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해체주의 이론에 대한 형성배경 및 이론적 고찰
2-1. 해체(Deconstruction)의 정의
2-2. 쟈크 데리다의 해체이론
2-3. 해체철학의 형성배경
Ⅲ. 해체주의 건축에 대한 이론형성 및 디자인분석
3-1. 해체주의 건축의 이론적 고찰
3-2. 해체주의 건축의 형성배경
3-3. 모던건축에의 비평
(1) 형태의 의미
(2) 기능주의 비판
(3) 양식
Ⅳ. 해체주의 건축에 대한 비평
4-1. 해체대상에 대한 모순
4-2. 의미의 중심부재에 대한 모순
4-3. 부정의 방법에 대한 모순
4-4. 해체주의 이론의 해체주의건축으로의 적용상의 한계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해체주의 이론에 대한 형성배경 및 이론적 고찰
2-1. 해체(Deconstruction)의 정의
2-2. 쟈크 데리다의 해체이론
2-3. 해체철학의 형성배경
Ⅲ. 해체주의 건축에 대한 이론형성 및 디자인분석
3-1. 해체주의 건축의 이론적 고찰
3-2. 해체주의 건축의 형성배경
3-3. 모던건축에의 비평
(1) 형태의 의미
(2) 기능주의 비판
(3) 양식
Ⅳ. 해체주의 건축에 대한 비평
4-1. 해체대상에 대한 모순
4-2. 의미의 중심부재에 대한 모순
4-3. 부정의 방법에 대한 모순
4-4. 해체주의 이론의 해체주의건축으로의 적용상의 한계
본문내용
체는 또 다른 의미의 고정화를 가져온다. 즉 의미의 항상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4-2. 의미의 중심부재에 대한 모순
해체주의 건축은 중심을 부정한다. 형이상학의 역사는 중심이 있는 구조의 역사이며, 이 구조의 역사는 하나의 중심을 다른 중심으로 대체하면서 진행되어왔던 역사라고 규정하고 중심이 있는 한 의미의 유희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으로 본다. 그러나 해체주의건축에서는 의미의 유희가 존재하지 않는다. 중심을 부정하기 위해 또 다른 중심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중심은 기존의 중심만큼도 자화(自化)하지 못하는 일시적인 중심이다.
4-3. 부정의 방법에 대한 모순
해체주의건축은 기존의 현상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을 건축사고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즉 해체주의건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형성된 현상도 다시 부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부정을 위한 부정 혹은 애매한 의문제기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또한 사용언어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요소들은 그들이 부정하려고 하는 건축양식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은 방법론 자체의 모순으로 드러나고 있다.
4-4. 해체주의 이론의 해체주의건축으로의 적용상의 한계
건축은 여타 분야와는 달리 현상의 주체였던 인간이 실존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해체이론이 해체주의건축으로 적용되어질 때 상당한 궤도 수정이 이루어져야함을 이른다. 현재의 해체주의건축은 주체인 인간을 의도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해체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지만 이는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부정의 방법이 또 다른 면에서 해체주의건축의 모순으로 자리잡았다.
4-2. 의미의 중심부재에 대한 모순
해체주의 건축은 중심을 부정한다. 형이상학의 역사는 중심이 있는 구조의 역사이며, 이 구조의 역사는 하나의 중심을 다른 중심으로 대체하면서 진행되어왔던 역사라고 규정하고 중심이 있는 한 의미의 유희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으로 본다. 그러나 해체주의건축에서는 의미의 유희가 존재하지 않는다. 중심을 부정하기 위해 또 다른 중심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중심은 기존의 중심만큼도 자화(自化)하지 못하는 일시적인 중심이다.
4-3. 부정의 방법에 대한 모순
해체주의건축은 기존의 현상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을 건축사고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즉 해체주의건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형성된 현상도 다시 부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부정을 위한 부정 혹은 애매한 의문제기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또한 사용언어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요소들은 그들이 부정하려고 하는 건축양식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은 방법론 자체의 모순으로 드러나고 있다.
4-4. 해체주의 이론의 해체주의건축으로의 적용상의 한계
건축은 여타 분야와는 달리 현상의 주체였던 인간이 실존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해체이론이 해체주의건축으로 적용되어질 때 상당한 궤도 수정이 이루어져야함을 이른다. 현재의 해체주의건축은 주체인 인간을 의도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해체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지만 이는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부정의 방법이 또 다른 면에서 해체주의건축의 모순으로 자리잡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