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 구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 구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본론
제1장 문제의 근원
제2장 사상적 지류들
제3장 홍수 가운데서
제4장 침체된 논쟁

본문내용

주장하는 타락 전 예정설주의자들이었다. 그들은 영원한 칭의를 가르쳤다. 또한 그들은 인간의 위험을 이야기하며, 그들이 멸망으로 인도하는 확실한 길을 가고 있음을 확신시키는 데 만족하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고 요구하지는 않았다. 또한 하나님과 화해하도록 간청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하나님의 사역을 간섭할 것을 크게 두려워하며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명하신 것의 이행을 게을리하였다.\"
복음적 정신을 소유했던 침례교도들 가운데 먼저 1718년부터 1763년까지 바놀즈윅(Barnoldswick)의 목사였던 앨버리 잭슨(Alvery Jackson)을 살펴보면 그는 「그리스도를 믿는 구원의 믿음이 복음 게시 아래 사는 모든 이들의 도덕법이 요구하는 의무인지 아닌지에 대한 답변」에서 설교자들은 그리스도를 누구에게나 차별을 두지 말고 전해야만 하며, 청중들은 그리스도를 받아들여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감리교의 앤드류 풀러(Andrew Fuller, 1754-1815)는 질주의(Gillism)아래서 가르침을 받아 왔는데, 점차 아브라함 테일러(Abraham Taylor)와 존 마틴(John Martin)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는 전자에게서는 복음의 자유로운 제공을 받아들였고, 후자에게서는 복음을 듣는 청중들이 그리스도께 가까이 나아가는 것을 그들의 의무라는 것을 받아들였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저서들을 통해 풀러는 다음의 사실들을 확신하게 되었다. 1)믿음은 그리스도께 집착하는 것이다. 2)믿음의 내적인 근거는 부수적인 것이다. 3)그리스도의 의는 실제적이 아니라 상징적으로 신자에게 전가된다 등이다. 풀러는 소시니안주의와 알미니안주의를 단호히 배격하였고 선택의 교리를 지지하였으며, 유기론은 \"죄인이라는 확실한 경우에 한하여 죄를 벌하시기로 작정한 하나님의 결정\"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회심의 필수 조건으로서 성령에 의한 중생을 주장하였으며, 성도의 견인의 교리를 옹호하였다. 풀러는 만인구원설에 반대한 자였다. 그리고 스스로를 칼빈주의자라고 하였다.
제 4 장 침체된 논쟁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의 논쟁은 19세기가 되면서 줄어들게 된다. 이때까지의 논쟁에 대해 이 책에서 결론을 찾는다면 개혁자 제롬 잔키우스(Jerome Zanchius, 1516-1590)의 글을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회심과 구원은 그 문제의 특성상 우리 인간들에 의해서만 이뤄지든가, 아니면 우리들과 하나님이 함께 협력함의 결과로 이뤄지든가, 또 아니면 오직 하나님 한 분만에 의해서 이루어 져야만 한다. 펠라기안주의자들은 첫 번째에 해당하였고, 알미니안주의자들은 두 번째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마지막 가정만이 성령과 이성과 경험의 강력한 증거 위에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마지막 가정은 가장 효과적으로 인간의 교만을 감추어 버리며, 끊인없는 찬양의 면류관을 만유 가운데 역사하시는 영광의 삼위일체 하나님께 돌리거나 또는 그 발 아래에 드린다.\"
이 글을 마치며 저자는 랍비 던컨의 말로 마치고 있다. \"하나님께서 전부 역사하시고 인간도 전부 노력한다는 것이 진리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0.20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