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뇨병(Diabetes)이란
2. 당뇨병의 분류
3. 제 1형 자가면역성 당뇨병의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DKA의 치료
6. 당뇨병의 장기적 합병증의 치료
2. 당뇨병의 분류
3. 제 1형 자가면역성 당뇨병의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DKA의 치료
6. 당뇨병의 장기적 합병증의 치료
본문내용
두통, 기면, 대소변실금, 경련, 동공변화가 선행되기도 하고 신경학적 대상부전을 미리 알리는 증상으로 심박동수가 떨어지고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신경학적 합병증에 대해 병리생리학적으로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DKA의 치료를 시작하고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방법 중에 이러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세포외액이 고삼투압이다. 신경 세포가 수분을 잃어감에 따라 세포는 volume을 위지하기 위해 osmoprotective molecules를 생산한다. 수분공급이 시작되고 삼투압이 떨어지면 수분이 빠른 속도로 neuron으로 들어가 뇌부종을 일으킨다.
뇌부종은 mannitol(0.25-1.0g/kg)로 치료하고 DKA의 치료를 시작하면서 바로 사용한다. 그러나 뇌부종의 후유증으로 이미 생겨버린 신경학적 황폐화를 개선시키지는 못한다. 뇌부종의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뇌부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황폐화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DKA가 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6. 당뇨병의 장기적 합병증의 치료
목표 : ①정상적인 신체적, 정신적 성장
②저혈당이나 고혈당으로 인한 증상의 감소
③장기적 합병증의 감소
방법 : ①인슐린주사
②식이요법
③효과적인 운동
당뇨병 치료의 세심한 주의로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후 10-20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 이환율과 치명율도 줄었다.
당뇨병 치료의 자극이 됐던 것은 1993년에 보고된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이다. DCCT는 혈당을 near normal range로 유지하려는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사용한다면 미세혈관 합병증과 신경병적 합병증의 빈도와 강도를 낮출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되었다. 29개 임상 센터에서 제 1형 당뇨병을 가진 14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들 중 13-17세 연령의 환아가 14%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평균 6.5년 동안 무작위로 추출하여 적극적인 치료 방법(다회 인슐린주입이나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과 고식적 치료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적극적으로 치료한 쪽이 고식적인 치료를 받은 쪽과 비교하여 평균혈당과 당화혈색소치가 훨씬 낮았다. 합병증도 상당한 감소를 보여 망막증의 76%, microalbuminuria는 39%, 신경병증은 60%의 감소를 보였다. 아울러 이미 가지고 있는 합병증도 더 서서히 진행하게 되었다. 망막증으로의 진행이 54%에서 서서히 진행하였고 증식성 망막증은 47%, 알부민뇨는 54%가 진행이 느려졌다.
적극적인 치료를 받은 어른과 청소년에서 심한 저혈당의 위험은 3배나 더 높다. 당화혈색소치가 1% 감소하면 장기적 합병증은 40%가 감소하나 저혈당의 위험은 20% 증가한다. 어린아이는 심한 저혈당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어린이는 DCCT의 평가에서 제외되었고 당뇨병이 있는 너무 어린아이에게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쓰는 것은 저혈당의 위험이 너무 커서 권장되지 않고 있다.
신경학적 합병증에 대해 병리생리학적으로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DKA의 치료를 시작하고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방법 중에 이러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세포외액이 고삼투압이다. 신경 세포가 수분을 잃어감에 따라 세포는 volume을 위지하기 위해 osmoprotective molecules를 생산한다. 수분공급이 시작되고 삼투압이 떨어지면 수분이 빠른 속도로 neuron으로 들어가 뇌부종을 일으킨다.
뇌부종은 mannitol(0.25-1.0g/kg)로 치료하고 DKA의 치료를 시작하면서 바로 사용한다. 그러나 뇌부종의 후유증으로 이미 생겨버린 신경학적 황폐화를 개선시키지는 못한다. 뇌부종의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뇌부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황폐화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DKA가 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6. 당뇨병의 장기적 합병증의 치료
목표 : ①정상적인 신체적, 정신적 성장
②저혈당이나 고혈당으로 인한 증상의 감소
③장기적 합병증의 감소
방법 : ①인슐린주사
②식이요법
③효과적인 운동
당뇨병 치료의 세심한 주의로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후 10-20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 이환율과 치명율도 줄었다.
당뇨병 치료의 자극이 됐던 것은 1993년에 보고된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이다. DCCT는 혈당을 near normal range로 유지하려는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사용한다면 미세혈관 합병증과 신경병적 합병증의 빈도와 강도를 낮출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되었다. 29개 임상 센터에서 제 1형 당뇨병을 가진 14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들 중 13-17세 연령의 환아가 14%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평균 6.5년 동안 무작위로 추출하여 적극적인 치료 방법(다회 인슐린주입이나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과 고식적 치료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적극적으로 치료한 쪽이 고식적인 치료를 받은 쪽과 비교하여 평균혈당과 당화혈색소치가 훨씬 낮았다. 합병증도 상당한 감소를 보여 망막증의 76%, microalbuminuria는 39%, 신경병증은 60%의 감소를 보였다. 아울러 이미 가지고 있는 합병증도 더 서서히 진행하게 되었다. 망막증으로의 진행이 54%에서 서서히 진행하였고 증식성 망막증은 47%, 알부민뇨는 54%가 진행이 느려졌다.
적극적인 치료를 받은 어른과 청소년에서 심한 저혈당의 위험은 3배나 더 높다. 당화혈색소치가 1% 감소하면 장기적 합병증은 40%가 감소하나 저혈당의 위험은 20% 증가한다. 어린아이는 심한 저혈당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어린이는 DCCT의 평가에서 제외되었고 당뇨병이 있는 너무 어린아이에게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쓰는 것은 저혈당의 위험이 너무 커서 권장되지 않고 있다.
추천자료
[공중보건학]당뇨병/당뇨병의 원인/당뇨병의 진단과 검사/당뇨병의 종류/당뇨병의 증상/당뇨...
간호학, 당뇨병문헌고찰연구사례,당뇨병, 당뇨병케이스,당뇨병케이스스터디,당뇨,DM
당뇨병 환자 및 당뇨 관련 교육자를 위한 PPT (당뇨 길라잡이, 당뇨병! 바로 알고 이겨내자!)
당뇨, 당뇨병(당뇨병이란?,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증상, 당뇨의 치료 방법, 한의학 치료, ...
당뇨병 식이요법(당뇨병증상, 당뇨환자식이원칙, 당뇨병식사요법, 당뇨환자식단, 요리만들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당뇨병증상, 당뇨환자식이요법, 당뇨병식이치료, 당뇨환자금지식품,...
[아동간호학 실습 (PED)]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 Diabetic ketoacidosis) dka, 당뇨병, dm...
[당뇨병 치료] 당뇨병의 관리 - 당뇨병 식이요법(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당뇨병의 운동요법] 당뇨환자의 운동효과, 당뇨병과 운동의 적용, 운동요법의 종류, 운동계...
[당뇨병] 당뇨병의 병리, 당뇨병의 원인(요인) - 당뇨병이 생기는 이유
[당뇨병] 당뇨병의 개념(정의)과 역사, 당뇨병의 원인(발병인자, 당뇨병요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 당뇨병의 정의 및 종류(진성당뇨병, 손상된 당내성, 임신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당뇨병 치료방법 - 당뇨병 약물요법(경구혈당강하제, 인슐린요법), ...
당뇨환자를 위한 식사요법 - 당뇨병 정의, 당뇨병 원인,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당뇨병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