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민주당과 한나라당 국민경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국민경선제와 의의

1. 의 의

2. 국민경선제


Ⅱ. 민주당 경선과정

Ⅲ. 한나라당 경선과정

Ⅳ. 전 망

Ⅴ.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이한다 해도 1만4천729표로 이 후보에 뒤지게 된다. 그것도 충북과 서울 경선의 투표율이 100%일 경우 이 후보의 당선확정에 필요한 표가 162표인 점을 감안하면 이 후보는 이미 당선이 확정된 상태라고 봐도 무방하다는게 중론이다.
11. 2002년 5월 7일 충북 경선
① 경선 전 상황
한나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4일 경기 경선에서 이회창 후보가 71.3%(2천461표)의 득표율을 기록, 종합순위 1위를 고수했으나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진 못했다. 이 후보는 이 날 경선에서 2위를 달리고 있는 최병렬 후보와 2천361표 이상의 차이로 1위를 기록할 경우 충북(7일), 서울(9일) 경선 결과와 관계없이 사실상 대통령 후보로 확정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경기 경선 투표율이 39.8%로 저조했던 데다 치열한 2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최 후보와 이부영 후보가 각각 12.3%(424표), 14.1%(486표)의 득표율을 기록, 이 후보는 조기 후보 확정을 위한 표차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오는 7일 청주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충북 경선에서 사실상 후보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치러진 10개 지역별 경선결과 종합순위 1, 2위를 기록하고 있는 이 후보와 최 후보의 누적득표는 각각 1만4천568표와 2천874표로 이 후보는 충북 경선에서 162표만 얻어도 대통령 후보로 확정된다.
② 경선 결과 및 영향
후보자 번호
후 보 자
득 표 수(표)
득 표 율(%)
결 과
1
이 부 영
60
7. 3
.투표율은 54.5%로 이회창 후보가 440표의 압도적인 차로 승리함
(이회창후보 대통령 후보로 확정)
2
이 상 희
15
1. 8
3
이 회 창
592
72.3
4
최 병 렬
152
18.6
이회창 전 총재가 7일 열린 충북지역 경선에서 승리함으로써, 오는 12월 대선에 나설 한나라당 후보로 확정됐다. 이날 오후 청주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충북지역 경선에서 이 후보는 592표(72.3%)를 얻어, 누적득표 1만5160표(72.6%)로 9일의 마지막 서울 경선(대의원 수 1만515명) 결과에 관계없이 대선후보 당선을 확정지었다. 이 후보는 지난달 13일의 인천 경선부터 충북 경선까지 11개 지역 경선에서 압도적 표차로 전승을 기록했다. 한나라당은 9일 서울 경선에서 이 전 총재를 대선 후보로 공식 선출하고, 뒤이어 10일 열리는 제4차 전당대회에서 전국 대의원들의 추인을 받을 예정이다. 이로써 오는 12월 대선은 민주당의 노무현 후보와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 두사람의 대결로 기본 구도가 짜여졌으며, 여기에 박근혜 의원(한국미래연합) 등 `제3후보'의 출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회창 후보 진영의 이병석 대변인은 후보확정 뒤 “앞으로 이 후보는 철저히 국민 속으로 파고 들어가 민생현장을 살피고 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충북 경선엔 1502명의 선거인단 가운데 819명이 투표에 참가해 54.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12. 2002년 5월 9일 서울 경선
① 경선 전 상황
한나라당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12개지역 경선 중 마지막으로 9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된 서울대회는 이회창후보가 확정된 때문인지 경선보다는 본선승리를 위한 당의 단합 다짐에 초점이 모아졌다. 다만 최병렬 이부영 경선후보는 대선승리를 위한 협력을 약속하면서도 당내 입지 확보를 위해 마지막까지 치열한 2위 경쟁을 펼쳤다. 특히 최고위원 후보들은 결전의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운동원들을 대거 동원, 열띤 경쟁을 벌이다 당 선관위로부터 자제 요청을 받기도 했다.
② 경선 결과 및 영향
후보자 번호
후 보 자
득 표 수(표)
득 표 율(%)
결 과
1
이 부 영
743
15.3
.투표율은 46.2%로 이회창 후보가 653표의 압도적인 차로 승리함
2
이 상 희
109
2. 3
3
이 회 창
2,321
47.9
4
최 병 렬
1,668
34.5
한나라당은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12개지역별 경선중 마지막인 서울경선을 9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실시, 이회창 전 총재를 대선후보로 공식 확정하고 본격적인 지방선거.대선체제로 들어갔다. 서울경선 투표율은 1만500명의 선거인단중 4천847명이 참가해 46.2%를 기록했다. 이 전 총재는 10일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는 전당대회에서 대선후보로 공식 지명된 뒤 후보 수락연설을 통해 대선에 임하는 각오를 밝힌 뒤 대선기획단을 발족, 대선전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5.10 전당대회에서는 또 최고위원 경선을 실시, 후보 17명중 7명을 선출하는 등 당지도부를 구성한다.
Ⅳ. 전 망
민주당이 우리 헌정사상 처음 도입한 국민경선은 한나라당도 뒤따라 도입하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적 공감을 바탕으로 한국 정치사에 큰 획을 그었다는 데 평가가 일치한다. 국민참여경선제는 경선 초반에 등장하여 '돈과 조직'의 조짐을 보이던 선거 논란을 눈에 띄게 줄였다. 이에는 김근태 의원의 정치자금 고해성사와 경선초기 울산 돈봉투 사건을 계기로 한 시민사회단체의 감시 등도 기여했으나 근본적으로는 선거인단이 1만명수준에서 7만명으로 대폭 늘어났고, 그 절반을 일반국민이 차지함으로써 돈으로 움직이는 전통적인 조직이 힘을 발휘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인터넷의 급속발전에 따라 `온라인 시민정치'가 이번 국민참여경선제 과정에서 선거인단 모집, 후보에 대한 지지표명과 선거운동, 기성 언론과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는 여론 형성 등에서 맹위를 떨쳤다.
하지만 국민참여경선제는 이번 첫 시행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기술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도 드러났다. 우선, 일반국민의 정당 소속감이 옅고,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도가 지역적으로 불균형한 상황에서 선거인단 모집과정에서 `조직 동원' 시비 가능성을 해결하는 게 국민경선제의 정착에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경선 과정에서 나타난 후보간 극심한 갈등의 극복은 국민경선제 자체 보다는 경선에 참여한 정치인들의 역량 문제로 후보들이 풀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Ⅴ 참 고 자 료
.한겨례신문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한겨례21
.주간동아
.시사저널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3.06.14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