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외국인 투자유치의 중요성 및 경제적 효과
1. 외국인 투자유치의 중요성
2. 외국인 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Ⅱ. 충북의 외자유치 현황 및 문제점
1. 충북의 외자유치 현황
2. 충북의 외자유치 문제점
Ⅲ. 효과적인 외자유치 방안
Ⅳ. 투자대상별 외자유치 전략
1. 청주국제공항
2. 종합물류단지
3. 오송 보건의료과학산업단지 및 오창 과학산업단지
4. 충북관광
5. 민간부문
Ⅴ. 외자유치 성공사례
1. 타 시·도의 외자유치 사례
2. 외국 지자체의 외자유치 사례
1. 외국인 투자유치의 중요성
2. 외국인 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Ⅱ. 충북의 외자유치 현황 및 문제점
1. 충북의 외자유치 현황
2. 충북의 외자유치 문제점
Ⅲ. 효과적인 외자유치 방안
Ⅳ. 투자대상별 외자유치 전략
1. 청주국제공항
2. 종합물류단지
3. 오송 보건의료과학산업단지 및 오창 과학산업단지
4. 충북관광
5. 민간부문
Ⅴ. 외자유치 성공사례
1. 타 시·도의 외자유치 사례
2. 외국 지자체의 외자유치 사례
본문내용
각 기업의 리스트 및 프로필 등을 기재한 후 상세정 보를 각 기업의 홈페이지와 링크
. 적극적인 측면에서 각 기업들이 원하고 있는 투자유치 기업들을 대상으로
e-mail을 발송해 투자유도
. 투자의사가 있다면, 담당자를 초청해 해당기업 및 유관기관의 대표로 구성된 협상팀을 구성해 투자협정을 맺음
. 협상시 충북은 투자기업에게 지원가능한 여러가지 혜택을 부여해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행정지원, 조세감면, 투자이후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해결 보장 등)
Ⅴ. 외자유치 성공사례
1. 타 시·도의 외자유치 사례
(1)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투자지원센터]
KISC (http://www.KISC.org/) 홈페이지에 Investment Information Center, Investment Market Place를 게재하여 업종별, 국가별, 투자비율별 외국인 투 자현황과 외국인 투자 및 기업운영 사례 공개 등의 외국인 투자안내를 시행 하고 있음(98년 6월말, 총 193개사, 8억 1,383만불)
독일 SIEMENS 社의 합작투자 사례
. 사업시행자 : 한국EMS(Engine Motors)
- 국내업체 : 900억원(60%)
- SIEMENS : 600억원(40%)
. 사업내용 : 자동차 전자제어, 저공해 하이테크 부품제조, 기술연구개발
. 면적 : 58,790평 (공장 37.6%)
. 위치 : 청라 1지구 지방산업단지
. 사업기간: 97년 11월 - 99년 1월(완공)
. 사업계획
- 고용창출 : 400명 (100% 가동시 2,400명)
- 총생산액 : 200억원 (100% 가동시 4,000억원)
- 수출 : 140억원 (100% 가동시 2,800억원)
- 국제수지 개선효과 : 160억원 (100% 가동시 3,200억원)
. 부지 선정사유
-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
·하이테크 관련기술 인력확보 용이
·파견(주재) 기술자의 자녀교육문제 충족
- 생산부품 주거래 업체인 대우자동차와 인접
·기술협력 및 A/S 등 업무협의 유리
- 공항 및 항만이용 편리
·생산제품의 70%를 수출하는데 따른 물류비용의 절감
(2) 경기도(ENGEL 社)
ENGEL 社 개요
. 국적 : 오스트리아
. 매출액 : 5억 2,500만불(95년말 현재)
. 수출 : 4억 4,000만불
. 업종 : 사출성형기
. 해외법인 : 11개국에 현지법인 80개국에 판매법인 보유
. 세계시장 점유율 : 13%
ENGEL 社의 투자내용
. 투자대상지역 : 평택시 소재 장당산업단지
. 면적 : 40,000 m2 (약 12,000평)
. 투자규모 : 미화 2,000만불
. 생산품목 : 수치제어식 플라스틱 사출기(고도기술 수반업종)
. 생산규모 : 연간 800대(국산원자재 60% 사용)
투자결정 동기
.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을 투자대상지로 동시조사
. 한국은 자동차, 철강 등 연관산업발달
. 부품공급 능력이 탁월하고 동업종과 관련된 양질의 노동력을 보유
. 중국 및 동남아 시장진출에 유리한 여건을 갖춤
지원사항
. 토지구입비(전체 투자액의 1/3) : 68억원(장당공단 분양가격 평당 56만원)
. 29억 2,600만원 인하조건으로 합의투자의향서 체결
. 분양가 차액지원(43% 분담)
- 국비 : 9억 5,388만원(32.6%)
- 도비 : 9억 8,606만원(33.7%)
- 시비 : 9억 8,606만원(33.7%)
2. 외국 지자체의 외자유치 사례
(1) 영국
. 외자유치 전략
- 지역선별 보조금(RSA : Regional Selective Assistance)제도 운영
·낙후지역 실업구제 전략으로 외국인 투자기업에게 고용 1인당 2∼3천 파운드 지급
·3개 지자체는 직접운영(잉글랜드 중앙정부에서만 집행)
- 투자인센티브를 통한 실업문제 해결이라는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
- 실업수당 등을 통한 직접적, 단기적 실업문제 해결보다는 적극적인 외국인 투 자유치를 통한 간접적, 장기적인 실업문제 해결
. Yorkshire & Humberside 주의 Dearne Valley에 한국기업 전용공단 조성
- 투자사업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투자사업을 지원
- 신규공장, 기존공장 매입시 각종 자문서비스 제공
- 초기사업 수행시 임시사무실 제공
- 현지 파견직원의 임시주택 지원 등의 서비스 제공
. Wynyard의 S전자 사례
- 공장건축시 개발청에서 관련공무원팀(10명) 현장파견
- 각종 인허가 사항 대행
- 인허가 취득의 장애요인을 개선토록 행정지도와 조언을 함
- 산업용지 저가공급
·공공용지 : 지방정부에서 저가공급
·사유토지 : 귀족계급의 소유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대가로 공단주변의 개 발이익을 줌
(2) 싱가포르 : 조세지원제도 운영
. 외자유치 전략
- 투자자유지역을 조성해 세계적인 초우량기업을 유치함으로써 싱가포르를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발전시키는 전략
- 협소한 지역적 한계 극복 및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를 위해 산업고도화를 선도 할 수 있는 외국기업만을 유치
- 사업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조세감면혜택 부여(우리나라는 이익발생 시점)
·싱가포르에 투자한 기업은 투자 원년부터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경 쟁력을 갖춘 기업
. 외국인 투자유치 성공요인
- 완벽한 인프라 : 교통, 통신, 물류 등 가시적인 환경
- 기획유치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산업에 매우 적극적인 유치활동
. 투자전담 및 관리 : 경제개발청(EDB)
- 기획에 의거 추진 : 정부기관, 기업체, 노조, 국민이 일사분란하게 업무수행
- 전담부서의 특징
·실용주의적 접근 : 투자환경을 잘 만들고 적극적으로 처리
·전략적 마케팅 도입 : 투자자의 계획과 국가경제발전 목표 연결
(3) 말레이시아 : 조세지원제도 운영
. 투자지원 활동
- 행정지원을 위한 자문지원센타 운영
- 투자촉진활동 : 투자세미나, 특별투자유치단 파견
- MIDA에서 투자지원관련 지방정부 업무조정
- 투자인센티브 심사 및 결정
. 투자자유지역 조성
- 자유경제지대 : 수출품 생산과 제조업체를 위해 특별조성
- 산업공단 : 항만당국, 시당국, 정부기관에 의해 개발
- 정보화특별지구 : 첨단기술산업 촉진(10년간 세금면제)
. 투자유치 전담기구 : MIDA(말레이시아 산업개발청)
. 적극적인 측면에서 각 기업들이 원하고 있는 투자유치 기업들을 대상으로
e-mail을 발송해 투자유도
. 투자의사가 있다면, 담당자를 초청해 해당기업 및 유관기관의 대표로 구성된 협상팀을 구성해 투자협정을 맺음
. 협상시 충북은 투자기업에게 지원가능한 여러가지 혜택을 부여해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행정지원, 조세감면, 투자이후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해결 보장 등)
Ⅴ. 외자유치 성공사례
1. 타 시·도의 외자유치 사례
(1)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투자지원센터]
KISC (http://www.KISC.org/) 홈페이지에 Investment Information Center, Investment Market Place를 게재하여 업종별, 국가별, 투자비율별 외국인 투 자현황과 외국인 투자 및 기업운영 사례 공개 등의 외국인 투자안내를 시행 하고 있음(98년 6월말, 총 193개사, 8억 1,383만불)
독일 SIEMENS 社의 합작투자 사례
. 사업시행자 : 한국EMS(Engine Motors)
- 국내업체 : 900억원(60%)
- SIEMENS : 600억원(40%)
. 사업내용 : 자동차 전자제어, 저공해 하이테크 부품제조, 기술연구개발
. 면적 : 58,790평 (공장 37.6%)
. 위치 : 청라 1지구 지방산업단지
. 사업기간: 97년 11월 - 99년 1월(완공)
. 사업계획
- 고용창출 : 400명 (100% 가동시 2,400명)
- 총생산액 : 200억원 (100% 가동시 4,000억원)
- 수출 : 140억원 (100% 가동시 2,800억원)
- 국제수지 개선효과 : 160억원 (100% 가동시 3,200억원)
. 부지 선정사유
-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
·하이테크 관련기술 인력확보 용이
·파견(주재) 기술자의 자녀교육문제 충족
- 생산부품 주거래 업체인 대우자동차와 인접
·기술협력 및 A/S 등 업무협의 유리
- 공항 및 항만이용 편리
·생산제품의 70%를 수출하는데 따른 물류비용의 절감
(2) 경기도(ENGEL 社)
ENGEL 社 개요
. 국적 : 오스트리아
. 매출액 : 5억 2,500만불(95년말 현재)
. 수출 : 4억 4,000만불
. 업종 : 사출성형기
. 해외법인 : 11개국에 현지법인 80개국에 판매법인 보유
. 세계시장 점유율 : 13%
ENGEL 社의 투자내용
. 투자대상지역 : 평택시 소재 장당산업단지
. 면적 : 40,000 m2 (약 12,000평)
. 투자규모 : 미화 2,000만불
. 생산품목 : 수치제어식 플라스틱 사출기(고도기술 수반업종)
. 생산규모 : 연간 800대(국산원자재 60% 사용)
투자결정 동기
.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을 투자대상지로 동시조사
. 한국은 자동차, 철강 등 연관산업발달
. 부품공급 능력이 탁월하고 동업종과 관련된 양질의 노동력을 보유
. 중국 및 동남아 시장진출에 유리한 여건을 갖춤
지원사항
. 토지구입비(전체 투자액의 1/3) : 68억원(장당공단 분양가격 평당 56만원)
. 29억 2,600만원 인하조건으로 합의투자의향서 체결
. 분양가 차액지원(43% 분담)
- 국비 : 9억 5,388만원(32.6%)
- 도비 : 9억 8,606만원(33.7%)
- 시비 : 9억 8,606만원(33.7%)
2. 외국 지자체의 외자유치 사례
(1) 영국
. 외자유치 전략
- 지역선별 보조금(RSA : Regional Selective Assistance)제도 운영
·낙후지역 실업구제 전략으로 외국인 투자기업에게 고용 1인당 2∼3천 파운드 지급
·3개 지자체는 직접운영(잉글랜드 중앙정부에서만 집행)
- 투자인센티브를 통한 실업문제 해결이라는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
- 실업수당 등을 통한 직접적, 단기적 실업문제 해결보다는 적극적인 외국인 투 자유치를 통한 간접적, 장기적인 실업문제 해결
. Yorkshire & Humberside 주의 Dearne Valley에 한국기업 전용공단 조성
- 투자사업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투자사업을 지원
- 신규공장, 기존공장 매입시 각종 자문서비스 제공
- 초기사업 수행시 임시사무실 제공
- 현지 파견직원의 임시주택 지원 등의 서비스 제공
. Wynyard의 S전자 사례
- 공장건축시 개발청에서 관련공무원팀(10명) 현장파견
- 각종 인허가 사항 대행
- 인허가 취득의 장애요인을 개선토록 행정지도와 조언을 함
- 산업용지 저가공급
·공공용지 : 지방정부에서 저가공급
·사유토지 : 귀족계급의 소유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대가로 공단주변의 개 발이익을 줌
(2) 싱가포르 : 조세지원제도 운영
. 외자유치 전략
- 투자자유지역을 조성해 세계적인 초우량기업을 유치함으로써 싱가포르를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발전시키는 전략
- 협소한 지역적 한계 극복 및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를 위해 산업고도화를 선도 할 수 있는 외국기업만을 유치
- 사업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조세감면혜택 부여(우리나라는 이익발생 시점)
·싱가포르에 투자한 기업은 투자 원년부터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경 쟁력을 갖춘 기업
. 외국인 투자유치 성공요인
- 완벽한 인프라 : 교통, 통신, 물류 등 가시적인 환경
- 기획유치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산업에 매우 적극적인 유치활동
. 투자전담 및 관리 : 경제개발청(EDB)
- 기획에 의거 추진 : 정부기관, 기업체, 노조, 국민이 일사분란하게 업무수행
- 전담부서의 특징
·실용주의적 접근 : 투자환경을 잘 만들고 적극적으로 처리
·전략적 마케팅 도입 : 투자자의 계획과 국가경제발전 목표 연결
(3) 말레이시아 : 조세지원제도 운영
. 투자지원 활동
- 행정지원을 위한 자문지원센타 운영
- 투자촉진활동 : 투자세미나, 특별투자유치단 파견
- MIDA에서 투자지원관련 지방정부 업무조정
- 투자인센티브 심사 및 결정
. 투자자유지역 조성
- 자유경제지대 : 수출품 생산과 제조업체를 위해 특별조성
- 산업공단 : 항만당국, 시당국, 정부기관에 의해 개발
- 정보화특별지구 : 첨단기술산업 촉진(10년간 세금면제)
. 투자유치 전담기구 : MIDA(말레이시아 산업개발청)
추천자료
중국 WTO 가입의 정치 경제적 영향
(증권경제) 외국인투자자가 한국증시에 미치는영향
해외직접투자의 장단점, 해외직접투자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문화][온두라스문화]온두라스의 외국인투자법제, 온두라스의 노동행정...
[중소기업의 해외투자전략] 해외직접투자의 의의와 동기 및 효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방법
중국의 외국인투자환경과 기업의 진출전략
[인센티브제도][집단인센티브제도][개인인센티브제도][연구원][판매직][외국인투자]집단인센...
[노사관계][노사][공기업 노사관계][다국적기업 노사관계][외국인투자기업]공기업(공사)의 노...
[금융산업, 금융업, 금융, 수익모델]금융산업(금융업)의 수익모델, 마케팅, 금융산업(금융업)...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외국인투자, 지원설비,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주식매수선택권, ...
[기업관계][외투기업][외국인투자기업][외국자본기업]대기업과 노사관계, 외투기업(외국인투...
[기업][글로벌기업][후발기업][동아시아 기업]글로벌기업, 후발기업, 동아시아 기업, 외투기...
[해외직접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의 주요 이론 (자본이동적, 산업조직적, 국민경제적, 내부시...
이탈리아(ITALY) - 국가개황, 경제현황, 외국인투자 현황, 한국 이탈리아 관계.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