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을 통해서 본 루소의 교육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밀』을 통해서 본 루소의 교육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에밀』에 나타난 교육론
(2) 『에밀』에 나타난 루소 교육사상의 한계점

3.결론

본문내용

하면서도 개인의 능력이나 진도 등을 맞추어서 개인화한 지도를 어떻게 하여야 효율적인가에 관심이 더 커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루소의 교육론은 이상적인 점이 긍정되면서도 현대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에밀』속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은 인간내면의 건전한 자발성을 교육의 중심으로 보고 발달과정에 개성을 존중한 점과 자유주의 교육을 주장한 점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개인과 인격을 혼동하고 개인교육에 주력한 나머지 사회교육면을 무시하고, 가정교육만 중시하여 학교교육을 경시한 점과 같은 단점도 지니고 있다.
Ⅲ. 결론
오늘날 우리의 교육은 호된 비판과 시련을 겪고 있다. 소위 참교이라는 물결이 우리 교육계를 뒤흔들고 있다. 조작적인 지식교육이 갖는 허구성을 배격하고 본성과 양심과 도덕성 회복을 위한 인간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때에 『에밀』은 교사는 물론, 장차 교사가 되고자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나아가 부모들도 한 번쯤은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견해로부터 교육에 있어서 개인, 즉 하나의 개체로서 필요한 것들은 자연과 사물을 통하여 배우게 되며 사회에 대해서는 인간을 통하여 배우게 된다. 이는 발달단게에 의하여 개인으로서 완성이 이루어 진 후에 사회적인 존재로 완성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과 사회가 대립되어 있거나 한 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더 우선되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육에 있어서 아동의 내적인 필요·욕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사회의 환경을 올바르게 제공해 줌으로서 이상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관심과 내면적인 필요가 교육의 출발점이 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현재 단계에서의 능력과 경험이 무시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발달단계는 바로 이 점에 관련하여 그 의미를 바르게 인식해야 하며 개인이 충분한 그 단계에서 성숙한 후 다음 단계로 이끌어 사회적인 존재로서 완성되어지는 것이다.
◎참고문헌
·Jean-Jacques Rousseau, 손현목 역, 『에밀』, 고려문학사, 1995.
·이원재 외, 『교육의 철학과 역사』, 문음사, 1997.
·장찬익·노진호,『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출판사,1998.
·아돌프 E. 마이어, 최정웅 역, 『20세기 교육의 사조』, 이문출판사, 1985.
·Jean-Jacques Rousseau, 권응호 역, 『에밀』, 홍신문화사, 198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0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