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군중노선과 정치동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중국공산당과 군중노선
1. 군중노선의 개념
2. 군중노선의 이론
3. 군중노선의 방법

Ⅱ. 정치운동의 의의

Ⅲ. 정치운동의 종류
1. 사상개조운동
2. 학술비판운동
3. 정치운동

Ⅳ. 정치운동의 방식
1. 모택동체제하의 정치동원
2. 정치적혼란기의 정치동원
3. 등소평체제하의 정치동원
4. 모택동과 등소평의 정치동원

Ⅴ. 정치동원의 지도조직
1. 군중조직
2. 군중조직의 종류와 활동

Ⅵ. 정치동원의 목표

Ⅶ. 지식인과 정치동원
1.중국인의 지식인 정책

Ⅷ. 결론

본문내용

들은 이러한 고급두뇌의 역류를 대단히 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국으로 되돌아 온 재능있는 지식인들을 위해 정부는 2000년 자연과학과 하이테크 분야에 대한 특별한 정책을 펴기도 하였다. 몇몇 중국학자들에 따르면, 강택민의 三個代表論은 이러한 하이테크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과 새로운 경제주체를 위한 것이라고도 한다. 강택민과 전문기술관료들은 이러한 기술전문가와 재정전문가가 새로운 세기의 선진사회생산력의 발전요구를 대표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들은 정치적인 보병에 있어서 주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바 있다. 심지어,曾慶紅은 유능한 귀환 학생들은 즉시 정부 최고 집단에 임명을 시켜야 한다고 명백히 말한 바 있다. 현재 최고 지도자들이 이렇듯 해외 유학 경험을 가진 젊은 임원을 원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강택민 집단은 중국의 이러한 최고 집단이 국제경제와 세계적인 기술경쟁에서 강한 경쟁자가 될 것이라 믿고 있다. 둘째, 이러한 귀환 학생은 보통 30대에서 40대 초반으로 매우 젊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강택민체제에서의 지식인정책은 주로 자본가 계층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지식인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은 삼개대표론 중 자본가 입당을 허용하는 방안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이렇듯 중국정부는 중국공산당 체제유지와 국가발전을 위해 지식인을 적극 포용하는 정책으로 나아간다고 볼 수 있다.
Ⅷ. 결 론
중국공산당은 그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으로 군중노선에 입각한 군중운동을 선택하였다. 중국공산당은 장정이후 공산당원의 수적 증가를 통해 공산당의 세력을 확대하고,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하여 공산국가를 수립하고, 그리고 장기 집권한다는 등 그의 모든 정치적 목적을 인민 군중운동 형식을 통하여 성취시켜 왔다. 그리하여 중국공산당의 인민군중운동은 공산당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도구가 되었다. 중국공산당은 인민 군중운동 없이 존재할 수 없을 정도이다. 또한 인민 군중운동은 중국 인민을 정치에 참여시키는 수단으로 정치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정치과정이다. 즉 정권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공산당은 인민 군중운동을 인민의 정치참여 및 정치동원의 수단으로 이용해 왔다. 더 나아가 중국공산당은 인민 군중운동을 통해 정치적 목적 달성뿐만 아니라 사상의 통합, 조직의 강화, 행위의 교정, 규율의 강화, 사회정화 등을 가능케 하였고 또한 모든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군중운동을 전개하려고 노력해 왔다. 그리고 인민 군중운동은 인민군중의 동질성을 공유하고 경제개혁, 사회개혁 등에 대한 인민군중의 지지를 확대하며, 권력핵심층 내부 파벌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더욱이 군중운동은 중국인민의 국민적 통합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동시에 군중운동을 통해 정부와 당이 인민군중이 무엇을 필요로 하고 또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를 직접 듣고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인민 군중운동은 사회변동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공산당은 중국인민의 의식체계 및 가치체계의 개혁을 위해 또 사회주의 노선에 역행하는 과거의 낡은 관습의 타파 등에도 인민 군중운동을 활용하였다.
이렇듯 군중노선은 중국의 정치과정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과거, 특히 모택동시기 군중노선은 공산당이 주도하는 중국의 정치현실 속에서 나타나는 모순들을 가장 잘 보완해 줄 수 있는 이상적인 정치과정이라 당시 중국지도부는 여겼다. 그러나 현 중국사회는 이제 더 이상의 과거와 같은 경직된 사회 분위기가 아니며, 어느 하나의 의견에 동조해 가는 분위기는 더더욱 아니다. 중국인민은 어느 정도 제한 된 범위안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이 하나의 이익집단으로 형성화 되어서 이익표출에 힘쓰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것은 어느 특정 이데올로기에 의해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강하진 않지만, 아주 서서히 조금씩 다원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더 이상 이러한 중국사회 속에서 과거와 같은 대대적인 군중동원에 의한 정치동원이 일어나리라고 보기는 힘들 것 같다.설령 정치운동이 일게 되더라도 그것은 과거와 같은 중국인민을 주체로 하는 군중동원이 아닌 다른 제3의 매개체 즉,인터넷이란 정보망을 통해 정치운동을 하게 될 것이며, 지금도 서서히 이러한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중국은 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정치동원방식도 변해 가고 있다. 이는 또한 세계의 흐름에 역행 할 수 없는 대세인 것이다.
參考資料
소치형, 《중국·북한의 동원체제 비교 연구: '홍' 대 '전'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연구』17집 1998)
박규태,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지식인의 민주화 운동에 관한 연구》(건국대대학원 박사논문, 1993)
송영우, 《중국정치동원의 특성; 군중운동을 중심으로》(건국대 중국연구14/95.12/p193-221)
이창형, 《한국전쟁과 중국의 정치동원》(건국대 政正12집 99.12/p105-118)
백승주, 《등소평체제하의 정치권력 변동에 관한 연구: 중국의 정치권력 변동양상을 중심으로》 (경북대대학원 박사논문, 1993)
조수성, 《중국공산 혁명과정중 농민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영남대대학원 박사논문, 1991)
현재호, 《중국의 사회혁명과 군중노선》(중앙대학교 석사논문.1988)
총성의, 《중국의 지식인 정책》(『중소연구』13권 2호 1989, 여름)
제임스왕(금희연譯), 『현대중국정치론』(서울: 도서출판 그린, 1999)
송영우外 共著, 『중국의 정치동원』(서울: 집문당, 1996)
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 『중국정치경제사전』(서울: 민음사, 1990)
고지마 도모유끼(백완승,장미희譯), 『중국정치와 대중노선 1921-1985: 대중운동과 모택동, 중 앙 및 지방의 정치동태』(서울: 논장, 1989)
ASIAN SURVEY,VOL.XLI,NO.1.JANUARY/FEBRUARY 2001:Redefining the CCP ;"Three Representations" Concept /p.84-90
人民日報 2001.7.2版 ;江澤民在慶祝建黨八十周年大會上的講話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3.09.18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