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가족 제도의 대안
여성주체성 찾기
종교적 비판
3.결론
2.본론
가족 제도의 대안
여성주체성 찾기
종교적 비판
3.결론
본문내용
간은 종교에 의해 형성된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게 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사회 지배층은 종교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배를 정당화하려고 했다. 또한 종교를 통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려고 했다. 특히 기독교에 있어서 남성 중심적이고 자유를 억압하였다는 지적이 많은 데 영화는 곳곳에서 기독교의 위선적인 모습을 보임으로써 기독교를 간접적으로 비판한다. 그럼 그 비판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첫째 종교는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 사회를 정당화하였다. 영화에서 여성을 비하하고 남성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신부의 설교를 통해 교회에서 남성중심적 사고가 팽배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설교에 대해 안토니아는 교회문을 열고 나가고 나중에 신부의 위선을 약점으로 잡아 이용함으로써 신부가 여성에게 유리한 설교를 하게 한다. 즉 영화는 종교가 경건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위선적이고 남성만을 위한 종교였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영화는 남녀 불평등에 있어서 피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고칠 때만이 여성이 평등하게 살 수 있음을 제시한다.
둘째 종교로 인해 사람들은 서로 반목하고 갈등해왔다. 영화는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가 살아 있을 때는 반목하다가 죽음으로만 화해할 수 있었던 점에 대해서 종교가 그 이유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즉 종교로 인해 인간들이 서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적 가치관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반목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화는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의 거리는 우리와 달까지의 거리만큼이나 멀 것"이라는 안토니아의 말을 통해 다른 종교적 가치관의 심각성에 대해서 비판한다.
셋째 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해왔다. 신부가 신부복을 벗어던지고 자유를 외치는 장면에서 영화는 종교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해왔다고 비판한다. 신부는 신부라는 이유로 삶에 제한을 받게 되고 고통을 느끼며 살았을 것이다. 즉 종교가 인간을 죄악에서 구원하기보다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로 변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는 그 해결책으로 종교를 버리고 자유를 좇는 것을 제시함으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더 인간적이고 자연적임을 말한다.
이 영화는 종교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비판하면서 종교의 역기능(갈등 조장, 자유억압)에 대해서 다루었다. 과거 이런 종교의 잘못된 점에 대해서 숨기고 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영화는 이러한 잘못된 점을 바로 잡을 때에 여성이 평등하게 살고, 인간이 자유롭게 살 수 있음을 말한다.
Ⅲ. 토론 생략
ⅣⅣ
Ⅳ 후기
이 영화는 이제까지 보아온 영화와는 많은 면에서 다른 느낌이었다. 회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이기 때문인지 몰라도 가족이나 결혼에 대한 일방적인 생각들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안토니아스 라인'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을 유쾌하게,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나간다. 어느 누구도 억압하거나 억압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꾸려나갈 수 있으며, 상대방의 삶과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기 위한 노력이 바로 이 영화에 다 녹아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 들어 페미니즘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페미니즘 영화, 혹은 여성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너무 무겁게 영화를 끌고 가거나, 단순한 문제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그보다 여성 영화 자체의 수가 너무 적은 것 같다. 하지만 '안토니아스 라인'은 결코 페미니즘적으로 치우쳐서 여성상위를 그리거나 무게감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사회를 '안토니아스 라인'은 그려내고 있었다. 이런 영화에서 같은 평등집단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s
첫째 종교는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 사회를 정당화하였다. 영화에서 여성을 비하하고 남성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신부의 설교를 통해 교회에서 남성중심적 사고가 팽배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설교에 대해 안토니아는 교회문을 열고 나가고 나중에 신부의 위선을 약점으로 잡아 이용함으로써 신부가 여성에게 유리한 설교를 하게 한다. 즉 영화는 종교가 경건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위선적이고 남성만을 위한 종교였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영화는 남녀 불평등에 있어서 피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고칠 때만이 여성이 평등하게 살 수 있음을 제시한다.
둘째 종교로 인해 사람들은 서로 반목하고 갈등해왔다. 영화는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가 살아 있을 때는 반목하다가 죽음으로만 화해할 수 있었던 점에 대해서 종교가 그 이유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즉 종교로 인해 인간들이 서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적 가치관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반목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화는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의 거리는 우리와 달까지의 거리만큼이나 멀 것"이라는 안토니아의 말을 통해 다른 종교적 가치관의 심각성에 대해서 비판한다.
셋째 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해왔다. 신부가 신부복을 벗어던지고 자유를 외치는 장면에서 영화는 종교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해왔다고 비판한다. 신부는 신부라는 이유로 삶에 제한을 받게 되고 고통을 느끼며 살았을 것이다. 즉 종교가 인간을 죄악에서 구원하기보다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로 변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는 그 해결책으로 종교를 버리고 자유를 좇는 것을 제시함으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더 인간적이고 자연적임을 말한다.
이 영화는 종교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비판하면서 종교의 역기능(갈등 조장, 자유억압)에 대해서 다루었다. 과거 이런 종교의 잘못된 점에 대해서 숨기고 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영화는 이러한 잘못된 점을 바로 잡을 때에 여성이 평등하게 살고, 인간이 자유롭게 살 수 있음을 말한다.
Ⅲ. 토론 생략
ⅣⅣ
Ⅳ 후기
이 영화는 이제까지 보아온 영화와는 많은 면에서 다른 느낌이었다. 회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이기 때문인지 몰라도 가족이나 결혼에 대한 일방적인 생각들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안토니아스 라인'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을 유쾌하게,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나간다. 어느 누구도 억압하거나 억압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꾸려나갈 수 있으며, 상대방의 삶과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기 위한 노력이 바로 이 영화에 다 녹아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 들어 페미니즘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페미니즘 영화, 혹은 여성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너무 무겁게 영화를 끌고 가거나, 단순한 문제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그보다 여성 영화 자체의 수가 너무 적은 것 같다. 하지만 '안토니아스 라인'은 결코 페미니즘적으로 치우쳐서 여성상위를 그리거나 무게감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사회를 '안토니아스 라인'은 그려내고 있었다. 이런 영화에서 같은 평등집단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s
추천자료
모던타임즈
미녀는 괴로워 영화평
성형수술을 다룬 영화 미녀는 괴로워 vs. 저스트 프렌드
영화 코치카터를 보고
[우수 평가 자료]부의 미래서평 - 나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보았는가?
중국영화
하이퍼포머 서평,- 주요내용과 느낀점을 중심으로.
[우수 평가 자료]지두력.-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유쾌한 이노베이션(THE ART OF INNOVATION) 독후감
요가를 접한 후 삶의 변화..
[독후감] 더 골(THE GOAL)을 읽고 _ 엘리 골드렛 저
[경영독후감] ‘천원짜리 콜라를 만원에 파는 방법’을 읽고 _ 나가이 다카히사(永井孝尙) 저
[직업윤리 독후감] 얀 마텔(Yann Martel)의 『파이 이야기(라이프 오브 파이 / Life of Pi)』
영화 『말레피센트 (Maleficent)』를 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