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명한 화산들
2. 화산주변의 지형
3. 화산활동의 장, 단점
4. 화산의 종류
2. 화산주변의 지형
3. 화산활동의 장, 단점
4. 화산의 종류
본문내용
iO2를 좀더 많이 포함한 용암을 분출하되 용암의 분출과 약한 폭발이 비교적 규칙적으로 번갈아 일어나서 두꺼운 용암의 피각이 생기기 전에 약한 폭발을 하는 상 (예 : 지중해의 리파이섬의 스트롬볼리화산.)
③ 발칸상(Vulcanian phase)
용암의 분출과 폭발이 번갈아 일어나는 점은 스트롬볼리상과 같으나 발칸상은 용암의 점성이 am고 용암 표면에 피각이 생긴 후에 폭발이 일어나서 그 파편을 불어올리나 밤에도 화염이 보이지 않는다. 폭발시에는 짙은 연기를 분출한다. (예 : 지중해의 발칸 화산과 베스비어스화산 )
④ 펠레상(Pelean phase)
가장 심한 폭발을 일으키는 상으로서 분연은 발칸상보다 더 짙은 것. 폭발은 지하에 모이는 가스의 양이 많을 수록 크게 일어난다. 마그마가 가스를 다량 포함할 수록, 또 SiO2의 함량이 많은 마그마일수록 큰 폭발이 일어나며 용결 응회암을 만든다. (예 : 서인도제도의 마르티니크섬에 있는 펠레산)
3.화산활동의 형태에 따른 종류
구분
형태
특징
예
페디오니테
용암 대지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의 평탄한 대지
개마 고원
데칸 고원
아 스 피 테
순상 화산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염기성) 용암이조용히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
하와이섬의화산
톨 로 이 테
종상 화산
점성이 크고 유동성이 적은 유문암질(산성) 용암이멀리 흐르지 못하고 화구 부근에 솟아오른 화산체
제주도, 산방산
벨 로 니 테
탑상 화산
점성이 큰 용암이 탑같이 솟아오른 화산
펠레 화산
코 니 테
성층 화산
용암과 화산 쇄설물이 교대로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
한라산
일본의 후지산
③ 발칸상(Vulcanian phase)
용암의 분출과 폭발이 번갈아 일어나는 점은 스트롬볼리상과 같으나 발칸상은 용암의 점성이 am고 용암 표면에 피각이 생긴 후에 폭발이 일어나서 그 파편을 불어올리나 밤에도 화염이 보이지 않는다. 폭발시에는 짙은 연기를 분출한다. (예 : 지중해의 발칸 화산과 베스비어스화산 )
④ 펠레상(Pelean phase)
가장 심한 폭발을 일으키는 상으로서 분연은 발칸상보다 더 짙은 것. 폭발은 지하에 모이는 가스의 양이 많을 수록 크게 일어난다. 마그마가 가스를 다량 포함할 수록, 또 SiO2의 함량이 많은 마그마일수록 큰 폭발이 일어나며 용결 응회암을 만든다. (예 : 서인도제도의 마르티니크섬에 있는 펠레산)
3.화산활동의 형태에 따른 종류
구분
형태
특징
예
페디오니테
용암 대지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의 평탄한 대지
개마 고원
데칸 고원
아 스 피 테
순상 화산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염기성) 용암이조용히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
하와이섬의화산
톨 로 이 테
종상 화산
점성이 크고 유동성이 적은 유문암질(산성) 용암이멀리 흐르지 못하고 화구 부근에 솟아오른 화산체
제주도, 산방산
벨 로 니 테
탑상 화산
점성이 큰 용암이 탑같이 솟아오른 화산
펠레 화산
코 니 테
성층 화산
용암과 화산 쇄설물이 교대로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
한라산
일본의 후지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