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고전적 갈등론자들의 관점
III. 갈등론적 교육이론의 특성과 갈등론적 교육사회학자들
IV. 비판
II. 고전적 갈등론자들의 관점
III. 갈등론적 교육이론의 특성과 갈등론적 교육사회학자들
IV. 비판
본문내용
동적인 존재로 본것이다. 그들은 행위자들이 언제나 수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젊은이덜은 지배.복종의 사회적 관계에 적응해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서 인간은 자기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회가 인간을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여 너무나 사회화의 모델에 빠져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학교내외에 존재하는 계급문화나 노동계급의 역동성, 여성해방같은 복잡한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아 이런 문제에 대한 이론화가 부족하다. 따라서 그들은 기능이론과는 약간의 차이를 가지지만 기능이론이 가지는 사회화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3) 그들의 대응이론은 너무나 경제결정론적이어서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적 과정을 무시하여 교육의 결과와 사회적 위치와의 밀착된 관계만을 주시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간의 서로의 관계와 재생산 여부에는 소홀히 한 점이 지적될 수있다.
2. 문화재생산이론 비판
부르듀와 번스타인으로 대표되는 문화재생산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1) 문화재생산이론이 비판적안목에서 출발했지만 전통적인 사회화이론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인간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진다는 외부결정론적 관잠이며, 경제결정론과 마찬가지로 각 개인이 가정의 사회계급을 학교교육을 통해서 유지한다는 관점이며 학교에서 강제된 헤게모니에 대해서 도전하거나 저항하는 학생들의 역동적 측면을 무시하고 있다.
(2) 단지 그들이 재생산이라는 개념만으로 복합적인 학교교육을 설명하려 하여 문화형성과정에서 사회구성원의 주체적이며 자발적인 역할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약해졌다.
(3) 또한 권력과 지식과의 관계를 일방적인 관계로 인식하여 계급관계와 같은 구조적 특성이 일상적 경험을 통해 사회관계가 재구조화되는 과정이 무시되었다. 이러한 일방적인 관계 때문에 문화재생산이론은 의미있는 사회행동의 행위주체자의 역할이나 변화의 조건과 가능성, 그리고 세 수준별(사회구조, 문화전달, 의식형성)의 사회현상들 간에 보일 수 있는 갈등장면을 소홀히 취급했다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3. 지위집단이론 비판
지위집단이론은 학교교육의 팽창에 따른 학력상승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만 이 이론 또한 현상을 완전하게 설명하였다고 볼 수 없으며 하류계층 집단들이라 해서 반드시 그들의 자녀들이 높은 지위를 획득하기를 원한다고 볼 수 는 없을 것이며 높은 교육수준을 지닌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는 것은 인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여대생들도 직업을 목적으로 대학에 다니는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이를 설명해 줄 수 있다.
참고문헌
강순원(역), ぢ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っ, 교육과 사회구조, 서울;한울,1983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85
김억환, 신교육사회학 입문, 박영사, 1987
김용일,ぢ그람시의 혁명전략과 교육론っ, 한국교육문제연구회 월례발표회
발표논문,1986
박영신, 갈등의 사회학, 서울:까치, 1977
----- ,현대사회의 구조와 이론, 서울:일지사, 1979
이규환, 강순원(편).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서울:창작과 비평사, 1984
----- , 비판적 교육사회학, 한울, 1987
최정웅, 새로운 교육학, 서울;한긱사,1981
------, 교육사회학이론과 연구방법론, 문음사, 1990
Althusser,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Trans.Brewster,B.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71
Apple, Mochael W., Education and Power, london:Routledge and Kegen Paul, 1982
-----, Ideology and Curriculm, London:RKP, 1979
박부권, 이혜경 역, 교육과 이데올로기, 한길사, 1985
Bowles, Samuel, "Unequal Educa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y,
Vol.3, Fall, 1977
------, Samuel and Gintis, Herbert.,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Educational Reform and the Contradictions of Economic Life,
New York: Basic, 1976
Bottomore, Marxist Socilogy, Maxmillan :London, 1978
Collins, Randall, "Functional and Conflict theories of Educational
Strtific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6 December, 1971
Darendorf, Ralf,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59
Giddens, Cas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 Cambride Uni. Press. 1971
Hurn, Christopher J., The Limits and Possobilities of Schooling: An
Introduction to the sociology of Education, Allyn and Bacon, Inc. 1978
Karabel, J.& Halsey, A.H., "Introduction" in 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77
Turner, Jonathan H., The Structure of Sociological theory, Dorsey Press, 1974
김진균9역), 사회학이론의 구조, 한길사,1982
(3) 그들의 대응이론은 너무나 경제결정론적이어서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적 과정을 무시하여 교육의 결과와 사회적 위치와의 밀착된 관계만을 주시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간의 서로의 관계와 재생산 여부에는 소홀히 한 점이 지적될 수있다.
2. 문화재생산이론 비판
부르듀와 번스타인으로 대표되는 문화재생산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1) 문화재생산이론이 비판적안목에서 출발했지만 전통적인 사회화이론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인간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진다는 외부결정론적 관잠이며, 경제결정론과 마찬가지로 각 개인이 가정의 사회계급을 학교교육을 통해서 유지한다는 관점이며 학교에서 강제된 헤게모니에 대해서 도전하거나 저항하는 학생들의 역동적 측면을 무시하고 있다.
(2) 단지 그들이 재생산이라는 개념만으로 복합적인 학교교육을 설명하려 하여 문화형성과정에서 사회구성원의 주체적이며 자발적인 역할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약해졌다.
(3) 또한 권력과 지식과의 관계를 일방적인 관계로 인식하여 계급관계와 같은 구조적 특성이 일상적 경험을 통해 사회관계가 재구조화되는 과정이 무시되었다. 이러한 일방적인 관계 때문에 문화재생산이론은 의미있는 사회행동의 행위주체자의 역할이나 변화의 조건과 가능성, 그리고 세 수준별(사회구조, 문화전달, 의식형성)의 사회현상들 간에 보일 수 있는 갈등장면을 소홀히 취급했다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3. 지위집단이론 비판
지위집단이론은 학교교육의 팽창에 따른 학력상승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만 이 이론 또한 현상을 완전하게 설명하였다고 볼 수 없으며 하류계층 집단들이라 해서 반드시 그들의 자녀들이 높은 지위를 획득하기를 원한다고 볼 수 는 없을 것이며 높은 교육수준을 지닌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는 것은 인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여대생들도 직업을 목적으로 대학에 다니는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이를 설명해 줄 수 있다.
참고문헌
강순원(역), ぢ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っ, 교육과 사회구조, 서울;한울,1983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85
김억환, 신교육사회학 입문, 박영사, 1987
김용일,ぢ그람시의 혁명전략과 교육론っ, 한국교육문제연구회 월례발표회
발표논문,1986
박영신, 갈등의 사회학, 서울:까치, 1977
----- ,현대사회의 구조와 이론, 서울:일지사, 1979
이규환, 강순원(편).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서울:창작과 비평사, 1984
----- , 비판적 교육사회학, 한울, 1987
최정웅, 새로운 교육학, 서울;한긱사,1981
------, 교육사회학이론과 연구방법론, 문음사, 1990
Althusser,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Trans.Brewster,B.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71
Apple, Mochael W., Education and Power, london:Routledge and Kegen Paul, 1982
-----, Ideology and Curriculm, London:RKP, 1979
박부권, 이혜경 역, 교육과 이데올로기, 한길사, 1985
Bowles, Samuel, "Unequal Educa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y,
Vol.3, Fall, 1977
------, Samuel and Gintis, Herbert.,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Educational Reform and the Contradictions of Economic Life,
New York: Basic, 1976
Bottomore, Marxist Socilogy, Maxmillan :London, 1978
Collins, Randall, "Functional and Conflict theories of Educational
Strtific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6 December, 1971
Darendorf, Ralf,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59
Giddens, Cas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 Cambride Uni. Press. 1971
Hurn, Christopher J., The Limits and Possobilities of Schooling: An
Introduction to the sociology of Education, Allyn and Bacon, Inc. 1978
Karabel, J.& Halsey, A.H., "Introduction" in 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77
Turner, Jonathan H., The Structure of Sociological theory, Dorsey Press, 1974
김진균9역), 사회학이론의 구조, 한길사,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