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국과 의화단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천국과 의화단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발생원인)
가.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배경
나. 의화단(義和團) 운동의 배경

2. 태평천국(太平天國)
가. 홍수전과 배상제회(拜上帝會)
▷ 홍수전
▷ 배상제회의 활동
▷ 태평천국의 이상
나. 태평천국의 전개
▷ 제 1기 ~ 제 4기
다. 태평천국의 실패와 그 원인
라. 태평천국의 역사적 의의

3. 의화단 운동 (義和團 運動)
가. 19c말 화북(華北)사회의 상황
나. 의화단의 형성과 발전
▷ 대도회(大刀會)와 의화권회(義和拳會)
▷ 의화단의 조직과 구호
▷ 의화단 운동의 발전에 따른 청정부의 대책
다. 신축조약(辛丑條約)과 의화단 운동의 의의
▷ 신축조약(辛丑條約)
▷ 의화단 운동의 실패 원인
▷ 의화단 운동의 의의
라. 의화단 운동에 대한 평가
▷ 혁명(革命)파와 개혁(改革)파의 평가
▷ 신문화운동(新文化運動)기의 평가
▷ 재평가

4. 맺음말

본문내용

너무 컸기 때문에 힘으로 대적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둘째, 의화단 운동은 “부청멸양”의 기치아래 제국주의 세력에 대해서는 크게 경계를 하였지만 청정부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발전하지 못하였고 결국엔 청정부에 이용당하고 말았다.
셋째, 의화단은 강력한 반제감정을 가지고 있었지만, 제국주의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제국주의 사이의 상호대립을 이해하거나 이용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넷째, 의화단의 구성원은 조직적인 기반을 갖고 있지 않았고 유민 실업자들이 주축이 되어 명확한 정치의식도 없어, 그들 사이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통일된 조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낙후된 종교 미신의 조직형식을 갖고 이를 정신적 지주로 삼아 일어난 운동이기 때문에 과학적인 혁명이 될 수 없었다.
끝으로, 청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없었던 점도 이 운동이 실패하게 된 원인의 하나였다.
(3) 의화단 운동의 의의
의화단 운동은 바로 중국 농민계급의 자발적 반제애국운동으로서,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그 의의는 대단히 컸다. 그것은 태평천국의 영광스런 혁명전통을 계승하였으며 또한 중국 민중의 강대한 역량과 영용(英勇) 투쟁의 정신을 표현하였다. 그것은 또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한 중국 민중의 결연한 반대의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며, 반제국주의 투쟁에 있어 농민이 필요불가결한 대군(大軍)이라는 것을 설명하여 준다.
그 최대의 공적은 중국의 처분을 둘러싸고 논의되고 있던 ‘보전론(保全論)’, ‘분할론(分割論)’을 파산시켰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제국주의는 중국 민중의 강대한 역량을 느꼈으며, 직접 통치의 어려움을 인식하게 되어 다시는 감히 중국을 분할하려 하지 않았다. 이처럼 제국주의 국가에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청조 정부에도 큰 타격을 입혀 청의 통치력을 크게 상실되게 만들었다. 또한 제국주의 국가들의 중국 침략은 중국인들을 크게 각성시켰고, 청조에 대한 실망이 고조되어 청정부에게 정치적 개혁을 요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청조에게 실망하고 혁명쪽으로 마음을 돌려 혁명 지지 세력이 확산되게 되었다.
라. 의화단운동에 대한 평가
(1) 혁명파와 개혁파의 평가
현재에서도 의화단운동에 대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중국에서 최초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자는 청말 혁명을 실천하던 혁명파들이었다. 그들은 의화단운동을 제국주의 침략 아래에서 외세에 대한 저항력이라고 평가하였다. 손문(孫文) 역시 의화단운동은 민중의 거대한 에너지라고 평가했었다.
그러나 변법파의 개량주의자들은 의화단운동에 대하여 시종일관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무지몽매한 폭도들의 경거망동한 행동이라고 설명하고 열강에게 중국을 분할시킨 구실만 제공해 주었을 뿐이라고 악평을 하였다.
변법파의 이 같은 평가가 나오는 이유는 의화단운동은 관료지식인에 의해 추천되는 운동과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들은 민중이 행동화한다는 것 자체에 분노를 표시하고 있었다. 국가적 문제는 민중에게 맡길 수 없다는 철저한 사대부의식이 강하게 흐르고 있는 모습이었다.
(2) 신문화 운동기의 평가
1910년대 신문화운동의 담당자들도 의화단운동을 그렇게 좋게는 평가하지 않는다. 그들은 서양이라는 가치척도를 가지고 중국의 구체제를 비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의화단에 의한 배외운동은 비근대적이라고 평가하고 있었다. 그들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이 어떠한 것인지 또는 민중을 극단적으로 배외운동을 하도록 몰고 간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은 제기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진독수는 의화단의 배외운동은 수치스러운 만행이라고까지 평가하였던 것이다.
(3) 재평가
의화단운동에 대한 재평가는 1920년대 중국혁명이 새롭게 진행되면서 민중의 힘이 중국혁명에 불가결한 존재라고 인식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진독수는 다시 자기의 의견을 수정하고 의화단운동을 중국민족혁명사 의 비장한 서막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후 의화단운동에 대한 평가는 한편으로는 역사 발전의 추세를 이해하지 못하고 과학적 혁명방법을 채택하지 못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정신에 있어서는 중국 농민들의 제국주의의 과도한 압박에 저항한 반제국주의의 민족운동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맺 음 말
태평천국 운동은 그 성격상 불명확한 점이 많으나 종래의 자연 발생적인 농민반란과는 몇가지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멸만흥한의 민족주의적 운동이란 점이고, 둘째, 비록 왜곡되기는 했어도 기독교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점이며, 셋째, 빈농층을 중심세력으로 농민을 결합하여 토지균분, 남녀평등 등을 내건 점 등 근대적 요소와 혁명적 의의를 정할 수 있는 점이고, 넷째, 태평군이 외국 세력을 배제하기 위해 상하이 조계를 공격한 것에서 反제국주의적 경향을 인정할 수 있는 점이다.
의화단 운동은 대다수 군중들의 자발적인 애국반제(愛國反帝) 운동이었다. 이 대규모의 반제 폭풍은 민족 모순이 격화된 결과로서 중화 민족이 외래 침략에 굴종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두드러진 표출이었다. 하지만 의화단은 통일된 조직적 지도가 결여되었고 체계있고 완전한 투쟁 강령이 없었고 오히려 우매하고 낙후된 많은 부정적인 면을 보여 주었다. ‘부청(扶淸)’이란 구호는 청 봉건주의에 대한 인식의 결여를 보여주었고, ‘멸양(滅洋)’이라는 구호 역시 격렬하지만 애매한 배외적 성격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결국 태평천국과 의화단 운동은 실패로 끝나게 되지만 다수 농민들에 의한 광범위한 투쟁은 근대 중국에 있어서 농민 혁명의 출발점이 되었고, 그들의 민족주의는 후에 쑨원(孫文)의 혁명사상에 영향을 주게 되고, 또한 서구 열강에 대한 강력한 대외저항은 중국의 완전 식민지화를 저지하는 요인이 되었다.
▶참고문헌◀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1994
천성림 譯, 『중국근대사』, 예전학술사상총서9, 1991
호리가와 데쯔오 著, 이양자 譯, 『중국근대사』, 삼지원, 1994
조시원, 풍흥성, 『중국근대사』, 청년사, 1990
차경애, 『의화단운동과 제국주의 열강』, 유영사, 1997
이은자, 『의화단운동 전후의 산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고지마 신지 著, 박원호 譯,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 1988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