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기술)분야의 향후 동향 및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컴퓨터기술
가. 개 요
나. 세계 동향
다. 국내동향
라. 향후 전망

2. 반도체기술
가. 개 요
나. 국내외 기술 동향

3. 네트워크기술
가. 개 요
나.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의 발전 전망
다. MPLS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과 전망

4. 무선방송기술
가. 개 요
나. 위성통신기술
다. 방송기술
라. 무선 응용기술

본문내용

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는 미디어의 대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현재 세계의 많은 국가에서 1997년부터 디지털 TV방송을 이미 개시하였거나 실시를 준비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부터 서울에서 디지털 지상파 TV 본방송이 개시되어 단계적으로 수도권에서부터 지방으로 확대 실시될 예정에 있다.
장기적으로 무선통신은 멀티미디어 서비스화에 따른 광대역화와 언제, 어디서나 이동·위성·방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 추세 및 서비스 전망을 위성통신기술, 방송기술, 무선응용기술로 구별하였다.
나. 위성통신기술
위성통신은 광역성, 동보성, 회선설정의 유연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위성의 역할과 활용도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정보화 인프라로서 위성 활용을 위해 2002년까지 Ka대역 초고속 위성지구국 핵심기술 및 155Mbps급 전송기술 및 위성 멀티미디어 억세스망 기술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디지털 위성방송 및 위성 인터넷 등의 등장으로 일반인들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휴대형 이동위성 광대역 멀티미디어 위성서비스 개발이 활성화되어 휴대 가능한 소형 광대역 위성통신 단말기가 출현하게 될 것이다.
위성통신은 현재 Ku대역을 주로 이용하여 중계기 1기당 45Mbps급의 전송이 가능하나 향후에는 Ka대역을 이용하여 수 Gbps급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위성통신기술은 고기능, 이동형, 통합형(예: 데이터 + 음성 + 방송, 통합형 단말, On Wafer Antenna), 초소형(예: 집적화, MMIC, ASIC등), 고성능, 지능형, 실감형, 광대역, 초고속으로 발전될 것이다.
다. 방송기술
세계각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아날로그 TV와 아날로그 음성방송을 주파수 이용효율의 비약적 향상, 채널의 다양화, 고품질화, 기능의 고도화를 위해 방송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다. 방송의 디지털화에 의하여 채널의 다양화에 의한 방송사업자의 신규참여 확대, 방송프로그램. 서비스 내용의 다양화에 의한 시청자의 선택범위 확대, 통신과 컴퓨터의 융합에 의한 방송서비스의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디지털지상파, 위성, 유선 등 방송매체의 다양화와 방송채널의 확대에 따라 맞춤형 방송서비스가 구현 및 발전될 것이며 디지털 TV, 인터넷방송, 대화형 방송이 확산되고 3D TV가 <방송기술의 발전 방향> 구현되어 고화질의 실감방송으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양방향 전송 및 TV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가 확대되어 디지털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 촉진되고 단순시청형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선택 및 정보요구형으로 발전할 것이다.
라. 무선 응용기술
(1) 근거리 무선망
근거리나 가정내망의 발전을 주도할 주요기술로 무선 LAN, 홈 RF, 불루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현재 무선 LAN이 가장 활발한 기술적 진보와 시장확보를 거두고 있으며, 홈 RF와 블루투스는 기술과 시장성에서 무선 LAN에 비해 미약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차세대 무선 LAN 서비스는 사무실, 댁내 등의 실내 및 주변 또는 공항, 학교, 컨벤션 센터 등의 공공장소에서 고정 또는 보행 수준의 이동 단말에 수십 Mbps 급의 고속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선망과 동일한 정도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QoS 지원, 전자상거래 등을 위한 다양한 보안 방법이 적용될 것이며 사무실 및 댁내에서의 A/V 방송 등을 포함한 방송형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강화되고 VoIP의 지원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제공이 이루어질 것이다.
무선 LAN은 IEEE와 ETSI가 중심이 되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IEEE 802.11b 표준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IEEE 802.11b는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최대 11 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중장기적으로 무선 LAN 기술은 5GHz 대역을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제공할 것이며 여기에는 IEEE 802.11a와 ETSI의 HiperLAN/2가 있다. IEEE 802.11a는 1999년에 표준이 승인되어 현재 제품이 생산중에 있으며 HiperLAN/2는 표준 제정중인 상태이다. 이밖에도 IEEE는 802.11g, 802.11i, 802.11e 등의 표준화를 진행중에 있다.
<무선 LAN 발전 방향>
(2) 광대역 무선통신기술(BWLL)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게 되며, 지속적인 기술 진보와 가격 하락시 인터넷 서비스 등을 광대역으로 제공하는 보편적 기술로 발전, 향후 편리성과 이동성을 보완 무선멀티미디어 네트워크로 발전할 전망이다. 또한 디지털TV의 도입에 따라 디지털TV 분배나 인터랙티브 TV 전송 매체로 활용하여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유도될 것이다.
(3) 차량용 양방향 멀티미디어(ITS)기술
이동중인 차량에서 인터넷 등 네트워크로 엑세스하는 것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쌍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될 것이며, 멀티미디어화에 따라 단말의 고기능화, 멀티유즈(다기능)화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휴먼/머신 인터페이스가 확립되어 ITS가 보다 운전자에게 안전한 시스템이 되도록 발전할 것이다.
(4) 성층권 통신시스템 기술
성층권에 무선 중계기를 탑재한 비행선을 지상의 일정 위치 상공에 체공시키면서 각종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고정 및 이동 무선 서비스들을 다양한 전송 속도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원격탐사, 전파감시 등의 각종 응용 무선서비스수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위성통신과 지상무선통신의 장점을 동시에 보유한 시스템으로서 신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시장 창출, 국제시장 선점 및 국가적인 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다양한 신규 통신, 방송서비스 창출 및 관련 서비스 기술의 획득으로 국내 항공 및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 수준 제고가 기대되며, 성층권 통신탑재장치, 성층권 비행선, 관제소, 통신 단말, 관문 지구국 등에 대한 설계/제작 기술 등의 기술선점이 이루어 질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1.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