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수행
-평가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수행
-평가
본문내용
ation and culture)을 시행한다.
5. 경과 / 합병증
몇몇의 심각한 상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식중독은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만으로도 수일 내에 회복된다.
6. 치료
식중독의 치료 원칙은 구토나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손실과 전해질을 보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수액공급 등의 대증요법이 주요 치료방향이 되며, 극히 일부의 경우 항생제의 사용이 고려된다. 혈변이나 점액성변, 혹은 발열이 동반되거나 고령, 면역저하 환자의 경우는 항생제의 투여를 고려한다.
7. 예방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보관 저장해야 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작업을 하여야 하며, 가열 조리식품은 중심부 온도를 75℃ 이상으로 1분 이상 가열하여 익혀 먹어야 한다. 패류의 경우는 85℃에서 1분 이상 가열한다. 60℃의 온도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온도 구간이므로 뜨거운 음식은 60℃ 이상으로 보관하고 찬 음식은 4℃ 이하로 냉장 보관하여 관리한다.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1. 사례환자 기본정보
*이름/성별 : 김 O O/남성 *나이 : 36 *학력 : 대졸
*입원일 : 2024.12.xx. *기저질환 : 고혈압약 복용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
기 형
없음
피부 상태
정상
보조 기구
정상
식 욕
나쁨
소화기 장애
없음
정서 상태
안정
대 변
4회 / 1일
순환기 장애
없음
의사 소통
원만함
소 변
5~6회 / 1일
호흡기 장애
없음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모두 정상
수면 시간
4시간 / 1일
동공 크기
대칭
활동 상태
자유로움
시력 장애
없음
의식 상태
명료
체중의 변화
-3kg
청력 장애
없음
2. 입원 및 치료 자료
*일반 혈액검사
검사종류
수치
정상 범위
WBC
29.1K/uL
4-10K/uL
RBC
5 M/uL
4.5-6.3M/uL
Hb
13.8g/dL
14-18g/dL
Hct
39.3%
38-52%
MCV
87.3fL
77-91fL
MCH
30.3pg
26-32pg
MCHC
34.7g/dL
32-36g/dL
PLT
225K/uL
140-440K/uL
Pct
0.18%
0.15-0.35%
MPV
9.8fL
8-12.5f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복통, 구토, 설사, 수면부족
2. 현병력
: 평소 고혈압 기왕력 말고는 질병 없었다고 하며 최근 바닷가 근처에서 한달간 휴가를 보내며 해산물을 자주 섭취했다고 함. 입원 3일전부터 함께 휴가를 보낸 가족들과 함께 모두가 복통, 구토, 설사, 발열 증상 있어서 응급실 내원하였고 혈액 검사 상 염증수치(WBC) 상승됨을 확인하며 식중독 및 장염 진단 하에 입원 치료함.
입원 당시 V/S : 110/80 74 38.2 20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장염과 관련된 복통
사정
주관적 자료
“배가 아파요.” “누가 자꾸 배를 치는 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 혈액 검사 상 장염 진단 받음.
▶ 통증 평가 점수 10점 만점 중 10점 확인함.
간호
진단
장염과 관련된 복통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 평가 점수가 5점 이하로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열흘 이내 통증 평가 점수가 3점 이하로 완화된다.
간호 계획 및 중재
① 진통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온찜질 등을 제공한다.
③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이론적 근거
①,② : 진통제 및 찜질 등을 통해 복통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③ : 편안하게 복식호흡을 하여 복통을 조절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티로파주, 케토락주를 하루 2번씩 IV 투약하였다.
② 온찜질팩을 복부에 가져다주었다.
③ 상체를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대상자가 처음에는 불편해하였으나 금방 적응하며 편안하다고 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진통제를 투여받고 통증이 호전되었다고 하였으며 진통제를 하루 2번에서 1번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② 온찜질팩을 복부에 대드리니 통증이 호전되었다고 한다.
③ 상체를 세워 편안하게 복식 호흡 하도록 도와드려 복통 조절에 도움이 되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통증평가 점수가 최초 10점에서 3일 후 5점이 되었고 일주일 후에는 1점으로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일 후에는 통증 평가 점시가 0점으로 완화되었다.
② 구토 관련된 수면부족
사정
주관적 자료
“물만 마셔도 토를 해요.” “구토를 해서 화장실 가느라 잠도 못자요.”
객관적 자료
▶ 혈액 검사 상 장염 진단 받음.
▶ 수면시간 측정 시 4시간 확인함.
간호
진단
구토와 관련된 수면부족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구토 증상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간호 계획 및 중재
① 진토제를 투약하여 구토를 조절한다.
② 수액치료를 하여 전해질 및 수분을 조절해준다.
③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수면을 원활히 하도록 도와준다.
이론적 근거
① : 약물을 통해 구토 증상이 완화된다.
② : 수액치료를 통하여 구토로 인해 불균형을 이룬 수분량과 전해질을 조절해준다.
③ : 편안한 분위기로 수면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간호 수행
① 주치의 처방에 따라 멕페란주 2ml 1@를 하루3번 IV 투약을 하였다.
② 5%DS 수액 1000ml를 하루 2팩씩 처치해주었다.
③ 백색소음을 제공하고 수면 시 안대를 제공해주었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진토제를 투약하였더니 2일 후 구토 증상이 완화되었다. 추후 하루 2번으로 주사량을 조절하고 일주일 후 진토제 투약을 멈추었다.
② 수액처치를 통해 수분을 공급 받고 전해질을 보충하여 구토도 완화되었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이 든다고 하였다.
③ 안대를 쓰고 백색소음을 들으니 수면 시 도움이 되었다고 하며 3일 후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간호 제공을 통해 대상자가 3일 후 구토증상이 완화되고 이에 따라서 수면도 충분히 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만족감도 높았다. 추후 10일 후에는 모든 증상이 완화되어 퇴원을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5. 경과 / 합병증
몇몇의 심각한 상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식중독은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만으로도 수일 내에 회복된다.
6. 치료
식중독의 치료 원칙은 구토나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손실과 전해질을 보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수액공급 등의 대증요법이 주요 치료방향이 되며, 극히 일부의 경우 항생제의 사용이 고려된다. 혈변이나 점액성변, 혹은 발열이 동반되거나 고령, 면역저하 환자의 경우는 항생제의 투여를 고려한다.
7. 예방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보관 저장해야 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작업을 하여야 하며, 가열 조리식품은 중심부 온도를 75℃ 이상으로 1분 이상 가열하여 익혀 먹어야 한다. 패류의 경우는 85℃에서 1분 이상 가열한다. 60℃의 온도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온도 구간이므로 뜨거운 음식은 60℃ 이상으로 보관하고 찬 음식은 4℃ 이하로 냉장 보관하여 관리한다.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1. 사례환자 기본정보
*이름/성별 : 김 O O/남성 *나이 : 36 *학력 : 대졸
*입원일 : 2024.12.xx. *기저질환 : 고혈압약 복용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
기 형
없음
피부 상태
정상
보조 기구
정상
식 욕
나쁨
소화기 장애
없음
정서 상태
안정
대 변
4회 / 1일
순환기 장애
없음
의사 소통
원만함
소 변
5~6회 / 1일
호흡기 장애
없음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모두 정상
수면 시간
4시간 / 1일
동공 크기
대칭
활동 상태
자유로움
시력 장애
없음
의식 상태
명료
체중의 변화
-3kg
청력 장애
없음
2. 입원 및 치료 자료
*일반 혈액검사
검사종류
수치
정상 범위
WBC
29.1K/uL
4-10K/uL
RBC
5 M/uL
4.5-6.3M/uL
Hb
13.8g/dL
14-18g/dL
Hct
39.3%
38-52%
MCV
87.3fL
77-91fL
MCH
30.3pg
26-32pg
MCHC
34.7g/dL
32-36g/dL
PLT
225K/uL
140-440K/uL
Pct
0.18%
0.15-0.35%
MPV
9.8fL
8-12.5f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복통, 구토, 설사, 수면부족
2. 현병력
: 평소 고혈압 기왕력 말고는 질병 없었다고 하며 최근 바닷가 근처에서 한달간 휴가를 보내며 해산물을 자주 섭취했다고 함. 입원 3일전부터 함께 휴가를 보낸 가족들과 함께 모두가 복통, 구토, 설사, 발열 증상 있어서 응급실 내원하였고 혈액 검사 상 염증수치(WBC) 상승됨을 확인하며 식중독 및 장염 진단 하에 입원 치료함.
입원 당시 V/S : 110/80 74 38.2 20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장염과 관련된 복통
사정
주관적 자료
“배가 아파요.” “누가 자꾸 배를 치는 거 같아요.”
객관적 자료
▶ 혈액 검사 상 장염 진단 받음.
▶ 통증 평가 점수 10점 만점 중 10점 확인함.
간호
진단
장염과 관련된 복통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 평가 점수가 5점 이하로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열흘 이내 통증 평가 점수가 3점 이하로 완화된다.
간호 계획 및 중재
① 진통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온찜질 등을 제공한다.
③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이론적 근거
①,② : 진통제 및 찜질 등을 통해 복통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③ : 편안하게 복식호흡을 하여 복통을 조절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티로파주, 케토락주를 하루 2번씩 IV 투약하였다.
② 온찜질팩을 복부에 가져다주었다.
③ 상체를 세워주는 자세를 취해주어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대상자가 처음에는 불편해하였으나 금방 적응하며 편안하다고 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진통제를 투여받고 통증이 호전되었다고 하였으며 진통제를 하루 2번에서 1번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② 온찜질팩을 복부에 대드리니 통증이 호전되었다고 한다.
③ 상체를 세워 편안하게 복식 호흡 하도록 도와드려 복통 조절에 도움이 되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수행은 거의 효과적으로 진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의 통증평가 점수가 최초 10점에서 3일 후 5점이 되었고 일주일 후에는 1점으로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일 후에는 통증 평가 점시가 0점으로 완화되었다.
② 구토 관련된 수면부족
사정
주관적 자료
“물만 마셔도 토를 해요.” “구토를 해서 화장실 가느라 잠도 못자요.”
객관적 자료
▶ 혈액 검사 상 장염 진단 받음.
▶ 수면시간 측정 시 4시간 확인함.
간호
진단
구토와 관련된 수면부족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구토 증상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간호 계획 및 중재
① 진토제를 투약하여 구토를 조절한다.
② 수액치료를 하여 전해질 및 수분을 조절해준다.
③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수면을 원활히 하도록 도와준다.
이론적 근거
① : 약물을 통해 구토 증상이 완화된다.
② : 수액치료를 통하여 구토로 인해 불균형을 이룬 수분량과 전해질을 조절해준다.
③ : 편안한 분위기로 수면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간호 수행
① 주치의 처방에 따라 멕페란주 2ml 1@를 하루3번 IV 투약을 하였다.
② 5%DS 수액 1000ml를 하루 2팩씩 처치해주었다.
③ 백색소음을 제공하고 수면 시 안대를 제공해주었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진토제를 투약하였더니 2일 후 구토 증상이 완화되었다. 추후 하루 2번으로 주사량을 조절하고 일주일 후 진토제 투약을 멈추었다.
② 수액처치를 통해 수분을 공급 받고 전해질을 보충하여 구토도 완화되었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이 든다고 하였다.
③ 안대를 쓰고 백색소음을 들으니 수면 시 도움이 되었다고 하며 3일 후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간호 제공을 통해 대상자가 3일 후 구토증상이 완화되고 이에 따라서 수면도 충분히 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만족감도 높았다. 추후 10일 후에는 모든 증상이 완화되어 퇴원을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