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 여음,후렴의 성격과 기능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가시리에 나타난 여음.후렴의 양상
Ⅱ-1. 나 
Ⅱ-2. 위
Ⅱ-3. 증즐가
Ⅱ-4. 대평성대
Ⅱ-5.「가시리」후렴구의 의미

Ⅲ. 결론

본문내용

분에 반복되는 구절을 따다가 붙여 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그 특징은 '나다'과 '위 증즐가 대평성대'로 지적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더욱 두드러 진다. 후렴구를 제외하면 '가시리/ 가시리/ 있고'의 3음보로 정리되며 마치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불리는 민요와 거의 일치한다고 하겠다.
이때, 여러 차례 붙어 있는 '나다'이라는 여음구와 2행 간격으로 행간에 나타나는 '위 증즐가 大平盛代'라는 후렴구는 궁중 연악의 속악 가사로 소용될 때 첨가 윤색된 개작 부분일 가능성이 크다.
김학성(1997),「속요란 무엇인가」,『고려가요·악장연구』국어국문학회편, 태학사, 16-17쪽.
이는 앞에서 살펴본 대평성대의 삽입 가능성과 같은 입장이라 하겠다. 중요한 것은 이 작품에서 '나다'과 '위 증즐가 大平盛代'를 제외하면 4행을 1연으로 하는 2연의 민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김학성은 후렴구의 경우 원전인 민요에 처음부터 존재했는지와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일지는 현재로서 알 길이 없지만, 있었다 하더라도 현전 후렴구처럼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양태는 아니었을 것
김학성, 위의 논문, 17쪽.
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고려가요「가시리」는 민간에 구전되던 민요로 사회적, 문화적 환경에 따라 그 변화가 불가피하였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 시작을 민요에서 찾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해도, 여음·후렴구와 전체 작품을 따로 보아서는 안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시용향악보』의 「가시리」악보를 보면, 절반 이상이 여음과 후렴구로 불려지고 있다. 여음과 후렴구를 제외하면 그것은 이미 고려가요가 아니다. 여음과 후렴구는 고려가요의 작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가시리에 나타난 여음과 후렴구를 살펴보고 그것의 성격과 기능을 알아보았다. 위에서 논의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다'은 의미 없이 쓰인 무의미 삽입어사로 보아야 하며. 뒤에 후렴구 '위 증즐가 大平盛代'라는 후렴구가 바로 따라 오므로 이를 조흥구로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위'는 단락의 내용과 의미를 요약 · 제시하는 기능을 하며, 때로는 다음 내용을 정서적으로 환기시키는 구실도 한다고 볼 수 있다. '증즐가'는 본디 역할은 조흥구로써의 기능이며, 그 속에 유의적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고 여겨지는데, 이는 악기의 구음에서 그 소리를 따왔다고 할 것이다. '大平盛代'는 고려가요가 민요에서 발생하여 유입되는 과정에서 임금의 무병장수와 나라 안의 태평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덧붙여진 후렴구로 보아야한다.
「가시리」는 그 후렴구를 제외하면 민요의 형식을 그대로 갖추고 있는데, 이는 「가시리」가 원래 민간에 구전되던 민요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후에 궁중가요로 유입되면서 여음과 후렴구가 붙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는 고려시대에 구전되던 고려가요가 조선시대 문자로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시간의 흐름과 사회 변화에 따른 개작이 불가피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고려가요가 다른 시가와 달리 두드러지게 갖는 특징은 다양한 여음과 후렴구의 등장이다. 이는 有意的 辭說에 뒤지지 않을 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고려가요「가시리」를 살펴봄에 있어서 '이별의 안타까움을 담은 辭說'에만 주의를 기울일 것이 아니라 음악적 성격을 증가시키는 여음과 후렴구도 살펴야 할 것이다. 이는 비단, 「가시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현재까지는 고려가요에 쓰이는 여음 · 후렴구 · 조흥구에 대한 개념 정의가 이루어지지 못해서 혼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개념 정의와 그에 따른 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강헌규(1972),「가시리 신석을 위한 어문학적 고찰」,『국어국문학』62·63, 국어국 문학회.
김사엽(1956),『국문학사』, 정음사.
김학성(1997),「속요란 무엇인가」,『고려가요·악장연구』국어국문학회편, 태학사.
박춘규(1979),「여대속요의 여음연구: 여음의 운율과 활용적 기능은 중심으로」, 『중앙대어문논집』14.
양주동(1955),『여요전주』, 을유문화사.
양태순(1989),「고려가요 조흥구의 연구」,『서원대논문집』24.
정병욱(1977),「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관악어문연구』제 2집.
정혜원(1992),「가시리 소고」,『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조해숙(1998),「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 · 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 상」,『전농어문연구』제 10집.
최용수(1993),『고려가요 연구』, 계명문화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0.2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