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간도(北間島)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지은이

2.줄거리

3.주제

4.구성

5.시점

6.등장 인물과 인물의 묘사방법

7.배경

8.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이장손 - 이창윤 - 이정수 가계에 중점을 둔 민족주의적 측면을 그리려고 의도하였으나, 실상은 장사꾼인 장치덕 - 장현도 가계 를 가장 합당한 모델로 그리고 만 것이다.
셋째, <북간도>를 지배하고 있는 '삶의 방식'에 제도적 장치로서의 학교가 놓여 있다. 학교(교사)란 근대적 '삶의 방식' 에 관련된 가장 원초적인 제도적 장치(체계)의 논증이다. 작가 안수길은 학교(교사)를 오직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한 방편으로 설 치했지만 작가의 이러한 의도는 빗나가고 있다. 학교라는 제도적 장치는 어떤 이데올로기보다도 강력한 것이다.
<북간도>가 위대한 가치를 지닌 작품이라는 점에서는 평가가 일치하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는 상반된 두 가지 견해가 존재 한다. 민족의 주체성이라는 이데올로기의 측면을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북간도>의 가치가 그것에 있다고 보고 주체성의 완 벽한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조금 문제가 있지 않은가라고 본다. 그러나 근대문학, 근대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안수길의 <북간 도>를 우리 근대문학에 있어서 리얼리즘이 거둔 위대한 승리로 평가하고 있다. 전자에서 문제시했던 주체성의 문제가 후자의 경우에 오히려 리얼리즘의 표지(標識)로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0.23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