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시의 민주주의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1.배경
<그람시와 이탈리아의 상황>

1-2.그람시의 헤게모니 전략의 기초

1-3.부르주아 민주주의를 넘어서는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 발현

2-1.이행 전략/ 과정-안과 밖에서 대립하는 것들

2-2 그람시의 세 얼굴

본문내용

것임을 확신하게 된다. 1919~1920 년 사이의 평의회 기간 동안 그람시는 이러한 일반적인 대중 민주주의적 충동들에 구체적이고 제도적인 함의를 부여할 수 있는 사회적 변형의 개념을 발전시키려 하였다. 즉, 평등하고 비관료적인 사회와 권위관계들의 영역을 점차 확대해 나감으로서 새로운 공산주의 사회를 예시할 수 있는 대중투쟁의 유기적 과정이었다. 『옥중수고』에서 그람시는 이러한 평의회적 테마에서 멀어지는 듯하나 여전히 민주주의적 입장에 뿌리를 두고 있다.
2) 레닌주의
그람시는 레닌과 볼세비키 혁명에 열광적인 찬동을 나타냈었었다. 그래서 그람시를 전통적인 레닌주의자로 보는 이들이 1950년대에 있었다. 하지만 그람시의 레닌주의에는 많은 균열과 긴장들이 있으며, 더욱 중요하게는 레닌주의에 대해 그람시는 ‘마르크스-레닌주의’라고 나중에 명명한 것으로 보아서 그람시가 단순한 레닌주의자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람시는 레닌주의가 경제주의에 대한 비판을 의미한다고 보았고,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정치적 요소를 복원시키려 했던 그람시의 열망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람시의 입장에서 레닌은 새로운 변혁적 종합에 대한 요청에서 확실히 실증주의와 경제주의의 정식을 거부한 것이었다.
3) 서구 마르크스주의
1915년과 1919년 사이의 그의 논문들은 그 중심적 테마들 즉, ‘윤리.정치적’인 크로체적 관심사와 라브리올라로부터 추출된 비결정론적 역사관, 그리고 이 양자로부터 받아들여진 실증주의 및 경제주의에 대한 비판 등을 접합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서 그람시는 사회주의적 변혁의 기반으로서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프롤레타리아 문화라는 개념을 추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들은 서구 마르크스주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그람시의 국가/시민사회 관계에 대한 정식화는 이전에 전통적 마르크스 주의에서는 봉쇄되었던 새로운 이론적 탐색과 정치적 행동의 영역을 열어놓았다.
4) 맺음말
그람시의 전체 이론의 세 가지 중요한 전통들의 상대적 무게를 평가할 방법은 없지만 두가지 유용한 일반화가 가능하다. 첫째는 각 조류들은 그람시의 성숙한 저작에 걸쳐 있는 서로 다른 계기들에서 강조되면서 때때로 불안정하거나 상충적인 관계에 있는 다른 조류들과 병존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그람시를 보다 이론적인 견지에서 보면 사회주의로의 비관료주의적이고 비국가주의적인 이행에 조응하는 새로운 종류의 정치적 담론을 위한 투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