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노래문학의 이해 풍요(風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노래문학의 이해 풍요(風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는 어떤 노래인가?

2. 향가의 발생

3. 향가의 갈래

4. 풍요

5. 참고

본문내용

이 있다.
* 방아찧는 노래 *
신라시대 백결선생의 방아타령
"노자 좋구나, 노들강변 비둘기 한 쌍이, 푸른 콩 한 알을 물어다 놓고, 암놈이 물어 수놈을 주고…(후렴)에 에에헤야, 에라 우여라 방아로구나 반이나 넘어 늙었으니."
조선말기 경복궁 중수시 불린 방아타령
“(1절) 남문을 열고 파루(罷漏)를 치니 계명산천(鷄鳴山川)이 밝아온다. (후렴) 에 에헤이에이야 얼럴럴거리고 방아로다. (2절) 을축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하세. (3절) 도변수(都邊手)의 거동을 봐라 먹통을 들고서 갈팡질팡한다. (4절) 단산봉황(丹山鳳凰)은 죽실(竹實)을 물고 벽오동 속으로 넘나든다. (5절) 남산하고 십이봉에 오작(烏鵲) 한 쌍이 훨훨 날아든다. (6절) 왜철쭉 진달화 노간죽하니 맨드라미 봉선화가 영산홍이로다.
경기민요 중 자진방아타령 후렴
“아하 에이요, 에어여라 방아흥아로다" ,“에라디여 에이요, 에이여라 방아흥아로다”
< 참 고 도 서 >
임기중, 옛노래 시로 읽기, 이회문화사, 2002
장덕순 외,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최 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편,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1.2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