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불상(佛像)
Ⅱ. 불상의 전래
1. 삼국시대
2. 후기(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Ⅲ. 구조
1. 육계
2. 백호
3. 영락
Ⅳ. 의복과 장신구
1.의복
2. 지물
Ⅴ. 자세
1. 자세
2. 대좌
Ⅵ. 결론
Ⅱ. 불상의 전래
1. 삼국시대
2. 후기(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Ⅲ. 구조
1. 육계
2. 백호
3. 영락
Ⅳ. 의복과 장신구
1.의복
2. 지물
Ⅴ. 자세
1. 자세
2. 대좌
Ⅵ. 결론
본문내용
좌, 조수좌, 생령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연화좌와 사자좌가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① 연화좌(蓮花座)
대좌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며 연꽃이 더러운 흙 속에서도 청정함을 잃지 않는 덕이 있 기 때문에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연꽃 줄기만 표현한 연화대좌가 만들어졌으나 꽃잎 끝이 위로 향한 앙련(仰蓮)과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을 합친 단판(單瓣) 연화, 여러 개가 포개 진 복판(複瓣) 연화, 그리고 장엄화된 보련화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점차 복잡한 구성으로 전개되 었다. 보통 형태는 크게 방형대좌와 원형대좌로 나눌 수 있는데 방형대좌는 사각, 육각, 팔각 등이며 그 중에서 사각대좌는 인도,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서 가장 유행한 형식이다. 우리나 라에서는 특히 통일신라시대부터 팔각대좌가 보이기 시작하여 8세기 중엽에서 9세기에 걸쳐 크게 유행하였다.
② 사자좌(獅子座)
대좌의 형태에서 유래된 이름이 아니라 부처가 사자와 같은 위엄과 위세를 가지고 중생을 올바르 게 이끈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로서 경전에서는 자주 언급된다. 실제로 대좌의 좌우 양쪽에 사자 를 새긴 예는 매우 드문 편인데 뚝섬에서 출토된 금동불좌상이나 집안의 장천 1호 고분벽화에 보 이는 고구려 초기의 불상예배도,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 등에서 볼 수 있다. 이 사자좌는 불, 보살을 비롯한 여러 불상에 널리 이용되는 연화좌와는 달리 여래상에서만 나타난다.
③ 상현좌(裳懸座)
결가부좌한 불상이 입은 옷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는 형식을 말한다. 인도 간다라 불상 조 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특히 불상 표현이 중국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옷주름 표현이 강조되면 서 나타난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백제시대의 부여 군수 리사지 납석제불좌상과 팔공산 군위삼존불의 본존상, 청양 출토 대형 도제불상 대좌 등이 대표 적인 예이다.
④ 암좌(岩座)
울퉁불퉁한 바위 형태를 표현한 대좌로 주로 명왕과 천부상에 많이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분황사 석탑의 인왕상이나 석굴암 팔부중의 대좌에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상은 없으졌지 만 황룡사의 금동장육삼존상은 자연 그대로의 바위를 대좌로 이용한 예이다.
⑤ 운좌(雲座)
구름 형태로, 내영(來迎) 형식의 아미타삼존 내지 독존상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보살상이나 신 장상, 천부상의 대좌로도 이용된다.
⑥ 조수좌(鳥獸座)
동물을 불상의 대좌로 사용한 형식으로 인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불, 보살, 명왕, 신장상 등에 나타나는 동물은 신화에 의한 것이 거의 없고 오히려 불교 교리와 관련된 의미를 가진 것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9세기경의 불국사와 법수사지에 파편으로 남아 있는 문수, 보현보살의 사자좌와 코끼리좌를 제외하고는 거의 볼 수 없다.
⑦ 생령좌(生靈座)
천인에서부터 아귀축생(餓鬼畜生)에 이르기까지 살아 있는 모든 생물을 대좌로 한 형식이다. 옳지 않은 생령(生靈:생명)을 힘으로 항복시킨다는 뜻이 있다. 대개 명왕이나 신장상이 타거나 서 있는 것으로 좌상에서는 드물며 주로 입상에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천왕, 팔부중의 대좌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감은사지 3층석탑 출토 청동사리구 사천왕상을 비롯하여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사천왕상전, 석굴암 사천왕상 등이 있다.
Ⅵ. 결론
석가모니부처님이 열반하시고 약 5백년후 까지는 예배 대상으로서의 불상의 제작이 없었다. 그 대신 초기에는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나 일화와 관계된 그림이나 부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 부처님을 대신하여 불사리탑이나 법륜, 보리수, 연화좌, 금강좌와 같은 상징물들을 부처님의 위치에 표현해 놓고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즉 부처님은 너무도 거룩한 분이라서 모습을 형상화하는 것 자체가 자칫 그분의 성스러움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초기의 불상과 불화의 내용으로는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를 담은 본생도와 석가모니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타낸 팔상도를 포함하여 여러 일화들을 묘사한 불전도가 있다.
‘불상’이란 말의 본래 의미는 부처님의 존상을 뜻하므로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님 즉, 진리를 깨닫고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여래의 형상만을 의미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찰에서 봉안하고 있는 각종의 보살상과 나한상 및 불교의 수호신인 신중상도 불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여래상, 보살상, 신중상, 조사상 등 불교교리와 관련된 모든 형상의 조형물들을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① 연화좌(蓮花座)
대좌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며 연꽃이 더러운 흙 속에서도 청정함을 잃지 않는 덕이 있 기 때문에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연꽃 줄기만 표현한 연화대좌가 만들어졌으나 꽃잎 끝이 위로 향한 앙련(仰蓮)과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을 합친 단판(單瓣) 연화, 여러 개가 포개 진 복판(複瓣) 연화, 그리고 장엄화된 보련화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점차 복잡한 구성으로 전개되 었다. 보통 형태는 크게 방형대좌와 원형대좌로 나눌 수 있는데 방형대좌는 사각, 육각, 팔각 등이며 그 중에서 사각대좌는 인도,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서 가장 유행한 형식이다. 우리나 라에서는 특히 통일신라시대부터 팔각대좌가 보이기 시작하여 8세기 중엽에서 9세기에 걸쳐 크게 유행하였다.
② 사자좌(獅子座)
대좌의 형태에서 유래된 이름이 아니라 부처가 사자와 같은 위엄과 위세를 가지고 중생을 올바르 게 이끈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로서 경전에서는 자주 언급된다. 실제로 대좌의 좌우 양쪽에 사자 를 새긴 예는 매우 드문 편인데 뚝섬에서 출토된 금동불좌상이나 집안의 장천 1호 고분벽화에 보 이는 고구려 초기의 불상예배도,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 등에서 볼 수 있다. 이 사자좌는 불, 보살을 비롯한 여러 불상에 널리 이용되는 연화좌와는 달리 여래상에서만 나타난다.
③ 상현좌(裳懸座)
결가부좌한 불상이 입은 옷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는 형식을 말한다. 인도 간다라 불상 조 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특히 불상 표현이 중국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옷주름 표현이 강조되면 서 나타난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백제시대의 부여 군수 리사지 납석제불좌상과 팔공산 군위삼존불의 본존상, 청양 출토 대형 도제불상 대좌 등이 대표 적인 예이다.
④ 암좌(岩座)
울퉁불퉁한 바위 형태를 표현한 대좌로 주로 명왕과 천부상에 많이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분황사 석탑의 인왕상이나 석굴암 팔부중의 대좌에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상은 없으졌지 만 황룡사의 금동장육삼존상은 자연 그대로의 바위를 대좌로 이용한 예이다.
⑤ 운좌(雲座)
구름 형태로, 내영(來迎) 형식의 아미타삼존 내지 독존상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보살상이나 신 장상, 천부상의 대좌로도 이용된다.
⑥ 조수좌(鳥獸座)
동물을 불상의 대좌로 사용한 형식으로 인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불, 보살, 명왕, 신장상 등에 나타나는 동물은 신화에 의한 것이 거의 없고 오히려 불교 교리와 관련된 의미를 가진 것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9세기경의 불국사와 법수사지에 파편으로 남아 있는 문수, 보현보살의 사자좌와 코끼리좌를 제외하고는 거의 볼 수 없다.
⑦ 생령좌(生靈座)
천인에서부터 아귀축생(餓鬼畜生)에 이르기까지 살아 있는 모든 생물을 대좌로 한 형식이다. 옳지 않은 생령(生靈:생명)을 힘으로 항복시킨다는 뜻이 있다. 대개 명왕이나 신장상이 타거나 서 있는 것으로 좌상에서는 드물며 주로 입상에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천왕, 팔부중의 대좌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감은사지 3층석탑 출토 청동사리구 사천왕상을 비롯하여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사천왕상전, 석굴암 사천왕상 등이 있다.
Ⅵ. 결론
석가모니부처님이 열반하시고 약 5백년후 까지는 예배 대상으로서의 불상의 제작이 없었다. 그 대신 초기에는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나 일화와 관계된 그림이나 부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 부처님을 대신하여 불사리탑이나 법륜, 보리수, 연화좌, 금강좌와 같은 상징물들을 부처님의 위치에 표현해 놓고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즉 부처님은 너무도 거룩한 분이라서 모습을 형상화하는 것 자체가 자칫 그분의 성스러움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초기의 불상과 불화의 내용으로는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를 담은 본생도와 석가모니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타낸 팔상도를 포함하여 여러 일화들을 묘사한 불전도가 있다.
‘불상’이란 말의 본래 의미는 부처님의 존상을 뜻하므로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님 즉, 진리를 깨닫고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여래의 형상만을 의미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찰에서 봉안하고 있는 각종의 보살상과 나한상 및 불교의 수호신인 신중상도 불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여래상, 보살상, 신중상, 조사상 등 불교교리와 관련된 모든 형상의 조형물들을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송광사, 불교, 부처, 보살 , 운주사
팔상도를 통해 배우는 불교의 지혜
러시아의 이콘과 불교의 탱화 비교
[A+ 레포트]삼국의 불교문화 비교 분석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불교와 기독교로의 선교방안
동국대학교 박물관을 다녀와서(불교문화,예술)
붓다, 부처, 부처님, 샤카무니의 생애와 불교 사상
[종교행사] 불교행사중 하나인 영산재의 소개와 감상.
한국, 중국, 인도 불교의 비교
SGI(Soka Gakkai International) 한국불교회,국제창가학회 PPT자료
일본 니치렌 불교소개 (sGI) - 일본의 종교 분포 현황, 남묘호렌게쿄란, 기원, 공명당, 기본...
인도의 새로운 사상 (우파니샤드 철학, 자이나교, 불교)
유아교육 사상,유아교육 사상,조선시대의 유아교육,불교의 유아교육사상,유교의 유아교육사상...
용주사 중심에서 불교 문화를 외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