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강의 정의
2. 건강의 보존
3. 건강의 증진
4. 질병의 정의
5. 체력의 개념
6. 운동의 필요성
2. 건강의 보존
3. 건강의 증진
4. 질병의 정의
5. 체력의 개념
6. 운동의 필요성
본문내용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향상 시키는 방법
(2) 체력의 초과 한계 : 생리적 한계, 심리적 한계
- 생리적 한계 : 실질적으로 인체가 발휘할수 있는 최고한계, 직접측정 불가능
- 심리적 한계 : 외견적으로 나타나는 근원의 한계
(3) 일반적으로 평상시 얻을수 있는 심리적한계는 생리적 한계의 70% 정도
3) 체력의 평가
(1) 근력(muscular strength)
- 근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에너지
- 인간의 모든활동을 포함
- 정적근력(악력, 각력, 배근력) : 근육의 길이 변화가 없다
- 동적근력 : 근육의 길이 변화
(2)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 장시간 활동에 견딜수 있는 근력
- 턱걸이, 오래 매달리기, 팔굽혀 펴기
(3) 순발력(power)
- 한정된 시간내에 많은양의 일을 할수 있는 능력
- 제자리 높이 뛰기, 공던지기, 50m 달리기
(4) 민첩성(agility)
- 재빠른 동작으로 신체조정, 부드럽게 반응할수 있는 능력
- 달리기 start-dash, side step test, 왕복달리기, 버피테스트
(5) 유연성(flexibility)
- 관절의 가동범위
- 굴곡, 신전
- 위몸 앞으로 굽히기, 윗몸 뒤로 젖히기
(6) 평형성(balance)
- 신체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 할수 있는 능력
- 한발로 서기, 눈감고 한발로 서기
(7) 전신 지구력(stamina)
- 호흡기, 순환기 계통의 지구력
- 호흡기 검사 : 폐활량 검사
순환기 검사 : 맥박수, 혈압
- 하바드 스텝 테스트 (계단을 5분동안 오르락 내리락 후 맥박수)
4) 체력을 위한 FITT 처방
(1) 빈도(Frequency)
- 3-5회/week, 운동 후 다음 운동 간격이 48시간 넘지 않게 (매일 운동할 필요 없다)
(2) 강도(Intensity)
- 지구성 강도의 범위 : HRmax의 60-75% 정도 (HRmax = 220-나이)
- 운동전 목표 심박수 설정
THR = {(HRmax-HRrest) ×운동강도} + HRrest
(3) 시간(Time)
- 준비, 정리운동 : 각각 5-15분
- 주운동 20-30분
(4) 운동종류(Type)
- 유산소 운동으로 바람직한 종류 : 에어로빅 댄스, 수영, 자전거, 크로스컨트리, 조깅, 걷기
- 테니스, 골프, 볼링, 소프트볼 : 유산소 운동으로 약하다
(5) 운동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
- 개인차가 있으나 대략 8-12주
- 오래 지속하는 방법 : 동료와 같이 맞는 시간대를 결정한다
6. 운동의 필요성
1) 현대 생활과 운동부족 : 생산의 기계화, 교통수단의 발달
- 운동부족 현상
- 체력감소, 정서불안정, 근육긴장, 수면장애
- 성인병(운동부족병)
2) 운동부족으로 인한 건강 장애
- 심장기능 저하 : 심장근 약화로 인해 1회 박출량이 감소하면서 심장의 펌프작용 (맥박)이 많아진다 ->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어 심장병의 원인
- 혈관의 탄력성 저하 : 고혈압의 원인
- 폐기는 저하 : 산소공급 차질
- 근력 저하 : 작업능력저하, 자세 불량
3) 장시간 침상 생활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
(1) 순환기계
- 안정시, 운동시 HR(심박수) 증가
- 최대 산소섭취량 감소
- 심장용적 감소
- 1회 박출량 감소
- 조혈기능 감소
(2) 골격계
- 뇨중 Ca 배출량 증가
- 골밀도 감소
- 골연화 및 골절 가능성 증가
(3) 근육계 : 근위축
4) 운도의 효과
(1) 신체적 효과
- 근육, 신체기관 발달
- 체력요소의 균형있는 발달
- 노화방지
- 안정시 심박수, 혈압 감소
- 1회 박출량 증가
- 운동후 회복시간 감소
- 체지방율 감소
(2) 정시적 효과
- 긴장완화
- 깊은 수면
(2) 체력의 초과 한계 : 생리적 한계, 심리적 한계
- 생리적 한계 : 실질적으로 인체가 발휘할수 있는 최고한계, 직접측정 불가능
- 심리적 한계 : 외견적으로 나타나는 근원의 한계
(3) 일반적으로 평상시 얻을수 있는 심리적한계는 생리적 한계의 70% 정도
3) 체력의 평가
(1) 근력(muscular strength)
- 근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에너지
- 인간의 모든활동을 포함
- 정적근력(악력, 각력, 배근력) : 근육의 길이 변화가 없다
- 동적근력 : 근육의 길이 변화
(2)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 장시간 활동에 견딜수 있는 근력
- 턱걸이, 오래 매달리기, 팔굽혀 펴기
(3) 순발력(power)
- 한정된 시간내에 많은양의 일을 할수 있는 능력
- 제자리 높이 뛰기, 공던지기, 50m 달리기
(4) 민첩성(agility)
- 재빠른 동작으로 신체조정, 부드럽게 반응할수 있는 능력
- 달리기 start-dash, side step test, 왕복달리기, 버피테스트
(5) 유연성(flexibility)
- 관절의 가동범위
- 굴곡, 신전
- 위몸 앞으로 굽히기, 윗몸 뒤로 젖히기
(6) 평형성(balance)
- 신체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 할수 있는 능력
- 한발로 서기, 눈감고 한발로 서기
(7) 전신 지구력(stamina)
- 호흡기, 순환기 계통의 지구력
- 호흡기 검사 : 폐활량 검사
순환기 검사 : 맥박수, 혈압
- 하바드 스텝 테스트 (계단을 5분동안 오르락 내리락 후 맥박수)
4) 체력을 위한 FITT 처방
(1) 빈도(Frequency)
- 3-5회/week, 운동 후 다음 운동 간격이 48시간 넘지 않게 (매일 운동할 필요 없다)
(2) 강도(Intensity)
- 지구성 강도의 범위 : HRmax의 60-75% 정도 (HRmax = 220-나이)
- 운동전 목표 심박수 설정
THR = {(HRmax-HRrest) ×운동강도} + HRrest
(3) 시간(Time)
- 준비, 정리운동 : 각각 5-15분
- 주운동 20-30분
(4) 운동종류(Type)
- 유산소 운동으로 바람직한 종류 : 에어로빅 댄스, 수영, 자전거, 크로스컨트리, 조깅, 걷기
- 테니스, 골프, 볼링, 소프트볼 : 유산소 운동으로 약하다
(5) 운동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
- 개인차가 있으나 대략 8-12주
- 오래 지속하는 방법 : 동료와 같이 맞는 시간대를 결정한다
6. 운동의 필요성
1) 현대 생활과 운동부족 : 생산의 기계화, 교통수단의 발달
- 운동부족 현상
- 체력감소, 정서불안정, 근육긴장, 수면장애
- 성인병(운동부족병)
2) 운동부족으로 인한 건강 장애
- 심장기능 저하 : 심장근 약화로 인해 1회 박출량이 감소하면서 심장의 펌프작용 (맥박)이 많아진다 ->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어 심장병의 원인
- 혈관의 탄력성 저하 : 고혈압의 원인
- 폐기는 저하 : 산소공급 차질
- 근력 저하 : 작업능력저하, 자세 불량
3) 장시간 침상 생활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
(1) 순환기계
- 안정시, 운동시 HR(심박수) 증가
- 최대 산소섭취량 감소
- 심장용적 감소
- 1회 박출량 감소
- 조혈기능 감소
(2) 골격계
- 뇨중 Ca 배출량 증가
- 골밀도 감소
- 골연화 및 골절 가능성 증가
(3) 근육계 : 근위축
4) 운도의 효과
(1) 신체적 효과
- 근육, 신체기관 발달
- 체력요소의 균형있는 발달
- 노화방지
- 안정시 심박수, 혈압 감소
- 1회 박출량 증가
- 운동후 회복시간 감소
- 체지방율 감소
(2) 정시적 효과
- 긴장완화
- 깊은 수면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과 건강한 삶- 건강한 삶을 위한 방법
건강이란 무엇이고 식생활과 건강의 관계에 관한 고찰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정신건강과간호 2016}교재 65쪽의 ‘스트레스 인식 일지’를 이용하여 지난 2주 동안 자신의 ...
[정신건강] 정신건강의 개념(정의)과 특성(특징), 정신건강의 증진 및 관리방법
[건강진단] 건강진단의 의미와 체계, 건강진단의 사후처리, 설문지조사법
[건강증진의 과제] 건강증진의 정의, 건강증진 행위
[건강목욕요법] 목욕의 의학적 효과, 증상에 따른 건강목욕법, 사우나와 냉수건강법(냉수마찰...
간호학특론-로젠톡스와 베커가 제시한 건강신념모형에 대해 설명. 또한 급성질환자와 만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