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숙을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숙을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풍자적 어법

2.형식과 의식

3.조카의 존재

4. 새로운 형식

5.일제치하의 운명론에 대하여

본문내용

'경제학'이 동질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언어가 이렇게 혼란스런 사회에서 살아가는 삶은 세상을 허무주의적(虛無主義的)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다. 허무주의는 개인의 능력이나 힘을 전체에 의탁하고 전체의 움직임과 흐름에 자신의 모든 것을 위임하는 소외의 한 양상이다. 주체가 자신의 의지를 대상에 투여하고 그것을 다시 받아들이면서 대화상황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대상에 위임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사람이란 건 제아무리 날구 뛰어도 이 세상에 형적 없이 그러나 세차게 주욱 흘러가는 힘, 그게 말하자면 세상물정이겠는데 결국 그것의 지배 하에서 그것을 딸어가지 별수가 없는 거다.
네?
쉽게 말하면 계획이나 기회를 아무리 억지루 만들어 놓아도 결과가 뜻대루는 안된단 말이다.
계획을 아무리 잘 해도 뜻대로 안된다 는 인식은 결국 허무주의적인 세계인식으로 기울게 마련이다. 이러한 허무주의적인 세계인식이 언어의 차원에 나타날 대는 의미가 전도되고 말하는 사람의 자격이 가차없이 마구 혼란되는 것이다. 이처럼 소설 언어의 양상이 작중인물의 사회에 대한 의식을 보여주는 소설적 장치가 된다. 그러나 사회에 대한 의식이 단지 사회적인 상황의 반영으로 보고 그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머문다면 그것은 소설언어의 성격을 밝히는 데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소설의 언어는 말하는 주체가 어떻게 상황에 대응하고 거기서 어떤 의미를 발견하며 독자는 어떠한 의미를 읽어내는가 하는 기호론적인 실천의 양상이기 때문이다.
채만식의 치숙은 1938년 동아일보에 실린 작품으로, 일제 강점하에 사회주의 활동을 한 아저씨를 풍자적으로 희화화(戱畵化)하면서 체제에 순응하여 일본인이 되고자 하는 어린 조카의 독백으로 된 소설이다. 여기서 치숙(痴叔)이란 '어리석은 아저씨'라는 뜻이다.
30년대 이후 구체적 현실문제를 통한 사회의식을 보여주는데, 첫째는 실직 인텔리들의 고
뇌와 궁핍한 삶의 실상, 농민들의 모순된 농촌 사회구조와 경제적 수탈로 인한 궁핍상이다.
그의 문학은 비판정신에서 출발한다. 직접적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식민지 사회에서 당
대의 부정적 사회현실에 대한 우회적 비판의 방법으로 취한 것이 풍자이다. 풍자는 반
어(Irony)와 어울려서 그 정도를 심화시킨다. 이 반어는 언제나 부정적 인물을 소설의 전
면에 내세우고, 긍정적 인물을 후편에 두고 희화화하는데서 얻어진다. 치숙 또한 같은 방법
으로 나와 내가 바라보는 아저씨로 그리고 있다.

키워드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19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