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의 생애와 시대
2. 종주(종주)와 정명(정명)
3.인(仁)
4.덕,예,정,형(德,禮,政,刑)
5.군자(君子)
6.대동,소강과 삼세(大同,小康과 三世)
2. 종주(종주)와 정명(정명)
3.인(仁)
4.덕,예,정,형(德,禮,政,刑)
5.군자(君子)
6.대동,소강과 삼세(大同,小康과 三世)
본문내용
은 풀입니다.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습니다.’(君子之德風,小人之德草,草上之風必?)
‘하늘은 아래의 백성을 돕기 위하여 임금이 되고,스승이 되게 하였다.(天佑下民,作之君,作之師)
공자 치술(治術)의 세째 요소는 政刑이다.
교화의 힘이 아무일도 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효과(無爲之效)을 거둘 수 있는데 정형의 실행을 인정한 것은 교화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자는 사람의 능력을 3가지로 구분했다.
1)나면서부터 그것을 아는 사람(生而知之)
2)곤란해져도 배우지 않는 사람(困而不學)
3)중등이상에 도달한 사람(中人以上)
5.군자(君子)
‘인치(仁治)’는 공자가 주장한 周의 정치개조의 가장 중요한 부분
‘인치(人治)’는 둘째의 원칙이다.
군자:사회적 지위을 가르키는 말,개인의 품성을 말하지 않는다.품성을 지칭할 때도 그 지위를 아울러 말하고 있다.
1)군자는 사대부(士大夫)을 지칭,소인은 일반 백성을 위미한다.
2)군자는 宗法世卿 제도의 쇠퇴를 구하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周나라 정치가 가졌던 尙文의 폐단을 보완하자는 것이다.
3)나라에 正道가 행해지면 벼슬살이를 하고,나라의 正道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거두어 감추어 둔다(邦有道則任,邦無道則可卷而?之)
4)그것에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벼슬에 조급히 나가는 것은 ‘벼슬자리를 구하기(干祿)’위함이거나 ‘俸祿에 야심을 두는 것(志於구)
5)文王과 武王의 政事가 典籍에 기록되어 있으니,그러한 사람이 있으면 그러한 정치가 이루어지고,그러한 사람이 없으면 그러한 정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사람의 道는 정치에 민감하고,땅의 道는 나무에 敏速하니,무릇 정치란 것은 창포와 갈대와 같은 것이다.그러므로 정치는 사람에게 달려 있으니,사람을 취하는 데는 몸으로서 할 것이요,몸을 닦음에는 道로서 할 것이요,道를 닦음에는 仁으로 할 것이다.(哀公問政.子曰,文武之政,布在方策.其人存則政擧,其人亡則其政息.人道敏政,地道敏樹,夫政者也,浦蘆也.故爲政在人,取政以身,修身以道,修道以人)
6.대동,소강과 삼세(大同,小康과 三世)
대동:크게 같다라는 위미이다.
‘사람들이 홀로 그 어버이만을 친애하지 아니하고,그 자식만을 慈愛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보편적인 사랑이라는 말이다.
여기서 논리적인 오류가 있다.(개인적인 가치를 보편적인 가치와 동일시)
공자에게 있어 오랑캐의 기준은 종족(種族)이 아니라 문화개념으로 접근을 시도했다.
‘하늘은 아래의 백성을 돕기 위하여 임금이 되고,스승이 되게 하였다.(天佑下民,作之君,作之師)
공자 치술(治術)의 세째 요소는 政刑이다.
교화의 힘이 아무일도 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효과(無爲之效)을 거둘 수 있는데 정형의 실행을 인정한 것은 교화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자는 사람의 능력을 3가지로 구분했다.
1)나면서부터 그것을 아는 사람(生而知之)
2)곤란해져도 배우지 않는 사람(困而不學)
3)중등이상에 도달한 사람(中人以上)
5.군자(君子)
‘인치(仁治)’는 공자가 주장한 周의 정치개조의 가장 중요한 부분
‘인치(人治)’는 둘째의 원칙이다.
군자:사회적 지위을 가르키는 말,개인의 품성을 말하지 않는다.품성을 지칭할 때도 그 지위를 아울러 말하고 있다.
1)군자는 사대부(士大夫)을 지칭,소인은 일반 백성을 위미한다.
2)군자는 宗法世卿 제도의 쇠퇴를 구하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周나라 정치가 가졌던 尙文의 폐단을 보완하자는 것이다.
3)나라에 正道가 행해지면 벼슬살이를 하고,나라의 正道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거두어 감추어 둔다(邦有道則任,邦無道則可卷而?之)
4)그것에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벼슬에 조급히 나가는 것은 ‘벼슬자리를 구하기(干祿)’위함이거나 ‘俸祿에 야심을 두는 것(志於구)
5)文王과 武王의 政事가 典籍에 기록되어 있으니,그러한 사람이 있으면 그러한 정치가 이루어지고,그러한 사람이 없으면 그러한 정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사람의 道는 정치에 민감하고,땅의 道는 나무에 敏速하니,무릇 정치란 것은 창포와 갈대와 같은 것이다.그러므로 정치는 사람에게 달려 있으니,사람을 취하는 데는 몸으로서 할 것이요,몸을 닦음에는 道로서 할 것이요,道를 닦음에는 仁으로 할 것이다.(哀公問政.子曰,文武之政,布在方策.其人存則政擧,其人亡則其政息.人道敏政,地道敏樹,夫政者也,浦蘆也.故爲政在人,取政以身,修身以道,修道以人)
6.대동,소강과 삼세(大同,小康과 三世)
대동:크게 같다라는 위미이다.
‘사람들이 홀로 그 어버이만을 친애하지 아니하고,그 자식만을 慈愛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보편적인 사랑이라는 말이다.
여기서 논리적인 오류가 있다.(개인적인 가치를 보편적인 가치와 동일시)
공자에게 있어 오랑캐의 기준은 종족(種族)이 아니라 문화개념으로 접근을 시도했다.
추천자료
<논어>를 통해 본 공자의 학문관에 대하여...
공자의 교육사상
맹자(孟子)-사상,4단4덕,공자와의 관계,관련고사
송원명청 시기의 중국예교사상 (원매, 오영, 오여우, 나벽, 주건, 홍량길)
공자의 생애와 사상(논어)
예의 현대적 의미와 보편적 원칙
공자의_생애와_사상
[의(義)][인(仁)][지(智)][예(禮)][신(信)][의][인][지][예][신][철학][사상][철학사상]의(義...
[예절 근본정신][예절 형식][예(禮) 의미][예(禮) 기본][예(禮) 작용][도덕성 외적 기준으로...
공자의 생애와 사상(논어)
공자의 철학(천 사상, 윤리사상, 교학사상, 정치사상, 효제, 충서, 박문약례, 정명론)
논어의 저자소개 및 배경, 공자의 사상, 역사, 생애, 핵심사상, 논어에 들어있는 핵심적인 사...
유가와 도가(有&道) - 공통점,차이점,유가사상,도가사상,공자,맹자,장자,사상가.PPT자료
[한국현대소설론] 문체론 - 문체의 정의와 분류(문체개념의 변화, 문체의 연구, 문체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