사] 「맹진사댁 경사」의 문학사적 의의
[현대문학사]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문학사적 분석
[현대문학사]현대문학의 어제와 오늘- 기말과제
[현대문학사]현대문학의 어제와 오늘- 중간과제
현대문학강독 - 현대시 동인들의 시세계
한국현대문학사 <1930년대 문학>
[현대시문학사] 현대시 동인의 시사적 의의와 공과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혈의누)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
[고전과 현대문학의 관련성] ‘경문왕 설화’와 이청준의 ‘소문의 벽’ 문학 관련성
[현대시론, 한국현대시문학사] 1980 시 - 광주항쟁 이후 시의 양상과 특징 - 1980년대의 한국...
김윤식,김현의 한국문학사 제1장 요약 (현대문학사의 시대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