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습상속(代襲相續)
2.상속결격
(사례1)
(사례2)
3.상속법(相續法)
2.상속결격
(사례1)
(사례2)
3.상속법(相續法)
본문내용
명을 두고 피상속인이 사망한 경우의 상속인의 상속분
배우자 : 자녀1 : 자녀2 = (상속재산에 대하여) 3 : 2 : 2
(사례2) 사례1의 경우에서 자녀 중 1인이 그 배우자와 직계비속 2인을 두고 사망한 경우의 상속분
배우자 : 자녀 1 : 자녀 1의 배우자(손부) : 손자녀1 : 손자녀 2 = 21 : 14 : 6 : 4 : 4
상속법(相續法)
① 호주 승계의 필요성 - 호주의 사망 또는 호주의 국적 상실.
- 여호주의 친가 복저5r이나 혼인으로 타가에 입적한 때
- 양자인 호주의 입양무효 또는 취소 때
② 호주승계의 순위 - 1순위 직계 비속 남자
2순위 직계 비속 여자
3순위 처
4순위 직계 존속 여자
5순위 직계 비속의 처
③ 재산 상속분의 결정
- 지정 상속분 - 유류분 제도가 있다.
- 법정 상속분 - 동순위에 균등 배분하고 배우자에 50% 가산.
** 유류분제도 - 피상속인이 유언으로 정하였어도 배우자와 자녀에 게는법정 상속분의 1/2을 직계존속(부모와 조부모) 과형제자매에게는 법정 상속분의 1/3을 당연히 남김.
④ 재산 상속의 순위 - 1순위 직계 비속과 배우자
2순위 직계 존속
3순위 형제 자매
4순위 4촌 이내의 방계 혈족r
배우자 : 자녀1 : 자녀2 = (상속재산에 대하여) 3 : 2 : 2
(사례2) 사례1의 경우에서 자녀 중 1인이 그 배우자와 직계비속 2인을 두고 사망한 경우의 상속분
배우자 : 자녀 1 : 자녀 1의 배우자(손부) : 손자녀1 : 손자녀 2 = 21 : 14 : 6 : 4 : 4
상속법(相續法)
① 호주 승계의 필요성 - 호주의 사망 또는 호주의 국적 상실.
- 여호주의 친가 복저5r이나 혼인으로 타가에 입적한 때
- 양자인 호주의 입양무효 또는 취소 때
② 호주승계의 순위 - 1순위 직계 비속 남자
2순위 직계 비속 여자
3순위 처
4순위 직계 존속 여자
5순위 직계 비속의 처
③ 재산 상속분의 결정
- 지정 상속분 - 유류분 제도가 있다.
- 법정 상속분 - 동순위에 균등 배분하고 배우자에 50% 가산.
** 유류분제도 - 피상속인이 유언으로 정하였어도 배우자와 자녀에 게는법정 상속분의 1/2을 직계존속(부모와 조부모) 과형제자매에게는 법정 상속분의 1/3을 당연히 남김.
④ 재산 상속의 순위 - 1순위 직계 비속과 배우자
2순위 직계 존속
3순위 형제 자매
4순위 4촌 이내의 방계 혈족r
추천자료
상속-호주승계,상속인의범위,유류승계
상속에 관한 법률및사례
[가족법]혼인의 재산적 효력(부부재산계약과 법정재산제)에 대한 검토
유언상속과 법정상속을 비교하여 논하여라.
대습상속에 관한 고찰
부부공동재산제에 대한 현행법 및 문제점에 대한 찬반의견과 나의의견 - 부부재산제, 부부공...
상속세 폐지에 대한 나의 의견, 상속세제의 개선방안, 상속세의 문제점, 상속세에 대한 이론...
유언과 상속
중세 사회의 상속제도의 변화와 여성의 지위
[법인세][상속세][등록세][소득세][교통세][부가가치세][토지가치세][세금]법인세, 상속세, ...
[상속세][과세체계][납부의무자][상속세법개정][상속세 개념][상속세 의의][세액][상속세 세...
상속세 및 증여세
상속세 & 증여
[상속 문제 해결책] < 상속 문제 > 상속 문제의 발생원인, 상속 문제 특징, 상속 문제 실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