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RIGHT ]
{αT}
dx
(1.16)
그리고 1차원 문제의 경우 아래의 식이 이미 정의된다.
LEFT [ D RIGHT ]
=
LEFT [ E RIGHT ]
LEFT [ B RIGHT ]
=
LEFT [ { -1} over {L } { 1} over {L } RIGHT ]
(1.17)
식(1.17)을 식(1.16)에 대입하고 단순화시키면 아래와 같은 열하중 행렬식(thermal force matrix)을 얻는다.
{fT}=
LEFT { }
{ fT1} atop {fT2 }
RIGHT }
=
LEFT { { -EαTA} atop {EαTA } RIGHT }
(1.18)
2차원 열응력 문제에 관한 비등방성 재질의 열변형률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εT}=
LEFT { { { εxT} atop {εyT } } atop {γxyT } RIGHT }
(1.19)
열팽창 계수 α를 가진 등방성 재료의 평면응력(plane stress) 열변형률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εT}=
LEFT { { { αT} atop {αT } } atop {0 } RIGHT }
(1.20)
등방성 재료의 일반적인 열변형률(thermal strain)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εT}=(1+ν)
LEFT { { { αT} atop {αT } } atop {0 } RIGHT }
(1.21)
일정한 두께(t)와 일정한 변형률을 가진 삼각형 요소에 대해서, 식(1.14)는 아래과 같이 단순화 될 수 있다.
{fT}=
LEFT [ B RIGHT ]
T
LEFT [ D RIGHT ]
{εT}
tA
(1.22)
{αT}
dx
(1.16)
그리고 1차원 문제의 경우 아래의 식이 이미 정의된다.
LEFT [ D RIGHT ]
=
LEFT [ E RIGHT ]
LEFT [ B RIGHT ]
=
LEFT [ { -1} over {L } { 1} over {L } RIGHT ]
(1.17)
식(1.17)을 식(1.16)에 대입하고 단순화시키면 아래와 같은 열하중 행렬식(thermal force matrix)을 얻는다.
{fT}=
LEFT { }
{ fT1} atop {fT2 }
RIGHT }
=
LEFT { { -EαTA} atop {EαTA } RIGHT }
(1.18)
2차원 열응력 문제에 관한 비등방성 재질의 열변형률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εT}=
LEFT { { { εxT} atop {εyT } } atop {γxyT } RIGHT }
(1.19)
열팽창 계수 α를 가진 등방성 재료의 평면응력(plane stress) 열변형률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εT}=
LEFT { { { αT} atop {αT } } atop {0 } RIGHT }
(1.20)
등방성 재료의 일반적인 열변형률(thermal strain)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εT}=(1+ν)
LEFT { { { αT} atop {αT } } atop {0 } RIGHT }
(1.21)
일정한 두께(t)와 일정한 변형률을 가진 삼각형 요소에 대해서, 식(1.14)는 아래과 같이 단순화 될 수 있다.
{fT}=
LEFT [ B RIGHT ]
T
LEFT [ D RIGHT ]
{εT}
tA
(1.2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