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이제현의 생애

2. 이제현의 문학
* 백성에 대한 관심과 애착은 그가 남긴 시
*〈桃源歌(도원가)〉라는 제목의 악부에서의 애민의식

3. 현실적 삶의 작품 실례 6가지 비교 분석

4. 낭만적 삶의 작품 실례 4가지 비교 분석

5. 익재가 우리문학에 끼친 영향

본문내용

麗史(고려사)』「樂志(악지)」俗樂條(속악조)에 기록된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어느 부인이 자신이 지은 죄 때문에 제위보에서 徒役(도역)살이를 하였다. 그녀는 자기 손이 남에게 잡힌 바 되었으나 그 치욕을 씻지 못함을 한스럽게 여기고는 이 노래를 지어 혼자서 원망했다. 이제현이 시를 지어 이 노래를 飜解(번해)했다.
이 노래의 주인공인 부인은 죄를 지어 제위보에서 노역살이를 하고 있었는데, 어떤 외간 남자에게 손목을 잡혀 혼자 분을 삭이지 못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高麗史(고려사)』「樂(악지)」에 기록된 내용과 이제현의 작품 내용을 비교하면 차이가 난다.
근래에 어떤 達官(달관)이 鳳池蓮(봉지연)이라는 늙은 기녀를 희롱하여 말하기를, "너희들은 오직 돈 많은 중만 따를 뿐으로 사대부가 부르면 어찌 그리 더디 오는고?"라고 하였다. 그 기생이 답하기를 "지금의 사대부들은 돈많은 상인의 딸에게 장가들어 두 집 살림을 차리거나, 아니면 그 딸린 종년을 첩으로 삼더이다. 우리들이 중과 속인을 가린다면 무얼 먹으며 아침저녁을 넘길 수 있겠소이까?"라고 하니 좌중에 있던 사람들이 부끄러운 빛을 띠었다.……탐라의 이 노래는 심히 비루한 것이다.
이제현이 번해의 대상으로 담은 원가인 제주 민요는 불법을 닦는 중과 선녀같은 아리따운 여인이 남몰래 애정을 나누는 퇴폐적인 내용의 노래이다.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 통념으로써는 용납될 수 없는 것이지만 당대의 백성들 사이에 얘기꺼리로 널리 유포되어 풍자의 대상이 된 것이다. 이제현은 늙은 기녀의 말에서 지식인이자 관료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사회의 윤리도덕의 기강을 문란하게 하고 스스로 사회적 신망을 잃어가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관그래서 이제현은 이 제주의 민요를 백성들이 세상을 풍자하기 위해서 만든 것으로 보고는, 이런 노래를 통하여 시대의 변화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보면 이제현이 사람들이 부끄러이 여기고, 풍속을 해치는 내용의 제주 민요를 자신의 문학 속에 맞아들여 하나의 악부로 전화한 것에는 두 가지의 저의가 담겨 있다. 그 하나는 도덕적 타락을 경계할 목적에서이고, 또 하나는 노골적이로 탐욕적인 남녀관계를 있는 그대로 묘사함으로써 당대 기층민들 사이의 자유분방한 낭만적 분위기를 전달하려는 것이라고 하겠다. 우리는 여기에서 두 번째의 것에 주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제현의 소악부에 담겨 있는 내용이 남녀간의 애정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인데, 이는 이제현이 당대의 대중적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는 주제가 무엇인가를 깊이 통찰한 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1), (2), (3)의 소악부의 내용과 이 소악부들의 원인 고려속요의 내용이 남녀관계에 있어서 관대하고 적극적이다.
무인란이 일어나고 전환기를 맞은 고려 후기에 이르러 악부가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악부문학은 고려후기에 와서 그 형성기를 맞았다고 할 수 있다. 이 때에 새롭게 등장한 악부는 그 본래의 속성대로 일반 백성들의 삶의 고뇌나 남녀상열 등의 인정세태, 민간의 풍속 등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5. 익재가 우리문학에 끼친 영향
이제현의 소악부는 고려 말엽에 이색·이숭인 등에게 영향을 주어 우리나라 악부문학의 기틀을 마련케 하였다. 고려 말엽에 정착된 악부문학은 조선조에 영향을 미쳐 조선조에는 문인들이 악부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擬古樂府(의고악부), 紀俗樂府(기속악부), 小樂府(소악부), 詠史樂府(영사악부) 등 본격적인 악부문학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악부문학의 전개는 결국 이제현이 악부의 장르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작품으로 제작한 소악부와 연계된다고 하겠다. 특히 이제현의 소악부가 조선조 후기에까지 영향을 미쳐 자하 신위가 40장의 소악부를 남기고, 이유원이 45장의 소악부를 남겼다.
*** 참고자료 ***
역옹패설. 이제현. 민족문화추진회 역. 솔출판사. 1997
역옹패설. 李齊賢. 이상보 역. 범우사 1995.
韓國思想大全集, 4,5 良友堂. 1991.
(국역)익재집, 1-2. 李齊賢 著. 민족문화추진회. 1979.
益齋 李齊賢의 史學思想 연구. 李鎔熙. 韓國敎員大 大學院. 1997.
益齋 李齊賢의 문학사상연구. 金恩敬. 誠信女大 大學院. 1994.
李濟賢의 문학사상 연구. 韓相圭. 慶熙大 敎育大學院. 1994.
李齊賢 文學 연구. {詩와 古文을 중심으로}. 金乾坤.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1994. 益齋시의 서정적 연구. 張錫禮. 水原大 大學院. 1993.
  • 가격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06.11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