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신좌익운동의 개념과 배경
제 2절 신좌익운동의 이론적 근거
제 3절 신좌익운동의 표출양상
제 4절 신좌익운동의 급진성
제 5절 신좌익운동이 급히 쇠퇴한 이유
제 6절 맺는 말
제 2절 신좌익운동의 이론적 근거
제 3절 신좌익운동의 표출양상
제 4절 신좌익운동의 급진성
제 5절 신좌익운동이 급히 쇠퇴한 이유
제 6절 맺는 말
본문내용
본 속성을 불평등 교환, 또는 착취로 파악
하고 자본의 흐름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변국은 저발전의 악순환만 거듭
될 뿐이라는 주장이다. 둘째, 종속이론은 외자와 기술도입을 발전의 필수 요건으로 보는 확산 이론의 주장을 비판하고 중심국으로부터의 외자와 기술 도입이 저발전의 원인으로 상정한다.
발전 전략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발전 전략의 비도덕성 및 비현실성이다. 둘째, 발
전 전략의 실패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제3 세계가 국제자본주의 경제 질서와 관계를 끊고 자기 갱생의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은 오히려 자국의 발전을 저해할 뿐이다. 셋째. 발전 전략의 논리적 허구성과 모순성이다,
제5절 제국주의, 종속이론의 한국에의 적실성 문제
종속이론의 주대상이 된 라틴 아메리카와 우리나라와는 지정학적 위치나 정치, 경제 및 사
회 문화 여건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①라틴 아메리카는 풍부한 부존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강대국과 불평등 교
환아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라틴 아메리카의 경우 종속이론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나 우리나
라는 일제 식민통치 가간을 제외하면 선진국에게 착취를 당한 적이 없으므로 이와는 상황이
다르다.
②주변 국가가 자본주의적 세계 경제체제에 통합됨으로써 도는 선진자본국가와 밀접해짐으로써 저발전과 종속이 심화된다는 생각이다. 한국의 경우 1998년부터 IMF지도를 받게 된
것이나 북한의 경제 침체 원인들도 결국 세계 경제체제 통합에도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③현재의 우리나라의 상황이 그 현상을 분석함에 있어 종속이론의 틀, 그 중에서도 특히 마르크스와의 연관성이 큰 부분의 이론들을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종속이론이 신제국주의나 신식민주의와 분석시각을 같이 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수용 태도를 견지해야 함은 물론 종속이론가들의 중심개념인 주변-중심
관계, 착취, 불평등에 대한 이론적 재구성과 주체적 수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도 존재구속적인 시각에서 보는 지적시각이 필요하다 하겠다. 다만 종속 이론이 라틴 이메리카나 후진국들의 발전을 설명하는 이론적 준거로서의 유용성 지체를 부인하거나 종속 이론에 대한 학문적 준거 체를 금기시하는 편견은 사라져야 할 것이다. 또한 발전도상국가들은 종속 이론이 주는 경고를 겸허하게 분석하고 대응하여 종속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하고 자본의 흐름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변국은 저발전의 악순환만 거듭
될 뿐이라는 주장이다. 둘째, 종속이론은 외자와 기술도입을 발전의 필수 요건으로 보는 확산 이론의 주장을 비판하고 중심국으로부터의 외자와 기술 도입이 저발전의 원인으로 상정한다.
발전 전략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발전 전략의 비도덕성 및 비현실성이다. 둘째, 발
전 전략의 실패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제3 세계가 국제자본주의 경제 질서와 관계를 끊고 자기 갱생의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은 오히려 자국의 발전을 저해할 뿐이다. 셋째. 발전 전략의 논리적 허구성과 모순성이다,
제5절 제국주의, 종속이론의 한국에의 적실성 문제
종속이론의 주대상이 된 라틴 아메리카와 우리나라와는 지정학적 위치나 정치, 경제 및 사
회 문화 여건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①라틴 아메리카는 풍부한 부존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강대국과 불평등 교
환아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라틴 아메리카의 경우 종속이론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나 우리나
라는 일제 식민통치 가간을 제외하면 선진국에게 착취를 당한 적이 없으므로 이와는 상황이
다르다.
②주변 국가가 자본주의적 세계 경제체제에 통합됨으로써 도는 선진자본국가와 밀접해짐으로써 저발전과 종속이 심화된다는 생각이다. 한국의 경우 1998년부터 IMF지도를 받게 된
것이나 북한의 경제 침체 원인들도 결국 세계 경제체제 통합에도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③현재의 우리나라의 상황이 그 현상을 분석함에 있어 종속이론의 틀, 그 중에서도 특히 마르크스와의 연관성이 큰 부분의 이론들을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종속이론이 신제국주의나 신식민주의와 분석시각을 같이 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수용 태도를 견지해야 함은 물론 종속이론가들의 중심개념인 주변-중심
관계, 착취, 불평등에 대한 이론적 재구성과 주체적 수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도 존재구속적인 시각에서 보는 지적시각이 필요하다 하겠다. 다만 종속 이론이 라틴 이메리카나 후진국들의 발전을 설명하는 이론적 준거로서의 유용성 지체를 부인하거나 종속 이론에 대한 학문적 준거 체를 금기시하는 편견은 사라져야 할 것이다. 또한 발전도상국가들은 종속 이론이 주는 경고를 겸허하게 분석하고 대응하여 종속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