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술의 역사와 지역별 술의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술의 역사와 지역별 술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술의 역사.

2. 우리나라의 지역별 민속주

3. 담그는법

4. 지역별 와인의 종류

본문내용

멥쌀 한 말을 잘 씻어 세시간 동안 물에 담근 후 물기를 뺀 다음 쌀을 쪄서 식힌다. 여기에 국자 두 되를 섞고 물 한 말을 넣으면 2-3일 뒤에 밑술이 완료 된다.
B. 덧술
멥쌀 너 말을 잘 씻어 찐다. 여기에 국자 너 되와 물 여섯 말을 섞어 밑술과 합쳐 놓는다. 덧술을 넣은 후 3일 뒤 칡, 인삼, 더덕, 구기자, 모과, 당귀, 감초의 일곱가지 한약재 서른닷 근을 물 세 말에 넣고 물 한 말이 될 때까지 달인다. 이 달인 물을 식혀 넣어 4-5일 경과하면 주도 16도 정도의 칠선주가 된다.
④ 경남 함양 국화주
국화는 예로부터 불로장수 및 성스러운 영초로서 숭상되어 왔다.
국화주는 우리나라 재래의 하나로서 함양 국화주는 국화의 생지황, 구기자 나무 껍질을 놓고 찹쌀로 빚은 술인데 이 술은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즐겨 마셨다고 한다.
<담그는 법>
A. 밑술
찹쌀 두 되를 물에 잘 불려서 가루를 만들어 시루에 찌고 백설기에 잘게 부수어 누룩가루 한 되를 넣어 혼합한 후 물 서 되를 잘 붓는다. 잘 섞어서 온도20-30도에서 4-5일 두면 밑술이 된다
B. 덧술
찹쌀 여덟 되를 물에 불려 시루에 찐 후 냉각시킨다. 식힌 밥에 누룩가루 너 되를 넣어 잘 혼합한다. 감국화 혹은 야생국화, 생지황, 구기자의 뿌리, 껍질 등을 각각 한되 정도와 물 두 말에 넣어 물 한 말이 될 때까지 달여 식힌다. 이와 같이 완성된 고두밥과 야생국화 등의 액체를 밑술 독에 넣어 혼합시킨다. 온도 22도 전후에서 5-6일 경과하면 숙성되고 이것을 맑게 거르면 향기좋은 국화주가 되는데 보통 주도는 16도 정도 된다.
⑤ 강원 평창 감자술
옛부터 평창지역에서는 감자를 원료로 한 메뉴가 감자부침에서 감자떡까지 10여 종에 이르는 식품들이 개발되었으며 특별하게 감자술이 문헌에 나타난 것은 없으나 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대를 이어 전해져 왔었다.
<재료>
백미, 껍질벗긴 감자, 누룩, 물
<담그는 법>
백미를 깨끗한 물로 여러 차례 씻어 15시간 가량 불린 후 증기로 1시간 정도 쪄 고두밥을 만들어 펼쳐놓고 식힌다. 2-3일 지난후 껍질을 벗긴 감자를 증기로 쪄서 으깬후 누룩 물과 함께 발효중인 독에 넣고 섭씨 20도의 상태에서 40일 동안 발효시키면 맑고 노란 빛깔에 은은한 맛의 알콜농도 11%의 감자술이 된다.
⑥ 전주 장군주(과하주)
이 술은 약주를 만들어 소주를 부어 술의 주도를 높여 여러 약재나 꿀을 넣고 땅 속에 묻어 여름에 많이 사용하였던 이름 그대로 여름을 지낼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술 이름이다. 약주 그대로는 더위에 오래 두지 못하기 때문에 소주를 보강하였는데 우리 나라 혼성주의 대표적인 술 이름이다.
<재료>
멥쌀 한 두 되, 누룩가루
<담그는 법>
봄과 여름 사이에 하얀 멥쌀 두 되나 한 되를 가루로 만들어 범벅처럼 개어, 아주 서늘하게 식으면 누룩가루를 넣어 방문주처럼 쳐서 넣는다. 맛이 써지면 찹쌀 한 말을 술밥으로 쪄서 속속들이 식혀 그 술밑에 버무려 두었다가 맛이 써진 후에 고아 부었다가 7일만에 소주 스무 복자씩 부어서 마신다.
⑦ 청주 대추술
충북 청주시 산성동 상당산성의 한옥마을에서 대대로 빚어오던 대추술은 1991년 10월 국세청의 제조 승인으로 본격 시판에 임하고 있다.
마을 주민들의 공동출자로 양조장이 건립된 이후 청주시는 물론 충남북, 대전지역 으로 판매량을 확대, 충청인의 토속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는 것이다.
<재료>
찹쌀 10kg, 멥쌀 80kg, 솔잎 5kg, 대추 5kg, 물 60ℓ, 누룩 30kg, 산성약수 160ℓ
<담그는법>
대추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찹쌀 멥쌀 100kg을 2대 8의 비율로 섞어 12시간 물에 불린 뒤 그늘에서 장시간 말린 솔잎 5kg과 섞어 2시간쯤 쪄서 고두밥을 만든다.
또 한편에선 대추 5kg을 물 60ℓ정도에 넣어 대추가 완전히 퍼져 맛이 우러 날 때까지 10시간씩 3-4차례 삶아낸 대추물 40ℓ를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한 고두밥과 대추물을 큰 독에 담아 여기에 누룩 30kg을 넣고 산속 깊은 곳에서 나는 산성약수 160ℓ를 혼합하여 약 20도 정도의 온돌방에서 13일간 숙성시킨다. 이런 과정을 거쳐 포도주와 비슷한 알콜농도 13%의 자주빛 대추술이 완성된다.
● 지역별 와인의 종류
1. 프랑스 와인
① 보르도 지방 그라브(Graves)지구 : 가론느강의 서쪽에 위치한 보르도의 지구
<유명 와인 상표>
- Chateau Hurt-Brion / 샤또 오 브리옹(1급)
- Chateau La mission / 샤또 라 미션 (1급)
- Chateau Latour Hurt Brion / 샤도 라뚜르 오 브리옹(1급)
② Saint-Julien 구역 : 뽀야크와 마고의 사이에 있는 작은 구역
<유명 와인 상표>
- Chateau Leoville-Las-Cases / 샤또 레오빌-까즈 (2급)
- Chateau Leoville-Poyferre / 샤또 레오빌-쁘와프레 (2급)
- Chateau Gruand-Larose / 샤또 그루앙-라로세(2급)
- Chateau Lagrange / 샤또 라그랑쥬(3급)
- Chateau Talbot / 샤또 딸보(4급)
2. 이탈리아 와인
① 피에몬테(Piemonte)주 : 프랑스에가 가장 가까운지역으로 이탈리아의 북서쪽에 위치
<유명 와인>
- Barbera D'asti / 바르베라 다스티
- Nebbiolo D'alba / 네비올로 달바
- Barolo / 바롤로
② 토스카나 주 : 이탈리아 중부지역으로 피렌체 도시근처에 위치
<유명 와인>
- Chianti Classico / 끼안티 클라시코
- Chianti Classico Riserva / 끼안티 클라시코 리제르바
- Vernaccia 야 S.Gimignano / 베르나치아 디 산 지미냐노
3. 포르투칼 와인
① 포트와인 (Port wine) : 포트와인은 포도즙이 나무통 속에서 발효하는 동안 브랜디를 첨가하여 발효를 중지시켜, 당분이 남게 되어 달고 강한 와인이다
<유명 상표>
- Sandeman / 산데만
- Graham / 그라함
- Quinta do Noval / 퀸타 도 노발
- Florio / 플로리오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