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의 교육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1)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1) 프래그어티즘 의미
첫째로
둘째로
본 론

본 론 2
1). 듀이의 개혁정신이론
2). 목 표 지 향 점

첫째,
둘째,
셋째,
3). 교육방법과 실천방안
결 론

본문내용

자료가 부족한 프로젝트를 거부할 수 있고, 거부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킬패트릭은 초등학교의 모든 시간을 구안법에 투입하고 중등학교에서도 확대시킬 것을 주장한다. 듀이가 주장하는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단계의 교육내용은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예컨대 걷기, 말하기, 읽기, 쓰기, 계산하기, 자전거 타기, 상품팔기, 기계조작 등의 행동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말한다. 제2단계의 교육내용은 제1단계의 교육내용에서 제시되었던 놀이와 일을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으로 그 의미를 확대·심화시키는 것이다.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대상은 자연과 인간이며 자연과 인간에 대한 구체적 교육내용은 지리와 역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듀이는 지리를 배우면 일상적 행위와 공간적 관련, 즉 자연적 관련을 파악하는 힘을 얻게 되고, 역사를 배우면 본질적으로 일상적 행위에 대한 인간적인 관련을 파악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듀이는 지리와 역사를 동떨어진 교과목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의 측면이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지리는 물리적 측면을 강조하고 역사는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지만, 이 둘은 인간의 공통적 삶을 내용으로 한다는 것이다. 제3단계의 교육내용은 제2단계의 자료가 합리적으로 조직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의 교육내용은 학습자의 지성이 질적으로 어느 정도 성장한 상태에서 수용된다. 듀이는 제3단계의 교육내용으로서 과학(science)을 들고 있다. 과학은 탐구와 검증의 방법에 기초한 반성적 사고에 의해 논리적으로 체계화시킨 지식이다.
결 론
듀이는 교사중심의 교육내용보다 학습자중심의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지성개발에 더욱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학습자의 지성개발은 사고와 경험을 분리시키지 않고 서로 연결시켜 줄 때, 그 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무엇인가 배울 것을 부여해 주지 말고 무엇인가 행할 것을 부여해 주어 사고를 자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성을 개발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행함으로써 배운다(learning by doing)는 듀이의 교육방법적 원리이다. 어려운 문제가 학습자의 사고를 좌절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모든 어려운 문제들이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시켜 주는 것이 아니다. 학습자는 당면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새로운 해결방안을 찾는 훈련된 정신이 바로 지성이다. 자료에 대한 창조적 사고를 통해서 학습자는 진정한 하나의 관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뉴튼(Newton)은 자료 자체에서 찾은 것이 아니라 창의적 사고를 통해서 중력 이론을 생각해 낸 것이다. 그의 모든 자료들은 해, 달, 유성, 거리, 부피, 수의 제곱 등과 같은 평범한 것이었다. 그러나 평범한 자료에 대한 창의적 사고를 통해서 중력이론이라는 관념을 만들어 낸 것이다. 그의 창의적 사고는 이미 있는 사실들을 미지의 관계에 도입시켜 새롭게 사용하는 데 있다. 이렇게 새로운 관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바로 지성인 것이다.

키워드

의미,   목표,   정의,   발전단계,   성과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7.05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