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의 두 파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염상섭의 두 파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줄거리

2.중요 지문

3.주제

4.배경

5.시점

6.인물과 인물의 묘사 방법

7.구성

8.문학적 평가

9.연구 활동

본문내용

그만 누운 것이 반달이나 끌었다.
"마누라, 염려 말아요, 김옥임이 돈쯤 먹자만 들면 삼사십만 원쯤 금세루 녹여 내지 가만 있어요."
정례 부친은 앓는 마누라 앞에 앉아서 이렇게 위로하였다.
"옥임이 돈을 먹자는 것두 아니지만 무슨 재주루?"
마누라는 말리는 것두 아니요 부채질하는 것도 아닌 소리를 하였다.
"김옥임이도 요새 자동차를 놀려 보구 싶어하는데 마침 어수룩한 자동차 한 대가 나섰단 말이지. 조금만 참아요, 우리 집 문서는 아무래도 김옥임 여사의 돈으로 찾아 놓고 말 것이니……."
하며 정례 부친은 앓는 아내를 위하여 뱃속 유하게 껄껄 웃었다.
결말 - 상점을 처분하고 앓아 눕는 정례 모친
주제
물질적, 정신적으로 인간을 파산시키는 해방 후 혼란한 사회상(물질 만능의 각박한 세태와 경제 제일주의를 비판함)
배경
시대적 : 해방 공간
공간적 : 물질적 정신적 파산이 이루어지는 서울의 학교 부근
사회적 : 인간성을 파멸시키는 근대 사회 ④ 심리적 : 친구 사이의 갈등과 열등 콤플렉스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
인물과 인물의 묘사 방법
해방 후의 사회적 분위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형적이면서 개성적인 인물들이 설정되고 있다. 인물의 묘사 방법은 작가가 인 물의 성격을 설명해주는 직접 묘사방법이 주로 구사되고 있으나 대화나 등장인물의 심리를 통해서도 성격이 창조되고 있다.
옥임 - 성격 파산자. 해방 후 음악가니 문학가가 되겠다는 꿈을 버리고 시류에 적응,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챙김
정례 모친 - 경제 파산자. 국민학교 앞에서 구멍가게를 하면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함
교장 - 해방 후 변모한 지식인의 모습으로, 품위를 지키려고 하면서도 돈과 자신의 이해 때문에 정신적으로 파산해 가는 고리대 금업자이다.
정례 - 어머니의 일을 도우면서 살아가는 처녀이다. 고리대금업자를 멸시하고, 부정적인 시각을 대변해주는 인물이다.
정례 부친 - 정치를 하면서 무위도식하는 인물이다. 경제력도 없다.
구성
두 파산은 시정 소설로서 시간적 순행 기법에 과거 회상이 삽입되어 있으나 대체로 평면적 구성에 속한다. 그리고 내용의 층위 에서는 정례 모친과 옥임의 경제적, 성격적 파산이 병행적 구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문학적 평가
'두 파산'은 해방 후에 음악가나 문학가가 되겠다는 옛 꿈을 버리고 시류에 적응하여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챙기는 성격 파산자 인 옥임이와 국민 학교 앞에서 구멍가게를 하면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정례 어머니의 경제적 파산의 의미를 대조시키면서 민 족의 깊은 상처를 상기시키고 있다. 8 15 해방 후 격동기의 물질적 정신적 파산의 의미를 짙게 보여 주는 단편이다.
연구 활동
1. 이 소설의 주제를 알아보자.
물질적, 정신적으로 인간을 파산시키는 해방 이후의 혼란한 사회상(물질 만능의 각박한 세태와 경제 제일주의를 비판함)
2. 이 작품에서 소설의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말해보자.
정례 모친의 말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표출됨
3. 정례 어머니의 옥임의 파산의 의미를 이야기 해보자.
정례 어머니 - 경제적 파산
옥임 - 정신적 파산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0.1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