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지식관의 변화와 지식사회학
1. 전통적인 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비교
2.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론과 지식사회학의 비교
제2절 지식사회학과 지식
1. 이해관심과 사회적 세계
2. `개념`의 차이:지식사회학적 해석
3.`이론`의 차이:지식사회학적 해석
4.`규범`의 차이: 지식사회학적 해석
제3절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1. 전통적 인식론과 교육과정관
2. 지식사회학과 교육과정의 사회학
제4절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분석 실례
1. 교육과정에 대한 애니언의 견해
2. 교과서 분석내용
3. 일본의 교과서 왜곡
4. 북한의 교과서
5. 교과서 분석의 의미
제5절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연구동향
1. 교육과정 사회학
2. 경제재생산론(학교의 교육과정이 자본주의 생산관계를 유지시켜주는데 공헌함)
3. 문화재생산론(학교가 지배집단의 문화자본을 재창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 수행)
4. 저항이론 : 탈재생산 논의
제 6절 평가 및 과제
1.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의 문제점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1. 전통적인 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비교
2.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론과 지식사회학의 비교
제2절 지식사회학과 지식
1. 이해관심과 사회적 세계
2. `개념`의 차이:지식사회학적 해석
3.`이론`의 차이:지식사회학적 해석
4.`규범`의 차이: 지식사회학적 해석
제3절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1. 전통적 인식론과 교육과정관
2. 지식사회학과 교육과정의 사회학
제4절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분석 실례
1. 교육과정에 대한 애니언의 견해
2. 교과서 분석내용
3. 일본의 교과서 왜곡
4. 북한의 교과서
5. 교과서 분석의 의미
제5절 교육과정의 사회학적 연구동향
1. 교육과정 사회학
2. 경제재생산론(학교의 교육과정이 자본주의 생산관계를 유지시켜주는데 공헌함)
3. 문화재생산론(학교가 지배집단의 문화자본을 재창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 수행)
4. 저항이론 : 탈재생산 논의
제 6절 평가 및 과제
1.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의 문제점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본문내용
론의 요지
- 학교는 지배집단의 문화를 전수함으로써, 그들의 문화를 재생산함. 문화재생산은 지배 집단을 계속 우월한 지위에 놓아둘 뿐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정당화함으로써 그들의 지 배를 합법화 하는 것.
6) 문화재생산론의 장점 : 교육과정을 사회구조와 연결,파악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속의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비판
단점 : 인간의 자율성 무시. 과잉사회화 모델을 따름.
능동성·현실성 결여
4. 저항이론 : 탈재생산 논의
1) 주어진 교육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들임을 부각시켜주려 함.
2) 저항이론에서의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의미를 파악·공유하며 자신들의 생활조건을 통 제하고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들임을 부각 시켜줌.
3) 경제적·정치적·법적 사회체제 속에 존재하는 학교가 받는 각종의 압력에 대항해 개 인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어떻게 저항 하는가를 보여주게 됨.
4) 저항 이론가들의 주장
- 교육과정을 지배당하고 지배하는 집단 속에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과정이라고 파악함.
-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고 보았으므로, 학교현 장을 사회의 반영물로 단순화 하지 않음.
5) 저항이 나타나는 이유 - 학생들이 하교생활이나 공부에서 현실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타남.
6) 저항의 종류
- 적극적 저항 : 부적절한 대답, 결석, 비합법적인 행동, 교사 놀리기, 불평하기 등.
- 소극적 저항 : 침묵,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불신하는 것 등.
7) 저항이론의 주요개념
- 인정 :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사나 학생과 일치된다거나 다른 대안이 없다고
느낄 때 발생하는 것.
- 협상 : 교사나 학생이 상황에 대한 통제력이 있어 힘을 행사할 여유가 있다고 느낄 때 취하는 행위.
- 저항 : 통제력과 협상의 여지가 보이지 않을 때 취하는 행위.
- 인정, 협상, 저항은 '헤게모니'로도 해석 가능.
- 헤게모니 : 일상생활과 사회의식 속에 깊이 스며있는 지배집단의 의미와 가치의
체계. 특정집단의 생생한 지배와 복종의 현장으로 헤게모니는 끊임없이 저항을 받으며 제한·변경되며, 완전하지 않으며(인정) 반헤게모니(저항) 와 대안적 헤게모니(협상)이 창출.
- 간파 : 학생들이 자신의 불평등한 현실을 알아 학교에 대해 실제로 반응을 발전시키 는 경우.
- 한계 : 충돌들이 문화적 형태의 내부에 있는 모순 이데올로기 등에 의해 사회변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8) 저항이론의 공헌
- 재생산이론이 완전하지 않으며 그 안에 반대의 요소를 내포한다는 것을 통찰해 냄.
- 계급과 문화가 복합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비판적 교육 학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 제시.
9) 약점 - 충돌들이 문화적 형태의 내부에 있는 모순, 이데올로기 등에 의해 사회변화 로 연결되지 못함.
제 6절 평가 및 과제
1.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의 문제점
1) 실증적 증거에 의한 설득력이 약하다.
2) 교육과정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봄으로써 학문의 존립기반이 흔들린다.
3) 수업현장에서 교사가 가르치는 방법상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1)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이 경직되고 획일적이다. - 중앙집권식 교욱과정이기 때문에 지역별, 학교별 특성이나 학부모, 학생의 겨육적 요구가 반영되지 못한다.
2)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이 실제로 지나치게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입시위주의 교 육.
3)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이 지니는 '가치평향성' - 사회가 다원화 되면서 동질적이고도 보 편적 가치의 영역이 점차 축소되었다. 따라서 보편성과 포용성을 지니는 교육과정의 가 치가 필요.
- 학교는 지배집단의 문화를 전수함으로써, 그들의 문화를 재생산함. 문화재생산은 지배 집단을 계속 우월한 지위에 놓아둘 뿐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정당화함으로써 그들의 지 배를 합법화 하는 것.
6) 문화재생산론의 장점 : 교육과정을 사회구조와 연결,파악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속의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비판
단점 : 인간의 자율성 무시. 과잉사회화 모델을 따름.
능동성·현실성 결여
4. 저항이론 : 탈재생산 논의
1) 주어진 교육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들임을 부각시켜주려 함.
2) 저항이론에서의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의미를 파악·공유하며 자신들의 생활조건을 통 제하고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들임을 부각 시켜줌.
3) 경제적·정치적·법적 사회체제 속에 존재하는 학교가 받는 각종의 압력에 대항해 개 인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어떻게 저항 하는가를 보여주게 됨.
4) 저항 이론가들의 주장
- 교육과정을 지배당하고 지배하는 집단 속에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과정이라고 파악함.
- 교육과정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고 보았으므로, 학교현 장을 사회의 반영물로 단순화 하지 않음.
5) 저항이 나타나는 이유 - 학생들이 하교생활이나 공부에서 현실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타남.
6) 저항의 종류
- 적극적 저항 : 부적절한 대답, 결석, 비합법적인 행동, 교사 놀리기, 불평하기 등.
- 소극적 저항 : 침묵,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불신하는 것 등.
7) 저항이론의 주요개념
- 인정 :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사나 학생과 일치된다거나 다른 대안이 없다고
느낄 때 발생하는 것.
- 협상 : 교사나 학생이 상황에 대한 통제력이 있어 힘을 행사할 여유가 있다고 느낄 때 취하는 행위.
- 저항 : 통제력과 협상의 여지가 보이지 않을 때 취하는 행위.
- 인정, 협상, 저항은 '헤게모니'로도 해석 가능.
- 헤게모니 : 일상생활과 사회의식 속에 깊이 스며있는 지배집단의 의미와 가치의
체계. 특정집단의 생생한 지배와 복종의 현장으로 헤게모니는 끊임없이 저항을 받으며 제한·변경되며, 완전하지 않으며(인정) 반헤게모니(저항) 와 대안적 헤게모니(협상)이 창출.
- 간파 : 학생들이 자신의 불평등한 현실을 알아 학교에 대해 실제로 반응을 발전시키 는 경우.
- 한계 : 충돌들이 문화적 형태의 내부에 있는 모순 이데올로기 등에 의해 사회변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8) 저항이론의 공헌
- 재생산이론이 완전하지 않으며 그 안에 반대의 요소를 내포한다는 것을 통찰해 냄.
- 계급과 문화가 복합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비판적 교육 학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 제시.
9) 약점 - 충돌들이 문화적 형태의 내부에 있는 모순, 이데올로기 등에 의해 사회변화 로 연결되지 못함.
제 6절 평가 및 과제
1.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의 문제점
1) 실증적 증거에 의한 설득력이 약하다.
2) 교육과정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봄으로써 학문의 존립기반이 흔들린다.
3) 수업현장에서 교사가 가르치는 방법상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1)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이 경직되고 획일적이다. - 중앙집권식 교욱과정이기 때문에 지역별, 학교별 특성이나 학부모, 학생의 겨육적 요구가 반영되지 못한다.
2)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이 실제로 지나치게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입시위주의 교 육.
3)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이 지니는 '가치평향성' - 사회가 다원화 되면서 동질적이고도 보 편적 가치의 영역이 점차 축소되었다. 따라서 보편성과 포용성을 지니는 교육과정의 가 치가 필요.
추천자료
[경영][기업경영][삼성코닝 지식경영 사례][삼원정공 경영전략 사례][소니(SONY)의 경영전략 ...
[과학적 연구][과학적 경영관리][과학적 지식][과학적 관리법][과학적 방법론][과학적 연구][...
[병원, 병원 조직, 병원업무, 병원 내외부환경, 지식경영, 의료사회사업, 병원 산별교섭]병원...
[경쟁력, 기업, 경제발전, 지식기반경제, 단기성과주의]경쟁력과 기업, 경쟁력과 경제발전, ...
[일본인, 일본인과 한국인, 일본인과 일본지식인, 일본인과 일본인지주, 일본인과 천황제, 한...
[국제규범, 국제규범 카르텔(기업연합), 국제규범 지식재산권제도, 국제규범 테러리즘, 국제...
[경영 시스템][경영][경영 지식관리시스템][경영 공정관리시스템][경영 정보관리시스템][경영...
[정보자원][정보][자원][공공부문정보자원][지식정보자원][인터넷정보자원][정보자원관리][정...
[기업관리][기업][마케팅][지식정보자원][인재][인사][보상]기업의 마케팅관리, 기업의 지식...
[생산][북한 상품 생산][일본 지식정보 생산][한국 농업 생산][독일 기업 생산][호주 산업 생...
[조직방식][조직][언어지식내용 조직방식][NGO 조직방식][공기업][춘천마임축제]언어지식내용...
[정보관리][정보기술리스크관리][지식정보자원관리][경영정보관리]정보기술리스크관리, 지식...
(프랑스 문화와 예술 C형) 프랑스에서의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역사적으로 살펴 기술하고, 한...
[기업 전략][기업 기술육성 전략][기업 신지식인육성 전략][기업 핵심인재육성 전략][기업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