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 하는 굴
2. 논평
①루소의 교육 사상’ 평가
② ‘루소 교육 사상’의 한계점
③ 《에밀》의 시사점 (비판점)
④ 《에밀》에 대한 비판
⑤ 《에밀》이 교육 사상에 공헌한 점
3. 마치는 말
2. 논평
①루소의 교육 사상’ 평가
② ‘루소 교육 사상’의 한계점
③ 《에밀》의 시사점 (비판점)
④ 《에밀》에 대한 비판
⑤ 《에밀》이 교육 사상에 공헌한 점
3. 마치는 말
본문내용
기를 수 있는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것 같다. 피아노, 미술, 서예, 한자, 태권도, 영어, 논술과 같은 사교육에 휩쓸 려 정작 어린이답게 뛰어놀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심지어 영어 열풍에 의해 혀를 수술하기도 한다. 이는 인간이 자연적으로 받은 신체마저 교육을 위해 변화시키는 무서운 현실이다. 또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과는 참으로 상반된 것 이다. 이점에서 루소의 견해는 탁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를 돌아보자 어렸을 때는 무엇을 배웠는가.. 부모님께 배운 `엄마` 아빠`를 시작으로 한글을 익히고 어른이 되기 위한 과정으로 무수한 많은 것을 배웠다. 아직 모국어도 입에 익히지 못한 아이들을 영어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A B C를 강요당 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틀에 박혀서 주조해놓은 책을 가지고 우리는 외운다. 지금 대학에 와서도 정말 우리가 원하는 공부를 하는가? 학점에 얽매여서 취직에 얽매여서 우리는 정말 교육을 받고 있는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교육부는 이제 교육 인적 자원부로 바뀌었다. 그만큼 이제 교육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갔다는 증거이다. 이제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하 나의 도구로서의 교육인 것이다. 현실적으로 보면 수긍이 가지만 마음 한구석의 씁쓸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사람은 자원 이 되고 교육은 하나의 목적을 가진 수단이자 방법이 되어 버린 것이다. 교사에 대한 폭력과 많은 문제점들. 그것들은 아 마 이러한 교육의 변질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에밀』은 교육의 본질을 묻고 있다. 왜 교육을 하는가?? 지금처럼 인간을 자원으로 생각하고 그 수단이 된 것이 우리 가 정녕 원하던 교육인가?? 이 책이 출판된 연도는 1700년대이지만 마치 현대 교육의 모습을 비판하는 책 같다. IQ를 중심으로 한 아직도 내려오는 구식 교육이론이 아직도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콜버그의 다중지능이론의 현대 교육에 대한 적용 같은 과거의 형태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되었지만 아직 루소의 눈에는 차지 않는 듯하다. 어떻게 보면 루소의 꿈은 영원히 다가가지 못할 유토피아일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 또한 꿈꾸는 교육일 지 모른다.
간디 학교 같은 루소의 꿈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이 사회 곳곳에 보이고 있다. 재정형편이 어려워 힘들다고는 하지만 그들은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선구자들일 것이다. 과연 루소의 꿈은 이루어질까? 그것은 아무도 모를 것이다.
우리를 돌아보자 어렸을 때는 무엇을 배웠는가.. 부모님께 배운 `엄마` 아빠`를 시작으로 한글을 익히고 어른이 되기 위한 과정으로 무수한 많은 것을 배웠다. 아직 모국어도 입에 익히지 못한 아이들을 영어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A B C를 강요당 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틀에 박혀서 주조해놓은 책을 가지고 우리는 외운다. 지금 대학에 와서도 정말 우리가 원하는 공부를 하는가? 학점에 얽매여서 취직에 얽매여서 우리는 정말 교육을 받고 있는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교육부는 이제 교육 인적 자원부로 바뀌었다. 그만큼 이제 교육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갔다는 증거이다. 이제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하 나의 도구로서의 교육인 것이다. 현실적으로 보면 수긍이 가지만 마음 한구석의 씁쓸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사람은 자원 이 되고 교육은 하나의 목적을 가진 수단이자 방법이 되어 버린 것이다. 교사에 대한 폭력과 많은 문제점들. 그것들은 아 마 이러한 교육의 변질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에밀』은 교육의 본질을 묻고 있다. 왜 교육을 하는가?? 지금처럼 인간을 자원으로 생각하고 그 수단이 된 것이 우리 가 정녕 원하던 교육인가?? 이 책이 출판된 연도는 1700년대이지만 마치 현대 교육의 모습을 비판하는 책 같다. IQ를 중심으로 한 아직도 내려오는 구식 교육이론이 아직도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콜버그의 다중지능이론의 현대 교육에 대한 적용 같은 과거의 형태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되었지만 아직 루소의 눈에는 차지 않는 듯하다. 어떻게 보면 루소의 꿈은 영원히 다가가지 못할 유토피아일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 또한 꿈꾸는 교육일 지 모른다.
간디 학교 같은 루소의 꿈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이 사회 곳곳에 보이고 있다. 재정형편이 어려워 힘들다고는 하지만 그들은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선구자들일 것이다. 과연 루소의 꿈은 이루어질까? 그것은 아무도 모를 것이다.
추천자료
루소의 교육론 에밀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사상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 사상사 ( 루소 ) - 교육철학, 목적, 과정, 생애, 방법 ,시사점 등 정리
루소의 교육론 ‘에밀’
<루소의 소극적 교육의 의미> 논문을 통해 본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
[교육] 루소 '에밀'을 읽고 나서
[독후감] 에밀 -교육에 대해서 _ 루소 저
루소(Rousseau)의 교육론 <에밀(Emile)> 서평, 감상문
루소의 에밀 감상문(루소의 에밀 독후감, 에밀 독서감상문, 에밀 감상문, 에밀 분석, 에밀 이...
[유아교육과] 『에밀』 독후감 _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저
『에밀 (Emile)』 _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저 [교육론, 교직 독후감]
에밀 교육론 비판 (에밀 독후감,에밀 독서감상문,에밀 줄거리,에밀 분석,에밀을 읽고,에밀 ...
[교육고전의 이해 공통] 루소의 에밀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