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지은이
2.줄거리
3.주제
4.등장인물과 인물의 묘사 방법
5.배경
6.문학적 평가
2.줄거리
3.주제
4.등장인물과 인물의 묘사 방법
5.배경
6.문학적 평가
본문내용
한국 현대 소설의 주류가 풍속이나 개인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그것을 전통처럼 여겨 왔던 때에 비해서, 이 작품은 神 또 는 진리, 양심, 신념 등 관념적 주제를 설정하고 있어서 우리 시대의 소설 문학에 있어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관념을 주 제로 삼을 경우에는 위험이 따른다. 주제의 깊이를 더해 줄 소재의 해석이 피상적인 흉내내기에 그치게 되면 공허한 독백으로 끝 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비도'에서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측면이기도 하다. 곧 종교를 둘러싼 개인의 내면적 갈등이 얼마만큼 치열하게 전개되느냐에 이러한 관념적 소설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제가 발단 부분에 이미 제시되어 있다. 독자들은 이 작품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소설에서와 같은 박진감이나 긴장 을 느끼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평탄한 구조는 인물의 유형에서도 확인될 수 있고, 또 사건도 예정된 흐름을 따르고 있을 뿐이다 . 주인공 바비도는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 인물이므로 갈등을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반동 인물인 사교나 태자의 경우에 잠시나 마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이 제시될 뿐이다. 줄거리를 검토해 보면 이와 같이 주객이 전도된 부분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이 종교라는 문제를 역사적인 특정 상황을 소재로 하여 다루고자 하는 의도와 무관하지 않다. 역사에 충실할수록 인물 변화의 폭은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 작품이 지니는 의의는 갈등의 구조라고 정의되는 소설의 일반적인 도식에 있다기보다는 우리 소설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주 제 의식에 제시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작품의 주제가 발단 부분에 이미 제시되어 있다. 독자들은 이 작품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소설에서와 같은 박진감이나 긴장 을 느끼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평탄한 구조는 인물의 유형에서도 확인될 수 있고, 또 사건도 예정된 흐름을 따르고 있을 뿐이다 . 주인공 바비도는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 인물이므로 갈등을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반동 인물인 사교나 태자의 경우에 잠시나 마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이 제시될 뿐이다. 줄거리를 검토해 보면 이와 같이 주객이 전도된 부분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이 종교라는 문제를 역사적인 특정 상황을 소재로 하여 다루고자 하는 의도와 무관하지 않다. 역사에 충실할수록 인물 변화의 폭은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 작품이 지니는 의의는 갈등의 구조라고 정의되는 소설의 일반적인 도식에 있다기보다는 우리 소설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주 제 의식에 제시에 있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