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통일 전의 신라 고 분양식으로서는 돌무지덧널무덤·독무덤·돌방무덤 등이 있다. 또 경주 황남동(皇南 洞) 천마총에서 나온 천마도와 여러 고분에서 나온 출토품들은 매우 세련된 솜씨를 보여주고 있어, 신라미술의 높은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예술 작품은 석굴암과 불국사이다. 석굴암은 그 안에 본존불상을 중심으로 보살상·나한 상·인왕상 등을 배치하여 불교세계의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불국사는 토함산을 배경으로 하여 앞쪽에는 청운교·백운교 등의 돌층계와 범영루 등이 있다.
<종교> 신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5세기초 눌지마립간 때, 고구려로부터 전 해졌으나 당국의 박해로 전파되지 못하다가, 521년 중국 양(梁)나라 무제가 승려 원 표(元表)를 보냄으로써 정식으로 진해졌다. 그러나 법흥왕 때 귀족의 강력한 반대에 부닥쳐 전파에 실패하였고, 이차돈(異次頓)이 순교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불교 가 공인된 것은 527년(법홍왕 14)이었다. 신라의 불교는 고구려를 거쳐 들어온 북방 계통과 공인 뒤에 양·진(陳) 등을 통하여 교류된 남방계통의 불교가 비교적 빨리 합류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약 100년간은 백제·일본 등지의 불교와 같이 왕법 적(王法的) 색채가 강한 것이 특색이었다. 구법사상(求法史上) 한 시기를 그은 원 광(圓光)을 비롯하여 자장(慈藏)은 636년(선덕왕 5) 당나라에 들어가 율종(律宗)을 들여왔다. 원효(元曉)는 경론(經論)을 해석한 책 81부를 지었고 해동종(海東宗;淨土 敎)을 열어 민중불교를 일으켰으며, 의상(義湘)은 해동화엄종(海東華嚴宗)의 창시자 가 되었다. 그 밖에 유식론(唯識論)에 원측(圓測)·경홍(憬興)·도증(道證)·대현( 大賢), 화엄종에 승전(勝詮), 율종에 진표(眞表) 등이 나타나 불교의 전성기를 이루 었다. 신라 말기에는 선종(禪宗)이 성행하였는데 신라의 선종은 7세기 전반에 법랑 (法郎)이 처음 전한 것으로, 이를 이어 8세기 후반에는 신행(神行)·도의(道義) 등이 북종선(北宗禪)과 남종선(南宗禪)을 차례로 들여왔다. 이로 말미암아 교외별전(敎 外別傳)인 선(禪)의 신앙이 차차 일어나기 시작하여 마침내 9산(山)이 성립, 5교(敎 )와 대립해서 발전하게 되었다. 도교에 관해서는 문헌이 없이 자세히 알 수는 없으 나 도가(道家) 내지 신선(神仙)사상의 영향은 화랑도에서 추측할 수 있는데 신라 통 일 뒤 태평시대에는 도교의 영향도 컸으리라 생각된다.
<종교> 신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5세기초 눌지마립간 때, 고구려로부터 전 해졌으나 당국의 박해로 전파되지 못하다가, 521년 중국 양(梁)나라 무제가 승려 원 표(元表)를 보냄으로써 정식으로 진해졌다. 그러나 법흥왕 때 귀족의 강력한 반대에 부닥쳐 전파에 실패하였고, 이차돈(異次頓)이 순교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불교 가 공인된 것은 527년(법홍왕 14)이었다. 신라의 불교는 고구려를 거쳐 들어온 북방 계통과 공인 뒤에 양·진(陳) 등을 통하여 교류된 남방계통의 불교가 비교적 빨리 합류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약 100년간은 백제·일본 등지의 불교와 같이 왕법 적(王法的) 색채가 강한 것이 특색이었다. 구법사상(求法史上) 한 시기를 그은 원 광(圓光)을 비롯하여 자장(慈藏)은 636년(선덕왕 5) 당나라에 들어가 율종(律宗)을 들여왔다. 원효(元曉)는 경론(經論)을 해석한 책 81부를 지었고 해동종(海東宗;淨土 敎)을 열어 민중불교를 일으켰으며, 의상(義湘)은 해동화엄종(海東華嚴宗)의 창시자 가 되었다. 그 밖에 유식론(唯識論)에 원측(圓測)·경홍(憬興)·도증(道證)·대현( 大賢), 화엄종에 승전(勝詮), 율종에 진표(眞表) 등이 나타나 불교의 전성기를 이루 었다. 신라 말기에는 선종(禪宗)이 성행하였는데 신라의 선종은 7세기 전반에 법랑 (法郎)이 처음 전한 것으로, 이를 이어 8세기 후반에는 신행(神行)·도의(道義) 등이 북종선(北宗禪)과 남종선(南宗禪)을 차례로 들여왔다. 이로 말미암아 교외별전(敎 外別傳)인 선(禪)의 신앙이 차차 일어나기 시작하여 마침내 9산(山)이 성립, 5교(敎 )와 대립해서 발전하게 되었다. 도교에 관해서는 문헌이 없이 자세히 알 수는 없으 나 도가(道家) 내지 신선(神仙)사상의 영향은 화랑도에서 추측할 수 있는데 신라 통 일 뒤 태평시대에는 도교의 영향도 컸으리라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라의 미술 및 문화
신라의 문화
[포르투갈][포르투갈 문화][포르투갈 역사][포르투갈 문학][포르투갈 예술][관광지][제로니무...
[케냐][케냐의 역사][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케냐의 볼거리][케냐의 정치][케냐의 경제][케냐...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역사, 인도네시아의 경제, 인도네시아의 문화와 경제, 인도네시아...
굿거리로 연주하는 베토벤 Symphony No.5 - 한국 전통음악의 역사, 문화 접변, 양상, 분석, ...
[일상생활사] 차와 커피의 역사 - 차의 어원과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사 및 고려시대와 조선시...
대중가요 의의(역사,사회문화,예술),대주가요의 시대별특징,아이돌 걸그룹,10대 가수,브랜드...
[한국문화사] 차의 개요와 차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사 및 조선시대 차문화가 쇠퇴한 까닭
음식문화사_김치의 어원, 김치의 역사, 고추의 역사, 젓갈의 역사
[한국문화사] 의복의 역사(개항 ~ 현재) - 개항 후, 일제 시대, 해방 후, 박정희 정권시대, ...
문화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인류학의 내용과 과제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전통의 창출과 민족주의
[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