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향가는 어떤 노래인가?
2. 향가의 발생
3. 향가의 갈래
4. 풍요
5. 참고
2. 향가의 발생
3. 향가의 갈래
4. 풍요
5. 참고
본문내용
이 있다.
* 방아찧는 노래 *
신라시대 백결선생의 방아타령
"노자 좋구나, 노들강변 비둘기 한 쌍이, 푸른 콩 한 알을 물어다 놓고, 암놈이 물어 수놈을 주고…(후렴)에 에에헤야, 에라 우여라 방아로구나 반이나 넘어 늙었으니."
조선말기 경복궁 중수시 불린 방아타령
“(1절) 남문을 열고 파루(罷漏)를 치니 계명산천(鷄鳴山川)이 밝아온다. (후렴) 에 에헤이에이야 얼럴럴거리고 방아로다. (2절) 을축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하세. (3절) 도변수(都邊手)의 거동을 봐라 먹통을 들고서 갈팡질팡한다. (4절) 단산봉황(丹山鳳凰)은 죽실(竹實)을 물고 벽오동 속으로 넘나든다. (5절) 남산하고 십이봉에 오작(烏鵲) 한 쌍이 훨훨 날아든다. (6절) 왜철쭉 진달화 노간죽하니 맨드라미 봉선화가 영산홍이로다.
경기민요 중 자진방아타령 후렴
“아하 에이요, 에어여라 방아흥아로다" ,“에라디여 에이요, 에이여라 방아흥아로다”
< 참 고 도 서 >
임기중, 옛노래 시로 읽기, 이회문화사, 2002
장덕순 외,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최 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편,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 방아찧는 노래 *
신라시대 백결선생의 방아타령
"노자 좋구나, 노들강변 비둘기 한 쌍이, 푸른 콩 한 알을 물어다 놓고, 암놈이 물어 수놈을 주고…(후렴)에 에에헤야, 에라 우여라 방아로구나 반이나 넘어 늙었으니."
조선말기 경복궁 중수시 불린 방아타령
“(1절) 남문을 열고 파루(罷漏)를 치니 계명산천(鷄鳴山川)이 밝아온다. (후렴) 에 에헤이에이야 얼럴럴거리고 방아로다. (2절) 을축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하세. (3절) 도변수(都邊手)의 거동을 봐라 먹통을 들고서 갈팡질팡한다. (4절) 단산봉황(丹山鳳凰)은 죽실(竹實)을 물고 벽오동 속으로 넘나든다. (5절) 남산하고 십이봉에 오작(烏鵲) 한 쌍이 훨훨 날아든다. (6절) 왜철쭉 진달화 노간죽하니 맨드라미 봉선화가 영산홍이로다.
경기민요 중 자진방아타령 후렴
“아하 에이요, 에어여라 방아흥아로다" ,“에라디여 에이요, 에이여라 방아흥아로다”
< 참 고 도 서 >
임기중, 옛노래 시로 읽기, 이회문화사, 2002
장덕순 외,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최 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편,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